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옥 및 실험실내 라돈평형인자, 비 흡착 라돈자손 비율의 일일 변동 특성 = Diurnal Variations of Equilibrium Factor and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ny in Some Houses and Laborat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598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가옥 및 실험실에서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의 농도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환기조건에 따른 평형인자, 비흡착 라돈자손 비율의 변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가옥 7개 지점에서의 평균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각각 30 Bq m^-3, 19.6 Bq m^-3 0.65였다. 한편, 실험실 3개 지점에서의 평균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55.0 Bq m^-3, 31.9 Bq m^-3 , 0.58였다. 실내에서의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새벽 및 아침시간에 높고 오후 4시부터 밤 10시 사이에 낮아지는 주기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환기상태가 좋은 경우가 환기상태가 나쁜 경우에 비해 평형인자는 낮아지는 반면, 비 흡착 라돈자손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평형인자는 기압, 습도에 비례하는 반면, 온도에는 반비례하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일반가옥 및 실험실에서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의 농도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환기조건에 따른 평형인자, 비흡착 라돈자손 비율의 변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가옥 7개 지점에서...

      일반가옥 및 실험실에서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의 농도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환기조건에 따른 평형인자, 비흡착 라돈자손 비율의 변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가옥 7개 지점에서의 평균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각각 30 Bq m^-3, 19.6 Bq m^-3 0.65였다. 한편, 실험실 3개 지점에서의 평균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55.0 Bq m^-3, 31.9 Bq m^-3 , 0.58였다. 실내에서의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새벽 및 아침시간에 높고 오후 4시부터 밤 10시 사이에 낮아지는 주기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환기상태가 좋은 경우가 환기상태가 나쁜 경우에 비해 평형인자는 낮아지는 반면, 비 흡착 라돈자손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평형인자는 기압, 습도에 비례하는 반면, 온도에는 반비례하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 some houses and laboratory buildings have been studied. The variation of equilibrium factor and the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ny with ventilation condition have been also estimated. The averages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were 30 Bq m^-3, 19.6 Bq m^-3 and 0.65 in seven houses, while 55.0 Bq m^-3, 31.9 Bq m^-3 and 0.58 in three laboratory buildings, respectively. The diurnal variation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 indoor showed a typical pattern that the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creased at dawn and morning, while decreased at midday and evening. While the equilibrium factor rate deceased in the indoor environment which was well ventilated, the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ny increased. The equilibrium factor was in proportion to air pressure and humidity of indoor, whereas in inverse proportion to temperature.
      번역하기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 some houses and laboratory buildings have been studied. The variation of equilibrium factor and the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 some houses and laboratory buildings have been studied. The variation of equilibrium factor and the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ny with ventilation condition have been also estimated. The averages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were 30 Bq m^-3, 19.6 Bq m^-3 and 0.65 in seven houses, while 55.0 Bq m^-3, 31.9 Bq m^-3 and 0.58 in three laboratory buildings, respectively. The diurnal variation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 indoor showed a typical pattern that the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creased at dawn and morning, while decreased at midday and evening. While the equilibrium factor rate deceased in the indoor environment which was well ventilated, the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ny increased. The equilibrium factor was in proportion to air pressure and humidity of indoor, whereas in inverse proportion to tempera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