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경협의 위기와 해법: 남북관계의 법제화를 중심으로 = Crisis and Prospec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0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about the crisis and prospec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 would like to argue that stable legal, institutional devices will reduce instability i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contribute to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First, it is needed to make effective laws regarding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y has to be strengthened in having a dialogue and signing an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Second, a feasible crisis response process against the case where North Korea might temporarily halt or withdraw their economic cooperation should be designed. Third,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alternative measures to manage and operate the special economic zone in a stable manner.
      번역하기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about the crisis and prospec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 would like to argue that stable legal, institutional devices will reduce instability i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con...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about the crisis and prospec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 would like to argue that stable legal, institutional devices will reduce instability i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contribute to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First, it is needed to make effective laws regarding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y has to be strengthened in having a dialogue and signing an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Second, a feasible crisis response process against the case where North Korea might temporarily halt or withdraw their economic cooperation should be designed. Third,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alternative measures to manage and operate the special economic zone in a stable mann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남북관계의 불안정성, 특히 남북 간 경제협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남북관계 법제화의 필요성과 이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와 같은 남북 간 경제협력의 중단사태는 되돌릴 수 없는 결과인가?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안정적인 법적, 제도적 장치를 지속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이와 같은 남북경협의 불안정성을 재고하고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남북경협은 남북 간 대결의 구조 속에 불안정을 내재할 수밖에 없다. 다만 남북관계의 법제화는 이와 같은 불안정을 점차적으로 해소하고 상호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의 실효적인 법제화가 이행되어야 한다. 특히 남북 간 대화와 합의서의 체결에 있어 국회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남북경협에 있어 현실 가능한 일시적 중단과 철수에 대비한 위기대응 프로세스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남북경협의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경제특구를 안정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경제특구와 관련한 법제도와 현실 간의 괴리를 극복하고 경제특구 내에서 ‘법치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남북관계의 불안정성, 특히 남북 간 경제협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남북관계 법제화의 필요성과 이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와 같...

      이 논문은 남북관계의 불안정성, 특히 남북 간 경제협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남북관계 법제화의 필요성과 이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와 같은 남북 간 경제협력의 중단사태는 되돌릴 수 없는 결과인가?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안정적인 법적, 제도적 장치를 지속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이와 같은 남북경협의 불안정성을 재고하고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남북경협은 남북 간 대결의 구조 속에 불안정을 내재할 수밖에 없다. 다만 남북관계의 법제화는 이와 같은 불안정을 점차적으로 해소하고 상호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첫 번째로, 남북관계의 실효적인 법제화가 이행되어야 한다. 특히 남북 간 대화와 합의서의 체결에 있어 국회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남북경협에 있어 현실 가능한 일시적 중단과 철수에 대비한 위기대응 프로세스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남북경협의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경제특구를 안정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경제특구와 관련한 법제도와 현실 간의 괴리를 극복하고 경제특구 내에서 ‘법치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봉현,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 과제"

      2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3 문재인, "쾨르버 재단 초청 연설"

      4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제20회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회의록 제2호"

      5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집 : 나라를 나라답게"

      6 신종호,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 평가" KINU 2016

      7 조민, "북핵일지, 1955-2014" 통일연구원 2014

      8 남성욱, "북한의 식량난과 인구변화 추이, 1961-1998" 2 (2): 265-, 1999

      9 유현정,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전략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 북한연구소 41 (41): 5-37, 2016

      10 "북한법제 데이터베이스"

      1 조봉현,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 과제"

      2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3 문재인, "쾨르버 재단 초청 연설"

      4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제20회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회의록 제2호"

      5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집 : 나라를 나라답게"

      6 신종호,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 평가" KINU 2016

      7 조민, "북핵일지, 1955-2014" 통일연구원 2014

      8 남성욱, "북한의 식량난과 인구변화 추이, 1961-1998" 2 (2): 265-, 1999

      9 유현정,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전략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 북한연구소 41 (41): 5-37, 2016

      10 "북한법제 데이터베이스"

      11 정성윤, "북한 5차 핵실험의 의미와 파장" KINU 3-, 2016

      12 이석, "변화하는 북한경제, 새로운 남북협력과 또 다른 단절의 갈림길"

      13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14 정일영, "남북합의서의 법제화 방안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18 (18): 373-406, 2012

      15 제성호, "남북합의서에 대한 국내법적 효력부여문제-국제법상 조약의 개념과 우리 헌법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법조협회 53 (53): 44-88, 2004

      16 정대진, "남북합의서 이행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5.24조치와 『남북관계발전에관한법률』 제23조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1 (21): 151-177, 2017

      17 안태원, "남북관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개성공단 그리고 남북경협" 2017

      18 이찬호, "남북경협의 경험과 법적 과제" 법학연구소 10 (10): 305-325, 2016

      19 "국가법령정보센터"

      20 통일부, "개성공업지구 법규집"

      21 정일영, "개성공단의 재개와 안정적 발전방안의 모색" KDB북한개발 2017

      22 유현정, "개성공단의 안정적 운영과 법치경제의 모색; 고용, 임금, 분쟁에 관한 노동법제를 중심으로" 북한학연구소 11 (11): 139-170, 2015

      23 김광수, "개성공단에서의 남북상사중재위원회 구성·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중재학회 24 (24): 3-31, 2014

      24 박지연, "개성공단에서의 공동 거버넌스 연구: 모델의 구축과 함의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5 (25): 111-131, 2016

      25 임성택, "개성공단 폐쇄 및 기업의 피해구제에 관한 법적 검토"

      26 임강택, "개성공단 운영실태와 발전방안 : 개성공단 운영 11년(2005-2015)의 교훈" 통일연구원 2017

      27 제성호, "6.15 남북공동선언과 후속문서의 법적 성격과 효력" 34 (34): 209-, 2001

      28 통일부, "2017 통일백서" 통일부 2017

      29 장명봉, "2015 북한법령집" 북한법연구회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