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은 시대의 대외개방정책과 남북경제협력: 경제개발구 전략을 활용한 새로운 협력모델의 모색 = The External Opening Policy in Kim Jong-un’s Era and Inter-Korean Cooperation: A Search for New Model of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Zones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0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90s, North Korea has been pursuing intermittently but steadily the external opening policy. After Kim Jong-un took power, he is enthusiastically promoting more upgraded economic opening strategy. The possibility of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external openness is not high. It is more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acquire the foreign capital and technology as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taken high-level sanctions against the recent advancement of nuclear technology. Nonetheless, North Korea’s external opening policy can be a window of opportunity for South Korea.
      If the existing inter-Korean cooperation model was to induce change in North Korea only in the way South Korea wanted, the new model needs to consider expanding the mutual benefits of the two Koreas by using the development strategy suggested by the North itself. In particular, if Kim Jong-un does not achieve a certain level of performance in his economic development zone(EDZs) policy, then even if the so-called “nuclear armed forces” are completed, it will be political burdens to him. As a result, he will have to push ahead with external opening policy and in that process South Korea will become an important partner.
      In this inter-Korean cooperation model 2.0, local governments that have been relatively free from political characteristics can play important roles.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pursue more activ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s should be preced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local governments for the past two decades, specific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①bypass, ②multi-layered linkage, ③package deal strategy. Through these strategies, it will be possible to share or expand mutual benefits from the local level through the advancement of local governments into North Korea’ EDZs, away from past exchanges focusing on unilateral aids. As a result,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a new cooperation model between two Koreas through gradual expansion of achievement from local to national level.
      번역하기

      Since the 1990s, North Korea has been pursuing intermittently but steadily the external opening policy. After Kim Jong-un took power, he is enthusiastically promoting more upgraded economic opening strategy. The possibility of economic development thr...

      Since the 1990s, North Korea has been pursuing intermittently but steadily the external opening policy. After Kim Jong-un took power, he is enthusiastically promoting more upgraded economic opening strategy. The possibility of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external openness is not high. It is more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acquire the foreign capital and technology as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taken high-level sanctions against the recent advancement of nuclear technology. Nonetheless, North Korea’s external opening policy can be a window of opportunity for South Korea.
      If the existing inter-Korean cooperation model was to induce change in North Korea only in the way South Korea wanted, the new model needs to consider expanding the mutual benefits of the two Koreas by using the development strategy suggested by the North itself. In particular, if Kim Jong-un does not achieve a certain level of performance in his economic development zone(EDZs) policy, then even if the so-called “nuclear armed forces” are completed, it will be political burdens to him. As a result, he will have to push ahead with external opening policy and in that process South Korea will become an important partner.
      In this inter-Korean cooperation model 2.0, local governments that have been relatively free from political characteristics can play important roles.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pursue more activ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s should be preced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local governments for the past two decades, specific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①bypass, ②multi-layered linkage, ③package deal strategy. Through these strategies, it will be possible to share or expand mutual benefits from the local level through the advancement of local governments into North Korea’ EDZs, away from past exchanges focusing on unilateral aids. As a result,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a new cooperation model between two Koreas through gradual expansion of achievement from local to national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은 1990년대부터 대외개방을 단속적이지만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김정은 집권 이후 보다 업그레이드된 경제개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핵기술 고도화에 따른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로 인해 해외자본과 기술의 유치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대외개방을 통한 경제발전의 가능성은 높지 않다. 남북 당국간 창구도 없는 상황이지만, 북한의 대외개방정책은 오히려 우리에게 기회의 창이 될 수 있다. 기존 남북협력모델은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의 북한 변화만을 유도하고자 했다면, 새로운 협력모델은 북한이 스스로 제시한 발전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남북 양측의 상호이익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김정은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경제특구・개발구 정책이 일정 수준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소위 ‘핵무력’을 완성한다고 하더라도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외개방정책을 추진할 수밖에 없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은 중요한 파트너이다. 새로운 남북협력모델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치적 성격으로부터 자유로운 지방자치단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적극적인 남북교류협력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보완이 우선되어야 하며, 과거 20년간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 경험을 토대로 (1) 우회전략, (2) 다층연계전략, (3) 패키지딜전략을 구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일방적 원조 위주의 교류에서 벗어나 경제개발구에 대한 지자체의 진출을 통해 지방수준에서부터 남북간 상호이익을 공유 및 확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방에서부터 중앙으로 성과의 점진적 파급을 통해 새로운 남북협력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북한은 1990년대부터 대외개방을 단속적이지만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김정은 집권 이후 보다 업그레이드된 경제개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핵기술 고도화에 따른 국제사회...

