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0535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 연구의 배경 2
      • 2)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I.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 연구의 배경 2
      • 2)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8
      • 3) 연구의 흐름 11
      • Ⅱ. 관련이론 검토 15
      • 1. 도시설계분야의 주요패러다임 변화 16
      • 1) 도시설계 분야에서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 16
      • 2) 도시설계 분야에서 주요 패러다임의 변화 19
      • 2. 도시설계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에 관한 논의 27
      • 1) 한국적인 것에 관한 논의 27
      • 2) 도시설계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에 대한 논의의 규정 30
      • Ⅲ. 한국 도시공간의 현황 33
      • 1. 한국 도시의 여건변화 34
      • 1) 도시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변화 34
      • 2) 지방자치에 따른 도시 만들기 확산 41
      • 3) 도심부 쇠퇴 및 인구저성장 진행 45
      • 4) 탈집중화 시대의 공간 양극화 48
      • 2. 한국 도시의 최근 이슈 51
      • 1) 지속가능한 가치체계의 등장 51
      • 2) 전문가의 협업 및 통합화 확산 55
      • 3) 상향식 계획방식의 등장 59
      • 4) 모더니즘 도시설계에 대한 반성 61
      • 3. 소결 63
      • Ⅳ. 한국 도시설계의 특성 65
      • 1. 기존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66
      • 1) 기존도시 설계의 경향 66
      • 2) 기존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74
      • 2. 신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92
      • 1) 신도시 도시설계의 경향 92
      • 2) 60-70년대 신도시 도시설계의 사례 : 창원시 100
      • 3) 80년대 신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사례 : 분당신도시 116
      • 4) 2000년대 신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사례 : 행복도시 132
      • 3. 소결 144
      • Ⅴ.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 153
      • 1. 내용적 측면 156
      • 1) (고유한 도시적) 장소성에 대한 회복 156
      • 2) 사회적 변화에 대한 대응 171
      • 3) 탈 근대적 시대정신에 대한 수용 175
      • 2. 형식적 측면 179
      • 1) (시민참여에 의한) 커뮤니티의 복원 179
      • 2) (지자체 주도에 의한) 지역별 정체성 회복 189
      • 3) 전문분야간의 소통과 유연한 계획체계 195
      • 3. 소결 201
      • Ⅵ. 결론 203
      • 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의 의의 204
      • 2. 향후 연구 및 정책추진 방향 207
      • 1)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207
      • 2) 정책제언 208
      • 참고문헌 212
      • Summary 223
      • 부록 1-1. 외국도시의 정체성 모색사례(미국) 227
      • 부록 1-2. 외국도시의 정체성 모색사례(프랑스) 253
      • 부록 2-1. 한국의 도시적 정체성에 관한 설문조사(일반인) 300
      • 부록 2-2. 한국의 도시적 정체성에 관한 설문조사(전문가) 3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