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미시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기술인 부품소재기술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8894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미시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기술인 부품소재기술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
본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미시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기술인 부품소재기술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외생화 모델을 사용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해서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시도하고, 나아가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부품소재기술 중 주목받고 있는 분리막 공정기술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미시적으로 분석한다. 산업의 특성과 시장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특정 기술의 파급효과 분석에 대한 과대 계상을 지양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리막 공정기술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이유는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산업(수소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폐기물에너지 등)에 분리막 공정기술이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의 경제성 분석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향후 신재생에너지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분리막 기술과 이를 포함하는 기초부품소재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론은 기존의 산업연관분석과는 다르게 미래예측을 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반 산업연관분석이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산업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분석을 통해서 시장환경변화 및 특정기술의 효과를 고려해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이를 토대로 산업연관분석을 시행하는 것이다. 또한 분리막공정기술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외생화 모델을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