      북한은 1990년대부터 대외개방을 단속적이지만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김정은 집권 이후 보다 업그레이드된 경제개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핵기술 고도화에 따른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로 인해 해외자본과 기술의 유치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대외개방을 통한 경제발전의 가능성은 높지 않다. 남북 당국간 창구도 없는 상황이지만, 북한의 대외개방정책은 오히려 우리에게 기회의 창이 될 수 있다. 기존 남북협력모델은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의 북한 변화만을 유도하고자 했다면, 새로운 협력모델은 북한이 스스로 제시한 발전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남북 양측의 상호이익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김정은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경제특구・개발구 정책이 일정 수준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소위 ‘핵무력’을 완성한다고 하더라도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외개방정책을 추진할 수밖에 없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은 중요한 파트너이다. 새로운 남북협력모델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치적 성격으로부터 자유로운 지방자치단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적극적인 남북교류협력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보완이 우선되어야 하며, 과거 20년간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 경험을 토대로 (1) 우회전략, (2) 다층연계전략, (3) 패키지딜전략을 구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일방적 원조 위주의 교류에서 벗어나 경제개발구에 대한 지자체의 진출을 통해 지방수준에서부터 남북간 상호이익을 공유 및 확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방에서부터 중앙으로 성과의 점진적 파급을 통해 새로운 남북협력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대석, "지방자치단체 대북교류 10년 백서" 통일부 2009

      2 최용환,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 쟁점과 과제" (겨울) : 2015

      3 권영경, "중국의 사례를 통해 본 김정은정권 경제개발구 정책의 과제와 향후 전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181-206, 2015

      4 림금숙, "중국 경제체제 개혁의 경험과 함의" 연변대학 2015

      5 "조선신보"

      6 홍석훈, "북핵 고도화와 새로운 대북정책의 모색 : 공세적 핵전략으로의 진화와 우리의 대응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7 (17): 101-130, 2017

      7 유현정, "북한의「경제개발구법」에 대한 평가와 전망" 세종연구소 20 (20): 37-59, 2014

      8 최용환, "북한의 특구개발전략과 경기도의 대응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9 배종렬, "북한의 외국자본유치실태에 대한 평가 및 전망, in 남북한 경제협력: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한국수출입은행 2000

      10 이종규,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구 추진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5

      1 최대석, "지방자치단체 대북교류 10년 백서" 통일부 2009

      2 최용환,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 쟁점과 과제" (겨울) : 2015

      3 권영경, "중국의 사례를 통해 본 김정은정권 경제개발구 정책의 과제와 향후 전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181-206, 2015

      4 림금숙, "중국 경제체제 개혁의 경험과 함의" 연변대학 2015

      5 "조선신보"

      6 홍석훈, "북핵 고도화와 새로운 대북정책의 모색 : 공세적 핵전략으로의 진화와 우리의 대응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7 (17): 101-130, 2017

      7 유현정, "북한의「경제개발구법」에 대한 평가와 전망" 세종연구소 20 (20): 37-59, 2014

      8 최용환, "북한의 특구개발전략과 경기도의 대응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9 배종렬, "북한의 외국자본유치실태에 대한 평가 및 전망, in 남북한 경제협력: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한국수출입은행 2000

      10 이종규,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구 추진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5

      11 이석기,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과 남북한 경제협력 과제" (386) : 33-, 2013

      12 조봉현,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 동향과 남북협력 연계방안"

      13 권영경, "북한의 경제개발구 추진과 남북경제협력의 과제" 260-, 2015

      14 임호열, "북한의 경제개발구 추진 현황과 향후 과제" 15 (15): 5-, 2015

      15 양문수, "북한의 경제 특구 개발구 지원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16 조영기, "북한경제특구(개발구) 진출기업에 대한 지원수요 정책" NARS 26-, 2014

      1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18 최용환, "민선6기 경기도 남북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경기연구원 2016

      19 "로동신문"

      20 림금숙, "두만강 삼각주 국제관광합작구 건설에 관하여" 통일연구원 24 (24): 165-199, 2015

      21 김동성, "남북교류협력과 경기도" 경기연구원 2016

      22 권기철, "남북 개발협력을 통한 북한 경제개발구 개발 연구" 6 (6): 50-59, 2015

      23 배종렬, "김정은 시대의 경제특구와 대외개방: 평가와 전망" 북한연구학회 18 (18): 27-57, 2014

      24 임을출, "김정은 시대의 경제개발구 정책: 특징, 평가 및 전망"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7 (27): 201-236, 2015

      25 이승욱,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 19 (19): 122-142, 2016

      26 강정남, "경제개발구의 본질과 구분" 60 (60): 117-, 2014

      27 강정남, "경제개발구법제도에 대한 리해에서 제기는 기초적인 문제" (43) : 52-, 2013

      28 양문수, "개성공단 중단 이후 남북경제협력 재개방안과 경기도의 과제" 경기연구원 2016

      29 조동호, "강원도 남북교류협력의 새로운 모델 : DMZ 패키지 전략" 강원발전연구원 2013

      30 Abrahamian, Andray, "The ABCs of North Korea’s SEZs" US-Korea Institute at SAIS 2014

      31 Gottmann, J., "Spatial Partitioning and the Politician’s Wisdom" 1 (1): 1980

      32 Jo, J., "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 41 (41): 2007

      33 Snyder, Scott,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the Kim Jong Un Era: Global Perspective and Response" (겨울) : 2013

      34 Doucette, J., "Experimental Territority: Assembling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47 : 2015

      35 Rudiger Frank, "Economic Reform during the First Four Years of Kim Jong-un’s Rule: An Analysis Based on the CRE Model" 통일연구원 25 (25): 1-32, 2016

      36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2004

      37 Oleg Kiriyanov, "An Uncertain Future for the Russia-DPRK “Rajin-Khasan” Project" 통일연구원 25 (25): 163-19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