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속가능한 제품을 위한 소재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terial Guidelines for Sustainable Produ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08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Securing product sustainabilit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rerequisite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facing mankind. To this end,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materials in the product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early stages of product production. Since the selection of materials has a great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product, the role of developers and designers in charge of it is also great. This study aims to present guidelines that help developers and designers who select product materials systematically select materials to secure product sustainability.
      Accordingly, a study on the echo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was conducted, and a list of eco-design guidelines was developed to help select the material. This data is derived from the well-known concept of Eco Guideline and is designed to help design sustainable products by improving product life cycle performance.
      The material selection guidelines described in this paper were derived from three major eco-strategies: resource use, material lifetime extension, and environmental ethics and policy with little impact on the environment. For each material guideline, evaluation criteria were defined, characteristics were explained, and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o easily select the most suitable material for eco-friendly products.
      번역하기

      Currently, Securing product sustainabilit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rerequisite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facing mankind. To this end,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materials in the product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corresponding to th...

      Currently, Securing product sustainabilit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rerequisite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facing mankind. To this end,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materials in the product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early stages of product production. Since the selection of materials has a great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product, the role of developers and designers in charge of it is also great. This study aims to present guidelines that help developers and designers who select product materials systematically select materials to secure product sustainability.
      Accordingly, a study on the echo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was conducted, and a list of eco-design guidelines was developed to help select the material. This data is derived from the well-known concept of Eco Guideline and is designed to help design sustainable products by improving product life cycle performance.
      The material selection guidelines described in this paper were derived from three major eco-strategies: resource use, material lifetime extension, and environmental ethics and policy with little impact on the environment. For each material guideline, evaluation criteria were defined, characteristics were explained, and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o easily select the most suitable material for eco-friendly produ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인류에게 직면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필수요소가 되었다. 이를 위해 제품의 제작 초기에 해당하는 제품기획 및 개발과정에서 소재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소재의 선택이 제품 전체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를 담당하고 있는 개발자 및 디자이너의 역할 또한 크다고 보겠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소재의 선택을 하게 되는 개발자 및 디자이너가 체계적으로 소재를 선택하여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소재의 에코 특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소재 선택에 도움이 되는 에코디자인 가이드라인 목록을 개발하였다. 이 데이터는 잘 알려진 에코 가이드라인(Eco-Guideline) 에코 가이드라인(Eco-Guideline): ISO 14006, 환경 관리 시스템 - 에코디자인을 통합하기 위한 지침은 조직이 환경 관리 시스템의 일부로 에코디자인을 수립, 문서화, 구현, 유지 및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지침을 지정하는 국제 표준.
      개념에서 파생 되었으며 제품 수명 주기 성능을 개선하여 지속가능한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는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 논문에 설명된 소재 선택 가이드라인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자원 사용, 소재 수명 연장, 환경 윤리 및 정책의 세 가지 주요 에코 전략에서 도출되었다. 각 소재 가이드라인에 대해 평가기준을 정의하고 특성을 설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번역하기

      현재 인류에게 직면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필수요소가 되었다. 이를 위해 제품의 제작 초기에 해당하는 제품기획 및 개발과정에서 소재의 ...

      현재 인류에게 직면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필수요소가 되었다. 이를 위해 제품의 제작 초기에 해당하는 제품기획 및 개발과정에서 소재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소재의 선택이 제품 전체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를 담당하고 있는 개발자 및 디자이너의 역할 또한 크다고 보겠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소재의 선택을 하게 되는 개발자 및 디자이너가 체계적으로 소재를 선택하여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소재의 에코 특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소재 선택에 도움이 되는 에코디자인 가이드라인 목록을 개발하였다. 이 데이터는 잘 알려진 에코 가이드라인(Eco-Guideline) 에코 가이드라인(Eco-Guideline): ISO 14006, 환경 관리 시스템 - 에코디자인을 통합하기 위한 지침은 조직이 환경 관리 시스템의 일부로 에코디자인을 수립, 문서화, 구현, 유지 및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지침을 지정하는 국제 표준.
      개념에서 파생 되었으며 제품 수명 주기 성능을 개선하여 지속가능한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는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 논문에 설명된 소재 선택 가이드라인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자원 사용, 소재 수명 연장, 환경 윤리 및 정책의 세 가지 주요 에코 전략에서 도출되었다. 각 소재 가이드라인에 대해 평가기준을 정의하고 특성을 설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경욱, "환경을 위한 제품 전과정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6) : 139-148, 2010

