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적 역량 중심의 초등 도덕과 교육 접근방안 탐색 =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in the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1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덕목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이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 도덕적 역량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 접근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역량, 기능, 가치, 덕 등의 주요 용어의 개념을 규정하고, 이들 용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도덕적 역량 중심 접근의 구조와 적용방안을 논의한다. 도덕적 역량은 행동적 영역을 중심으로 도덕적 덕과 수행적 덕이 교차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기능은 구체적인 행위로 드러나는 요소를 뜻한다. 도덕적 역량 중심의 접근은 도덕적 이슈들을 교육과정의 내용요소와 교과서 단원의 주제로 선정한다. 학생들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도덕적 주제들을 논의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도덕적 역량을 키우며 통합적 인격 형성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덕목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이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 도덕적 역량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 접근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

      본 논문은 덕목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이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 도덕적 역량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 접근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역량, 기능, 가치, 덕 등의 주요 용어의 개념을 규정하고, 이들 용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도덕적 역량 중심 접근의 구조와 적용방안을 논의한다. 도덕적 역량은 행동적 영역을 중심으로 도덕적 덕과 수행적 덕이 교차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기능은 구체적인 행위로 드러나는 요소를 뜻한다. 도덕적 역량 중심의 접근은 도덕적 이슈들을 교육과정의 내용요소와 교과서 단원의 주제로 선정한다. 학생들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도덕적 주제들을 논의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도덕적 역량을 키우며 통합적 인격 형성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dicate the problems of 'the bags of virtues' approach and explore an application of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To do this, The concepts of major terms(competence, skills, value, and virtue) which are clearly stated in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defined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ose terms. And on that basis,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scheme of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will be discussed in exploratory dimension. The moral competence means the overlapping domains of moral virtues and performance virtues based on behavioral domain. The skills connotes an element which is exposed to specific actions among moral competences and can be rationalized by the core values.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selects moral issues as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hemes of text units, and it can emerge from reductionist educational system which is inevitably derived from the elements of morality. Students can develop the foundations of moral competence and form the basis for integrated character building through discussing moral themes in accordance with core valu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dicate the problems of 'the bags of virtues' approach and explore an application of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To do this, The concepts of major terms(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dicate the problems of 'the bags of virtues' approach and explore an application of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To do this, The concepts of major terms(competence, skills, value, and virtue) which are clearly stated in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defined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ose terms. And on that basis,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scheme of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will be discussed in exploratory dimension. The moral competence means the overlapping domains of moral virtues and performance virtues based on behavioral domain. The skills connotes an element which is exposed to specific actions among moral competences and can be rationalized by the core values.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selects moral issues as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hemes of text units, and it can emerge from reductionist educational system which is inevitably derived from the elements of morality. Students can develop the foundations of moral competence and form the basis for integrated character building through discussing moral themes in accordance with core valu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주,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9) : 165-196, 2018

      2 교육부, "초등학교 도덕 4 교사용지도서" ㈜지학사 2018

      3 유병열, "초등 도덕과 새 교과용 도서 개발의 기본 방향과 교육 내용"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2) : 183-218, 2010

      4 김항인,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6) : 29-53, 2014

      5 조석환, "초등 도덕과 교과서 구성 체제 변화와 향후 발전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0) : 237-267, 2015

      6 김성한, "초등 도덕 교육 보완 방법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7) : 53-79, 2017

      7 민부자, "초등 교원들의 도서발행제 완화에 대한 의견조사 연구"

      8 김태훈, "인성과 교육" 양서원 2018

      9 Pojman, L. P., "윤리학: 옳고 그름의 발견" 도서출판 울력 2011

      10 이재성, "역량 기반 초등도덕과 모형 개발 탐색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6) : 129-154, 2017

      1 김형주,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9) : 165-196, 2018

      2 교육부, "초등학교 도덕 4 교사용지도서" ㈜지학사 2018

      3 유병열, "초등 도덕과 새 교과용 도서 개발의 기본 방향과 교육 내용"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2) : 183-218, 2010

      4 김항인,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6) : 29-53, 2014

      5 조석환, "초등 도덕과 교과서 구성 체제 변화와 향후 발전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0) : 237-267, 2015

