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三方撮要』의 편찬과 傳存내력 = A Study on the Compilation and Bibliography of 『Sambang-chwary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8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prepare for war against the Qing, King Hyojong and Song Si-Yeol (Uam, 1607~1689) of Joseon compiled the 『Sambang』, a set of medical books by utilizing the experience of famous doctors from 8 provinces of Korea. After the compilation, the disciples of Uam compiled a book called 『Sambang-chwaryo』, a summary of the 『Sambang』. Although these two books have been mentioned several times in records, the actual books were known to be lost. However, a promotional article for 『Sambang-chwaryo』 in the 1940s edition list of the Haengnim publishing house, who tried to publish but failed, has been discovered, and a handwritten copy of the book from the editor’s descendant has been obtained a few years ago.
      By acquiring this proofread copy, it has become possible to grasp the actual contents of the 『Sambang-chwaryo』. Moreover, the whole contents have been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and released to the public. In this paper, we review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is book and try to understand the purpose, process, author and various versions of the compilation and its history.
      번역하기

      To prepare for war against the Qing, King Hyojong and Song Si-Yeol (Uam, 1607~1689) of Joseon compiled the 『Sambang』, a set of medical books by utilizing the experience of famous doctors from 8 provinces of Korea. After the compilation, the discip...

      To prepare for war against the Qing, King Hyojong and Song Si-Yeol (Uam, 1607~1689) of Joseon compiled the 『Sambang』, a set of medical books by utilizing the experience of famous doctors from 8 provinces of Korea. After the compilation, the disciples of Uam compiled a book called 『Sambang-chwaryo』, a summary of the 『Sambang』. Although these two books have been mentioned several times in records, the actual books were known to be lost. However, a promotional article for 『Sambang-chwaryo』 in the 1940s edition list of the Haengnim publishing house, who tried to publish but failed, has been discovered, and a handwritten copy of the book from the editor’s descendant has been obtained a few years ago.
      By acquiring this proofread copy, it has become possible to grasp the actual contents of the 『Sambang-chwaryo』. Moreover, the whole contents have been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and released to the public. In this paper, we review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is book and try to understand the purpose, process, author and various versions of the compilation and its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의 효종임금과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청나라와의 전쟁에 대비하여 조선 8도의 명의들을 동원하여 편찬한 『三方』은 구전으로만 전해질 뿐 실물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후에 우암의 제자들이 원서를 요약하여 개편한 『三方撮要』라는 의서가 몇몇 학자들 사이에 이름만 거명되었을 뿐이었다. 요행이도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행림서원의 도서출판 목록에서 이 책을 소개해 놓은 편집자의 글을 찾아볼 수 있었고, 후손을 통해 출판 직전의 檢本을 입수할 수 있었다.
      출판을 위해 옮겨 적은 이 등사 전본이 발견됨으로써 우리가 말로만 전해 듣던 『三方撮要』의 면모를 간략하게나마 파악할 수 있었으며, 오랜 노력 끝에 전문 국역되어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여기서는 그간에 알려진 이 책에 대한 서지 정보를 검토하고 편찬경위와 편찬인물, 전존 내력 그리고 전본의 계통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조선의 효종임금과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청나라와의 전쟁에 대비하여 조선 8도의 명의들을 동원하여 편찬한 『三方』은 구전으로만 전해질 뿐 실물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후에 우암의 제...

      조선의 효종임금과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청나라와의 전쟁에 대비하여 조선 8도의 명의들을 동원하여 편찬한 『三方』은 구전으로만 전해질 뿐 실물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후에 우암의 제자들이 원서를 요약하여 개편한 『三方撮要』라는 의서가 몇몇 학자들 사이에 이름만 거명되었을 뿐이었다. 요행이도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행림서원의 도서출판 목록에서 이 책을 소개해 놓은 편집자의 글을 찾아볼 수 있었고, 후손을 통해 출판 직전의 檢本을 입수할 수 있었다.
      출판을 위해 옮겨 적은 이 등사 전본이 발견됨으로써 우리가 말로만 전해 듣던 『三方撮要』의 면모를 간략하게나마 파악할 수 있었으며, 오랜 노력 끝에 전문 국역되어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여기서는 그간에 알려진 이 책에 대한 서지 정보를 검토하고 편찬경위와 편찬인물, 전존 내력 그리고 전본의 계통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유의열전" 들녘 2011

      2 김신근, "한의약서고" 서울대출판부 1987

      3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1993

      4 신만, "주촌신방" 삼광인쇄소 1930

      5 최수한, "조선의적통고" 중국의약출판사 1996

      6 이성우, "식경대전" 향문사 1981

      7 안상우, "동춘당일기의 의약기록과 의료인식" 한남대 충청학연구소 2006

      8 한남대 충청학연구소, "동춘당 송준길 연구" 경인문화사 2007

      9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인물실록" 들녘 2011

      10 신만, "국역주촌신방"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1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유의열전" 들녘 2011

      2 김신근, "한의약서고" 서울대출판부 1987

      3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1993

      4 신만, "주촌신방" 삼광인쇄소 1930

      5 최수한, "조선의적통고" 중국의약출판사 1996

      6 이성우, "식경대전" 향문사 1981

      7 안상우, "동춘당일기의 의약기록과 의료인식" 한남대 충청학연구소 2006

      8 한남대 충청학연구소, "동춘당 송준길 연구" 경인문화사 2007

      9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인물실록" 들녘 2011

      10 신만, "국역주촌신방"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11 안상우, "국역삼방촬요" 한국한의학연구원 2017

      12 류희영, "韓國醫藥人名事典" 의성당 1991

      13 李泰浩, "醫書總目錄" 杏林書院 1940

      14 양승률, "舟村 申曼의『保幼新編』편찬과『舟村新方』" 한국학중앙연구원 (25) : 52-77, 2011

      15 杏雨書屋, "杏雨書屋圖書目錄" 武田製藥杏雨書屋 1979

      16 三木榮, "朝鮮醫書誌" 학술도서간행회 1956

      17 안상우, "單方新編. 민족의학"

      18 안상우, "三方撮要. 민족의학"

      19 鄭澔, "丈巖集" 민족문화추진회 2004

      20 中國 新漢醫學硏究會, "(古今歷驗)東醫婦科診療의 實際" 행림서원 19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