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치매관리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의 제도를 통해서 치매를 예방하고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치매환자들을 위한 서비스 지원체계를 확대시켜나가고 있음. 그러나 치매로 인한 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1743
-
2017년
Korean
치매 ; dementia ; prevention ; community ; integrated service ; network ; social services ; health and medical services ; 예방 ; 지역사회 ; 통합서비스 ; 지원망 ; 사회서비스 ; 보건의료서비스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치매관리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의 제도를 통해서 치매를 예방하고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치매환자들을 위한 서비스 지원체계를 확대시켜나가고 있음. 그러나 치매로 인한 장...
한국은 치매관리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의 제도를 통해서 치매를 예방하고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치매환자들을 위한 서비스 지원체계를 확대시켜나가고 있음. 그러나 치매로 인한 장기적인 노인요양비용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예방 및 조기 진단 인프라가 아직 취약한 상황이며, 치매 발생 위험요인 사전관리 강화, 치매 인식 개선 및 정보 제공, 가족지원 서비스 개발, 치매예방 서비스 전문 인력 양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음. 본 연구는 고령사회 위험 요인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치매 문제 예방을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지원체계 구축에 관한 실태 파악 및 개념화 작업을 통해 시범사업 기획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 및 아젠다를 발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음
주요 연구내용은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지원체계 관련 제도 현황 조사,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지원망 사례 실태조사, 지역사회 기반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지원망 구축을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개념적 틀 연구, 지역사회 기반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지원망 모델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 기획 및 과제 발굴을 포함함.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치매예방제도, 서비스 전달체계 등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한편 선진국의 치매노인을 위한 통합적 서비스 제공체계를 분석(싱가포르, 영국, 네덜란드, 미국)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함. 수원시 지역사회의 사례연구를 통해 치매예방서비스 지원체계의 지역사례 모델을 분석하여 한계점 및 개선방안을 제언함. 사례연구 지역(수원시, 용인시)의 치매예방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치매예방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장 전문가와 실제 이용하는 이용자 및 이용자 가족이 치매예방 서비스를 이용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한편 치매예방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욕구를 진단함. 이와 더불어 사례 연구 지역(수원시, 용인시)의 주민 및 공공 및 민간 서비스 제공자, 전문가,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간담회,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지역사회에 필요한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전달체계를 대한 의견을 수렴함. 본 연구의 결과가 연속성과 통합성을 갖춘 지역사회 기반의 치매예방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치매예방 환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Dementia Management Law(2011) and Long-Term Care for Elderly Law(2007) have been enacted in order to develop preventive services and also to provide long-term care services for elderly with dementia. However, the preventive and early interve...
In Korea, Dementia Management Law(2011) and Long-Term Care for Elderly Law(2007) have been enacted in order to develop preventive services and also to provide long-term care services for elderly with dementia. However, the preventive and early intervention system is at the beginning stage of development, and early management of risk factor, awareness raising,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of family support services, and professional training of service providers are still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ementia service delivery system from both service users and providers’ perspectives, and to conceptualize and delineate agenda for designing community-based models. Literature review on policies and programs, case study of community-based integrated services in Korea and overseas, survey of 278 family memb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this research.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community-based integrated models in Singapore, England, Netherlands, U.S.A. Limitations and challenges were suggested from some best practices in local communities. Moreover, a survey of family members and service providers for elderly were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issues 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