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정책 = Park Geun-hye Government's Policy of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2.0이 박근혜정부 대북정책의 일대 전환이 아닌 세부 조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정책이 기능주의적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과 신기능주의적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 즉 온건정책과 강경정책을 합친 것이고 세 가지 기본 개념은 튼튼한 안보, 신뢰, 그리고 균형으로서 그 기본 원칙과 전략이 맞다. 또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수정/보완한다는 점에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2.0도 적절한 방향이지만 성공적인 정책으로 완성되기 위하여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하다. 첫째, 5·24조치 해제는 현금유입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강화된 신기능주의적 상호주의가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인도적 지원도 전달이 투명하게 확인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중국이 동의하는 것이 아직 ‘한반도 비핵화’이지 ‘북한의 비핵화’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안보외교를 포함한 우리의 실리적인 외교 능력이 발휘되어야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서 적게 논의되고 있는 것이 남남갈등, 통일교육 등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통일이 재앙이 되지 않고 통일대박이 되기 위해서 통일준비의 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2.0이 박근혜정부 대북정책의 일대 전환이 아닌 세부 조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정책이 기능주의적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과 신기능...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2.0이 박근혜정부 대북정책의 일대 전환이 아닌 세부 조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정책이 기능주의적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과 신기능주의적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 즉 온건정책과 강경정책을 합친 것이고 세 가지 기본 개념은 튼튼한 안보, 신뢰, 그리고 균형으로서 그 기본 원칙과 전략이 맞다. 또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수정/보완한다는 점에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2.0도 적절한 방향이지만 성공적인 정책으로 완성되기 위하여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하다. 첫째, 5·24조치 해제는 현금유입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강화된 신기능주의적 상호주의가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인도적 지원도 전달이 투명하게 확인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중국이 동의하는 것이 아직 ‘한반도 비핵화’이지 ‘북한의 비핵화’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안보외교를 포함한 우리의 실리적인 외교 능력이 발휘되어야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서 적게 논의되고 있는 것이 남남갈등, 통일교육 등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통일이 재앙이 되지 않고 통일대박이 되기 위해서 통일준비의 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is regarded as a minor revised edition of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1.0.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is not regarded as strong enough for inter-Korea disputes.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an essential step toward ensur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Both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1.0 and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are a good combination of policies of Kim Dae-jung and Lee Myung-bak government Governments against North Korea. However,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should be made strong by considering more G2 and conflicts inside South Korea.
      번역하기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is regarded as a minor revised edition of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1.0.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is not regarded as strong enough for inter-Korea disputes. Peaceful resolution of ...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is regarded as a minor revised edition of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1.0.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is not regarded as strong enough for inter-Korea disputes.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an essential step toward ensur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Both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1.0 and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are a good combination of policies of Kim Dae-jung and Lee Myung-bak government Governments against North Korea. However,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 should be made strong by considering more G2 and conflicts inside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서론
      • Ⅱ. 연구의 틀
      • Ⅲ.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
      • Ⅳ.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
      • <국문 초록>
      • I. 서론
      • Ⅱ. 연구의 틀
      • Ⅲ.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
      • Ⅳ.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
      • V.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정책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