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큐멘터리에서의 감정 서사 전략 연구 = Research on the Emotional Narrative Strategy in Document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1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ge of digital video, the importance of emotions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s being highlighted day by day. Narrative immersion theory asserts that believing in the reality of characters, objects, and events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emotional immersion in digital images. From a reality perspective, documentaries have a stronger sense of immersion than fiction films. However, documentary research has long neglected emotions because they are often mistaken for subjective and individualized emotions. For this reason, the basic elements and methods for realizing the empathy effect and the concepts of emotion, empathy, and emotional narrative are not clear in documentaries,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As a resul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bs the concept of emotion and the basic elements of empathy in documentaries, drawing on related theories of emotion in sociology, psychology, literature, and linguistics.
      This paper contends that emotion includes terms such as emotion, opinion, and concept, all of which belong to the documentary discourse reality show category.
      Based on the concept of emotion and relevant emotional theory, this paper proposes that empathy consists of three key elements: basic emotion, narrative situation, and symbol. The four elements of empathy are expounded using Korean documentaries on the elderly (2000-2020) as the main line. We use emotional analysis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trend and type of emotional lines in the story of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emotional change process in the documentary. This study clarifies the legal status of emotion in documentaries, clearly depicts the process of emotional changes in documentaries, and adequately explains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otional changes.
      On this basis, this paper suggests the emotional narrative strategy.
      번역하기

      In the age of digital video, the importance of emotions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s being highlighted day by day. Narrative immersion theory asserts that believing in the reality of characters, objects, and events is a prer...

      In the age of digital video, the importance of emotions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s being highlighted day by day. Narrative immersion theory asserts that believing in the reality of characters, objects, and events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emotional immersion in digital images. From a reality perspective, documentaries have a stronger sense of immersion than fiction films. However, documentary research has long neglected emotions because they are often mistaken for subjective and individualized emotions. For this reason, the basic elements and methods for realizing the empathy effect and the concepts of emotion, empathy, and emotional narrative are not clear in documentaries,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As a resul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bs the concept of emotion and the basic elements of empathy in documentaries, drawing on related theories of emotion in sociology, psychology, literature, and linguistics.
      This paper contends that emotion includes terms such as emotion, opinion, and concept, all of which belong to the documentary discourse reality show category.
      Based on the concept of emotion and relevant emotional theory, this paper proposes that empathy consists of three key elements: basic emotion, narrative situation, and symbol. The four elements of empathy are expounded using Korean documentaries on the elderly (2000-2020) as the main line. We use emotional analysis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trend and type of emotional lines in the story of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emotional change process in the documentary. This study clarifies the legal status of emotion in documentaries, clearly depicts the process of emotional changes in documentaries, and adequately explains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otional changes.
      On this basis, this paper suggests the emotional narrative strate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영상 시대에서, 정보 전파와 문화 생산 중 감정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서사 몰입 이론은인물, 객체, 사건의 리얼리티를 믿는 것이 디지털 영상의 감정적 몰입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주장한다. 리얼리티 시각에서 보면, 다큐멘터리는 픽션 영화보다 몰입감에서 강세를 보인다. 그러나 감정은 종종주관적이고 개인화된 정서로 오인되기 때문에 다큐멘터리 연구에서 오랫동안 홀시되어 왔다. 이로 인해 다큐멘터리에는 감정, 공감, 감정 서사 등의 개념과 공감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기본 요소와 방법이 명확하지 않았고 더 깊이 있게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사회학, 심리학, 문학, 언어학 등 학문에서의 감정 관련 이론을 빌어 다큐멘터리에서의 감정, 공감, 감정 서사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리하고자 한다.
      관련 감정 이론과 결합하여 공감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다큐멘터리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기본 감정, 서사상황, 기호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노년 소재에 대한 다큐멘터리(2000년~2020년)를 중심으로 공감의 세가지 요소를 명확하게 설명한다. 다큐멘터리 속 감정의변화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감정 분석 방법을사용하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해당 작품의이야기에 실재하는 감정선의 흐름과 유형을 조사하였고 이를 검증한다.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에서의 감정의합리적 지위를 더욱 명확히 하고, 다큐멘터리에서의 감정 변화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주며, 감정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설명한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감정 서사의 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의감정 서사를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며, 향후 다큐멘터리이야기 구조에서의 감정 분석과 설정을 위해 참고적 건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디지털 영상 시대에서, 정보 전파와 문화 생산 중 감정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서사 몰입 이론은인물, 객체, 사건의 리얼리티를 믿는 것이 디지털 영상의 감정적 몰입을 실현하기 ...

