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동부지역에는 5세기 이후 남원, 장수지역을 중심으로 후기가야 각국과 관련 깊은 정치체들이 확인되고 있다. 남원지역에서는 월산리 두락리고분군을 중심으로 상위집단을 형성하며 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43197
김승신 (국립해양박물관)
2022
Korean
호남 동부지역 ; 무장 ; 무기 ; 무구 ; 마구 ; Eastern part of Honam ; Armour ; Weapons(무기·무구) ; Horse Equipments
KCI등재
학술저널
122-149(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호남 동부지역에는 5세기 이후 남원, 장수지역을 중심으로 후기가야 각국과 관련 깊은 정치체들이 확인되고 있다. 남원지역에서는 월산리 두락리고분군을 중심으로 상위집단을 형성하며 건...
호남 동부지역에는 5세기 이후 남원, 장수지역을 중심으로 후기가야 각국과 관련 깊은 정치체들이 확인되고 있다. 남원지역에서는 월산리 두락리고분군을 중심으로 상위집단을 형성하며 건지리 행정리고분군이 하위집단으로 파악된다. 장수지역은 동촌리 삼봉리고분군이 상위집단으로 호덕리 노하리고분군은 하위집단 고분군으로 추정된다. 양 정치체는 고총고분이 축조되기 시작하는 5세기 후반부터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무장이 집중되기 시작하며 양 지역 간 무장의 집중도나 신형식 무장의 수용은 시기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남원지역은 남강 수계와 이어져 있는 이점으로인해 안라국, 소가야, 가라국 등 가야 각국 양식의 문화가 빠르게 이입되었다. 현재 남원지역 내 가장 이른 시기 고총고분인 청계리 2 1호분을 비롯하여 월산리 M1호분이 대표적으로 5세기 중엽에는 안라국 소가야 문화가, 5세기 후엽이른 시기에는 가라국 문화가 빠르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가야 각국의 문화와 함께 동시기 경남 서부지역에이입되었던 다양한 무기 마구가 빠르게 수용되었으며 이후 장수지역 정치체까지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역에 따른 무장의 수용 정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남원 운봉지역은 가라국 및 다라국 중심지역인 고령 옥전 정치체뿐만 아니라 함양 산청 등 남강 상류지역을 포괄하는 정치체들과 밀접한 교류를 하며 무장이 수용되었다. 반면 장수지역 정치체는 지역 내 재지계 무기체계와 남원지역에서 들어온 신식 무기 및 마구가 결합하여 독특한 지역색을 갖추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2 박성배, "호남 동부지역 가야토기의 유입과 변천" 경상대학교대학원 2016
3 전상학, "토기를 통해 본 금강 상류지역 가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9
4 유영춘, "철기유물로 본 전북지역 가야의 교류" 호남고고학회 59 : 64-89, 2018
5 성정용, "중서부지역 3~5세기 철제무기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42 : 2000
6 전상학, "전북 동부지역 수혈식 석곽묘의 구조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7 조인진, "전북 동부 지역 석곽묘 출토 토기 연구 : 장경호와 기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8 곽장근, "전북 동부 지역 가야세력 발전상과 그 의미" 2021
9 박성배, "장수 삼고리고분군 출토 토기의 변천양상과 그 의미" 호남사학회 (84) : 99-128, 2021
10 국립전주박물관, "운봉고원에 묻힌 가야무사" 2012
1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2 박성배, "호남 동부지역 가야토기의 유입과 변천" 경상대학교대학원 2016
3 전상학, "토기를 통해 본 금강 상류지역 가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9
4 유영춘, "철기유물로 본 전북지역 가야의 교류" 호남고고학회 59 : 64-89, 2018
5 성정용, "중서부지역 3~5세기 철제무기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42 : 2000
6 전상학, "전북 동부지역 수혈식 석곽묘의 구조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7 조인진, "전북 동부 지역 석곽묘 출토 토기 연구 : 장경호와 기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8 곽장근, "전북 동부 지역 가야세력 발전상과 그 의미" 2021
9 박성배, "장수 삼고리고분군 출토 토기의 변천양상과 그 의미" 호남사학회 (84) : 99-128, 2021
10 국립전주박물관, "운봉고원에 묻힌 가야무사" 2012
11 유영춘, "운봉고원 출토 마구 연구-재갈·사행상철기·등자를 중심으로-" 군산대학교대학원 2015
12 김두철, "우정의 고고학" 진인진 2015
13 이현주, "우정의 고고학" 진인진 2015
14 송계현, "영남지역 초기철기문화의 수용과 전개" 영남고고학회 2002
15 류창환, "소가야 출토 마구의 성격과 의미" 한국학연구소 56 : 53-90, 2021
16 이성훈, "삼국시대 한반도 출토 방패(防牌)와무기류의 변화" 한국고고학회 (97) : 170-207, 2015
17 이현주, "삼국시대 철제대도에 관한 고찰" 부산박물관 12 : 2006
18 김승신, "삼국시대 진해․고성만 일대 세력 무장의 유형과 교류" 도서문화연구원 (58) : 235-268, 2021
19 김기홍, "삼국시대 운봉고원 고분 축조집단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2020
20 유영춘, "문헌과 고고학으로 본 전북 가야" 전라북도 호남고고학회 2020
21 박천수, "대가야권 분묘의 편년" 한국고고학회 38 : 1998
22 김두철, "대가야고분의 편년 검토" 한국고고학회 45 : 2001
23 이건용, "남원 청계리 월산리 고분군 역사적 가치와 의미" 전라북도 남원시 군산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20
24 오동선, "남원 아영분지 고분 조영세력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고학회 (117) : 105-144, 2020
25 우애리, "남원 동부지역 삼국시대 고분의 고고학적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2021
26 류창환, "고성지역 출토 마구와 소가야" 경남발전연구원 10 : 2014
27 이희준, "고령양식 토기 출토 고분의 편년" 영남고고학회 15 : 1994
28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29 류창환, "가야마구의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30 황수진, "三國時代 嶺南 出土 札甲의 硏究" 한국고고학회 (78) : 55-108, 201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16 | 2.001 | 0.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