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초기 높은 수준의 이직률, 특히 입사 후 2년 내의 이직에 애로를 호소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이 출산 및 육아휴직으로 인한 업무공백을 이유로 여성 채용을 꺼리는 사실은 공공연한 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17557
2017
Korean
학술저널
5-46(4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입사 초기 높은 수준의 이직률, 특히 입사 후 2년 내의 이직에 애로를 호소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이 출산 및 육아휴직으로 인한 업무공백을 이유로 여성 채용을 꺼리는 사실은 공공연한 비...
입사 초기 높은 수준의 이직률, 특히 입사 후 2년 내의 이직에 애로를 호소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이 출산 및 육아휴직으로 인한 업무공백을 이유로 여성 채용을 꺼리는 사실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더 나아가 결혼 및 출산전 여성근로자의 이직이 많다는 기업의 고정관념도 만연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적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에 따르면 추후 결혼 및 육아 등의 경력단절을 예상하는 여성은 짧은 생애노동시장 기간을 고려하여 남성에 비해 인적자본을 상대적으로 적게 투자하거나 경력단절로 인한 인적자본의 마모가 적은 일자리를 스스로 선택하는데, 그 결과 여성의 이직률이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게 된다. 근로자 가운데 누가 이직할지 알 수 없는 정보의 불확실성 하에서 설득력 있는 과거 통계에 기초하여 ‘여성들이 남성에 비해 이직이 잦다’는 고정관념을 기업이 보유하는 경우, 여성의 최적 선택은 남성에 비해 이직을 많이 하는 것이라는 통계적 차별에 기초한 이론적 논의도 존재한다.
그렇다면 생애경력 개발의 시발점인 동시에 일정기간의 근속을 통해 인적자본 축적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한 생애 첫 전일제 일자리에서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실제로 이직을 많이 하는가라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12차-17차(2009-2014년) 자료를 사용하여, 생애 첫 전일제 일자리에서 입사 초기에 자발적으로 이직하는 비율에 성별 격차가 존재하는지, 그러한 이직을 결정하는 요인에도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하였다.
기업규모, 산업, 직종, 임금 및 복지혜택, 근로시간, 직업훈련 등 생애 첫 전일제 일자리의 다양한 속성에서 성별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일자리에 입사한 후 2년 내에 발생하는 자발적 이직률 수준은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프로빗 분석 결과 그러한 이직을 결정하는 요인에서는 성별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특히 여성들의 이직행위는 일자리 특성 가운데 전통적인 근로조건인 임금이나 근로시간보다는 복지혜택이나 인간관계 등 비금전적인 요소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받았다. 생애 첫 전일제 일자리가 여성에게 제공하는 전반적인 근로조건 수준이 남성에 비해 열악하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남성과 상이한 이러한 여성의 이직 결정요인으로 인해 근속 2년 후의 여성 이직률이 남성에 비해 증가될 가능성이 크다. 여성 고용률 제고 정책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것은 물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이직을 많이 한다는 고정관념이 여성의 선택에 의해 사실로 귀결되는 메커니즘을 억제하기 위해서라도 일자리의 전반적인 근로조건 향상이 그 무엇보다 시급한 시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ereotypical view that female workers are much more prone to quit their jobs than are male workers is widely spread in Korean firms that ar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ir workers’ quitting early. Human capital theory argues that women tend...
The stereotypical view that female workers are much more prone to quit their jobs than are male workers is widely spread in Korean firms that ar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ir workers’ quitting early. Human capital theory argues that women tend to have weaker
attachment to their jobs because they expect shorter life-time career in the labor market than men do, mainly arising from the traditional division of labor by gender within the family. If employers’ perceptions on the quitting behavior of female workers are confirmed, according to self-confirming expectation theory based on statistical discrimination, employers are unwilling to hire female workers for jobs requiring considerable firm-specific training and try to assign them to jobs where the turnover costs are minimized. As a consequence, women have little incentive to stay and respond by exhibiting exactly the behavior that employers expect, exacerbating quit rate of female workers.
With data from 12th to 18th waves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is study analyzes gender differences in quitting
the first full-time job early which is a crucial stage for workers’ life-time caree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areer advancement. We find that female quit rate in the job within two years after entering a firm is nearly identical to that of male workers. But they differ in determinants of such a quitting behavior. Our probit estimate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quitting the first full-time job early is more sensitive to wages and working hours for male workers whereas it responds more to non-pecuniary returns for female workers such as various types of vac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 Combined with relatively unfavorable overall working conditions in female jobs including the first full-time job, the different determinants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may lead to higher quit rate of females than that of mal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