      2 두산백과, "탄소 발자국 [인터넷 백과사전]"

      3 최종운, "친환경 개념에서 제품디자인과 개발프로세스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9 (9): 123-132, 2015

      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8

      5 에드워드 안드레스 R, "지속가능성 혁명" 시스테마 2010

      6 서명원, "소비자 참여를 통한 목제품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4 (24): 69-83, 2021

      7 이주형 ; 박영순 ; 정의철,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별 활용 가능한 친환경 지속가능 디자인가이드라인 개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7) : 465-477, 2012

      8 Bistagnino L., "The out side shell seen from the inside" Casa Editrice Ambrosiana 22-78, 2008

      9 Ashby M, "Materials engineering science processing and design" Butterworth Heinemann 12-99, 2007

      10 Ashby M., "Materials and the environment: eco-informed material choice" Butterworth-Heinemann Ltd e Elsevier 11-18, 2009

      1 고경욱, "환경을 위한 제품 전과정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6) : 139-148, 2010

      2 두산백과, "탄소 발자국 [인터넷 백과사전]"

      3 최종운, "친환경 개념에서 제품디자인과 개발프로세스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9 (9): 123-132, 2015

      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8

      5 에드워드 안드레스 R, "지속가능성 혁명" 시스테마 2010

      6 서명원, "소비자 참여를 통한 목제품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4 (24): 69-83, 2021

      7 이주형 ; 박영순 ; 정의철,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별 활용 가능한 친환경 지속가능 디자인가이드라인 개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7) : 465-477, 2012

      8 Bistagnino L., "The out side shell seen from the inside" Casa Editrice Ambrosiana 22-78, 2008

      9 Ashby M, "Materials engineering science processing and design" Butterworth Heinemann 12-99, 2007

      10 Ashby M., "Materials and the environment: eco-informed material choice" Butterworth-Heinemann Ltd e Elsevier 11-18, 2009

      11 Manzini E, "Lo sviluppo del prodotto sostenibile. I requisiti ambientali dei p rodotti industriali" Maggioli Editore 34-102, 1998

      12 Keoleian G, "Life cycle design guidance manual environmental requirement s and product system. EPA-600R92226"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2-64, 1996

      13 Lanzavecchia C., "Il fare ecologico. Il prodotto industriale e i suoi requisiti ambientali" Turin. Time & Mind Press 2004

      14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4020" ISO Central Secretariat

      15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ILCD Handbook: General guide for Lifr Cycle Assessment – Detailed guidance" EUCJRC 2010

      16 Cristina Allione, "From ecodesign products guidelines to materials guidelines for a sustainable product" 39 (39): 92-, 2011

      17 European Parliament and Council Directive, "European Union Law"

      18 Sisson B,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Business realities and opportunities" World Business Council Sustainable Development 77-123, 2007

      19 Simon M, "Ecodesign naviga tor, a key resource in the drive towards environmentally efficient product design"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Cranfield University 9-98, 1999

      20 Luttropp C, "Ecodesign and the ten golden rules : generic advice for mer ging environmental aspects into product development" 14 (14): 396-408, 2006

      21 Tamborrini P., "Design sostenibile" Electa 66-68, 2009

      22 Bhamra, T., "Design for Sustainability : a practical approach" Grower 2007

      23 Salomone R, "Dalla “Qualità totale” alla “Qualità Integrata”. L’integrazione dei sistemi di gestione qualità, ambiente, sicurezza ed etica per il vantaggio competit ivo" Franco Angeli 12-104, 2006

      24 Allione C., "Building life cycle approach. Comparison of software tools for building co mponents and industrial products" 2 : 59-64, 2007

      25 Baldo GL, "Analisi del ciclo di vita LCA. gli strumenti per la pro gettazione sostenibile di materiali, prodotti e processi" Milan, Edizioni Ambiente 155-16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