      6 김성한, "초등 도덕 교육 보완 방법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7) : 53-79, 2017

      7 민부자, "초등 교원들의 도서발행제 완화에 대한 의견조사 연구"

      8 김태훈, "인성과 교육" 양서원 2018

      9 Pojman, L. P., "윤리학: 옳고 그름의 발견" 도서출판 울력 2011

      10 이재성, "역량 기반 초등도덕과 모형 개발 탐색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6) : 129-154, 2017

      11 김영은, "싱가포르의 ‘2015 교육과정’ 및 「Character & Citizenship Education」교육과정 분석"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6 : 663-684, 2018

      12 Comte-Sponville, A., "미덕에 관한 철학적 에세이" 까치 1997

      13 김태훈, "도덕적 정서와 미덕" 양서원 2016

      14 이태윤, "도덕수업에서 재미에 관한 고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5) : 165-187, 2017

      15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적 역량 재구조화" 한국윤리학회 1 (1): 89-116, 2017

      16 김대용, "도덕 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 도서출판 살림터 2013

      17 "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competence"

      18 "http://www.businessdictionary.com/definition/competence.html"

      19 Nowak, E., "What Is Moral Competence and Why Promote It?" 7 (7): 322-333, 2016

      20 Karlson, N., "Virtue as Competence in the Entrepreneurial Society" The Ratio Institute 1-25, 2013

      21 Oakley. J., "Virtue Ethics and Professional Ro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2 Chouhan, V. S., "Understanding Competencies and Competency Modeling – A Literature Survey" 16 (16): 14-22, 2014

      23 Morales-Sánchez, R., "The Role of Four Universal Moral Competencies in Ethical Decision-Making" 116 (116): 717-734, 2013

      24 Bottery, M., "The Morality of the School: The Theory and Practice of Values in Education" Cassell Educational Limited 1990

      25 Bartram, D., "The Great Competencies: A Criterion-Centric Approach to Validation" 90 (90): 1185-1203, 2005

      26 Dreyfus, H. L.,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e Five-Stage Skill-Acquisition Model" 24 (24): 251-264, 2004

      27 McCloskey, D., "The Bourgeois Virtues – Ethics for An Age of Comme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28 Naquin, S. S., "Redefining State Leadership and Management Development: A Process for Competence-Based Development" 32 (32): 23-46, 2003

      29 Trigg, R., "Morality matters" Blackwell Publishing Ltd 2005

      30 Berkowitz, M. W., "Moral issues in psychology: Personalist contributions to selected problem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1-41, 1997

      31 Narvaez, D., "Moral Complexity: The Fatal Attraction of Truthness and the Importance of Mature Moral Functioning" 5 : 163-181, 2010

      32 Rychen, D. 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Publishing 41-62, 2003

      33 Annas, J., "Intelligent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4 Prehn, K., "Individual Differences in Moral Judgement Competence Influence Neural Correlates of Socio-normative Judgments" 34 : 33-46, 2007

      35 Lind, G., "How to Teach Morality: Promoting Deliberation and Discussion, Reducing Violence and Deceit" Logos Verlag Berlin GmbH 2016

      36 Davidson, M.,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Routledge 370-390, 2008

      37 Macaulay, M., "From Virtue to Competence: Changing the Principles of Public Service" 66 (66): 702-710, 2006

      38 Kulju, K., "Ethical competence : A concept analysis" 23 (23): 401-412, 2016

      39 Becker, L. C., "Encyclopedia of Ethics" Garland Publishing, Inc 1992

      40 Spencer, L., "Competence at Work: A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1993

      41 Blasi, A., "Character Psychology & Character 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67-100, 2005

      42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Inc, "Character Education in U. S. Schools: The New Consensus - A Report on Developments During 1993-1995" 1996

      43 Berkowitz, M. W., "Bringing in a new era in character education, Issue 508" Hoover Institute Press 43-63, 2002

      44 MacIntyre, A., "After Virtue – A Study in Moral Theor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1

      45 Solomon, R. C., "A Better Way To Think About Business – How Personal Integrity Leads To Corporate Succ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46 이인재,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도덕과 기능’ 함양 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73-296,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