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예비교사들의 국악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 검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05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국악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1학기에 국악 수업을 들은 B교육대학교 2학년 4개 반 학생 117명이며, 국악 수업을 듣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5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으로, 그 내용은 국악에 대한 관심도, 국악 교육의 필요성, 국악 교수 능력, 국악교육과정, 연주할 수 있는 국악기와 배우고 싶은 국악 장르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에 대한 관심도’에 긍정적인 인식변화가 있었다. 즉, 국악 수업 수강이 국악에 대한 관심을 의미 있게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국악 수업이 국악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 교수능력’에 자신감을 갖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졸업을 하기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할 국악과목이 1과목 내지는 2과목에 불과한 교육대학교의 현실 속에서 한 학기 동안 이루어지는 국악교육과정이 실제 학생들에게 얼마만큼 국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있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국악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국악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1학기에 국악 수업을 들은 B교육대학교 2학년 4개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국악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1학기에 국악 수업을 들은 B교육대학교 2학년 4개 반 학생 117명이며, 국악 수업을 듣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5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으로, 그 내용은 국악에 대한 관심도, 국악 교육의 필요성, 국악 교수 능력, 국악교육과정, 연주할 수 있는 국악기와 배우고 싶은 국악 장르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에 대한 관심도’에 긍정적인 인식변화가 있었다. 즉, 국악 수업 수강이 국악에 대한 관심을 의미 있게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국악 수업이 국악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 교수능력’에 자신감을 갖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국악 수업은 ‘국악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졸업을 하기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할 국악과목이 1과목 내지는 2과목에 불과한 교육대학교의 현실 속에서 한 학기 동안 이루어지는 국악교육과정이 실제 학생들에게 얼마만큼 국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있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국악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118 sophomores who had take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administe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clas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five categories which were : the interes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abilit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to play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 to learn.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have an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is,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had turned them 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ly,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houghts of the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rdly,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made them have confidence of the teaching 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urthly,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made a positive impact on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howed that during a semester taking only one or two required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can affec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 hope to use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to develop an effectual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118 sophomores who had take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in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118 sophomores who had take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administe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clas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five categories which were : the interes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abilit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to play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 to learn.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have an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is,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had turned them 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ly,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houghts of the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rdly,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made them have confidence of the teaching 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urthly,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made a positive impact on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howed that during a semester taking only one or two required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can affec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 hope to use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to develop an effectual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2 정은경, "초등교사의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국악교육학회 28 : 2009

      3 박순태,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교육인적자원부, "음악과 교육과정"

      5 정은경, "사물놀이를 통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인식변화" 한국국악교육학회 35 (35): 111-128, 2013

      6 이주영, "교육대학교 국악실기과목의 실태조사 : 교양, 전공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최종민, "광복 50년 국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995

      8 변미혜, "개정 시기별 교육과정과 국악교육의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21 (21): 2006

      1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2 정은경, "초등교사의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국악교육학회 28 : 2009

      3 박순태,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교육인적자원부, "음악과 교육과정"

      5 정은경, "사물놀이를 통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인식변화" 한국국악교육학회 35 (35): 111-128, 2013

      6 이주영, "교육대학교 국악실기과목의 실태조사 : 교양, 전공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최종민, "광복 50년 국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995

      8 변미혜, "개정 시기별 교육과정과 국악교육의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21 (2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