      디지털 영상 시대에서, 정보 전파와 문화 생산 중 감정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서사 몰입 이론은인물, 객체, 사건의 리얼리티를 믿는 것이 디지털 영상의 감정적 몰입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주장한다. 리얼리티 시각에서 보면, 다큐멘터리는 픽션 영화보다 몰입감에서 강세를 보인다. 그러나 감정은 종종주관적이고 개인화된 정서로 오인되기 때문에 다큐멘터리 연구에서 오랫동안 홀시되어 왔다. 이로 인해 다큐멘터리에는 감정, 공감, 감정 서사 등의 개념과 공감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기본 요소와 방법이 명확하지 않았고 더 깊이 있게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사회학, 심리학, 문학, 언어학 등 학문에서의 감정 관련 이론을 빌어 다큐멘터리에서의 감정, 공감, 감정 서사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리하고자 한다.
      관련 감정 이론과 결합하여 공감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다큐멘터리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즉 기본 감정, 서사상황, 기호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노년 소재에 대한 다큐멘터리(2000년~2020년)를 중심으로 공감의 세가지 요소를 명확하게 설명한다. 다큐멘터리 속 감정의변화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감정 분석 방법을사용하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해당 작품의이야기에 실재하는 감정선의 흐름과 유형을 조사하였고 이를 검증한다.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에서의 감정의합리적 지위를 더욱 명확히 하고, 다큐멘터리에서의 감정 변화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주며, 감정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설명한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감정 서사의 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의감정 서사를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며, 향후 다큐멘터리이야기 구조에서의 감정 분석과 설정을 위해 참고적 건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남영,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 비교 연구 - <아무르>(2012)와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2014)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0) : 161-186, 2018

      2 박수복, "교류분석과 Satir의 의사소통유형의 비교" 2011

      3 김성희, "교류 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와학생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2011

      4 刘挺, "语言技术平台" 25 (25): 2011

      5 齐格蒙, "译怀旧的乌托邦" 中国人民大学出版社 2018

      6 陈良梅, "论叙事情境理论" 2005

      7 С. М. 爱森斯坦, "蒙太奇论" 中国电影出版社 1998

      8 苏珊, "艺术问题"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83

      9 约翰, "纪录电影的首要原则" 中国广播电视出版社 2001

      10 刘俊升, "移情的心理机制及其影响因素概述" 2008

      1 허남영,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 비교 연구 - <아무르>(2012)와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2014)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0) : 161-186, 2018

      2 박수복, "교류분석과 Satir의 의사소통유형의 비교" 2011

      3 김성희, "교류 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교사와학생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2011

      4 刘挺, "语言技术平台" 25 (25): 2011

      5 齐格蒙, "译怀旧的乌托邦" 中国人民大学出版社 2018

      6 陈良梅, "论叙事情境理论" 2005

      7 С. М. 爱森斯坦, "蒙太奇论" 中国电影出版社 1998

      8 苏珊, "艺术问题"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83

      9 约翰, "纪录电影的首要原则" 中国广播电视出版社 2001

      10 刘俊升, "移情的心理机制及其影响因素概述" 2008

      11 沃伦, "电影认知符号学"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2

      12 威廉, "感情研究指南" 华东师范大学出版社 2020

      13 郭劲锋, "感动观众: 个人生命体验的公众分享——纪录片的情感叙事策略研究" 北京电影学院学报 2013

      14 罗森林, "情感计算理论与技术" 25 (25): 2003

      15 乔纳森, "情感社会学" 上海人民出版社 2007

      16 杰拉德, "叙述学词典" 上海译文出版社 2016

      17 热拉尔, "叙话语: 新叙事话语"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90

      18 James, William, "What Is an Emotion?" Simon and Schuster 2013

      19 Henri Lefebvre,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1991

      20 Clough Patricia T., "The Affective Turn: Political Economy, Biomedia and Bodies" 2008

      21 Gordon, Steven L.,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2017

      22 Chapel Hill, "Public Sentiment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1

      23 Mestrovi Stjepan G., "Postemotional Society" SAGE 1997

      24 Kemper, Theodore D, "How Many Emotions Are There? Wedding the Social and Autonomic Components" 1987

      25 Kohut, "How Does Analysis Cu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26 Shott Susan, "Emotion and Social Life : A Symbolic Interactionist Analysis" 1979

      27 James Chandler, "An Archaeology of Sympathy: The Sentimental Mode in Literature and Cinem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

      28 Z. Papacharissi, "Affective Publics: Sentiment, Technology, an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