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품중 중금속 규격 과학화를 위한 조사연구(Ⅲ)  :  음료수의 중금속 향량에 대하여 Heavy metal contents beverages = The study on the scientific standardization of heavy metals in Foods(Ⅲ)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8638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음료류중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여 식품공전 제 ·개정시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출 2☞7여건의 음료류에 대하여 유도결합플라스마 분광기(ICP), 원자홉광광도 계(AAS) 및 수은분석기 등을 치용하여 납, 카드윰 등 중금속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위 : min-ma)t(irran) ; mrk3 ; f : 0.0001-0.0025(0.0003), As :불검출곰.OB45(0.0003), Pb : 불검출-0.0893(0.0041),Cd ' 불검출곤.0064(0.0011), Cfl : 불검출.(i9(0.05), Mn : 불검출글.찌(0.16), Zn : 불검출-12.85(0.뽀), Sn :불검출-45.36(1.97). 본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류 중 납 등 중금속 함량은 외국의 모니터랑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음료류를 통한 중금속 섭취량은 FAO/UTfO에서 설정한 잠
      정주간섭취처용량의 약 0.OleO.06% 이하로 매우 낮았다. 편 연구조사에서 먼어진 결과는 음료류 중 납 기준 설정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음료류중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여 식품공전 제 ·개정시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출 2☞7여건의 음료류에 대하여 유도결합플라스마 분광...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음료류중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여 식품공전 제 ·개정시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출 2☞7여건의 음료류에 대하여 유도결합플라스마 분광기(ICP), 원자홉광광도 계(AAS) 및 수은분석기 등을 치용하여 납, 카드윰 등 중금속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위 : min-ma)t(irran) ; mrk3 ; f : 0.0001-0.0025(0.0003), As :불검출곰.OB45(0.0003), Pb : 불검출-0.0893(0.0041),Cd ' 불검출곤.0064(0.0011), Cfl : 불검출.(i9(0.05), Mn : 불검출글.찌(0.16), Zn : 불검출-12.85(0.뽀), Sn :불검출-45.36(1.97). 본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류 중 납 등 중금속 함량은 외국의 모니터랑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음료류를 통한 중금속 섭취량은 FAO/UTfO에서 설정한 잠
      정주간섭취처용량의 약 0.OleO.06% 이하로 매우 낮았다. 편 연구조사에서 먼어진 결과는 음료류 중 납 기준 설정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antents of heavy netals in beverages and to fIFovide a scientific basis for heav)· meta3 standardizatior of Korea Food Code. The contents of rriercur17(Hg), lead(Pb), cadmium(Cd), arsenic(As), manganese(Mn),ziac(Zn), tin(Sn) and topper(Cu) were determined in a total of 20? samples of beverages usinga mercury anal!'zer, ar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AAS) and inductiuety coupled plasmaspectrometer(fcpl. The vatues of heavy metals In beverages were as fellows (min-max (mean) , mg/krl , Hg : 0.DOOI-0.0095(0.0004), As : ND-0.0245(0.0003), Pb ND-0.0893(0.0041), Cd : ND-0.0064(0.0011),Cu : ND-1.69(0.03), Mn : ND-3.94(0.16), Zn ND-12.85(0.28), Sn : ND-45.36(1,97). Our results weresimilar to thofe reported by other countries. It is thought that our results could be utilizedimportant references toT es?ablish the standard of lead in beverag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antents of heavy netals in beverages and to fIFovide a scientific basis for heav)· meta3 standardizatior of Korea Food Code. The contents of rriercur17(Hg), lead(Pb), cadmium(Cd), arsenic(As), manganese(Mn),z...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antents of heavy netals in beverages and to fIFovide a scientific basis for heav)· meta3 standardizatior of Korea Food Code. The contents of rriercur17(Hg), lead(Pb), cadmium(Cd), arsenic(As), manganese(Mn),ziac(Zn), tin(Sn) and topper(Cu) were determined in a total of 20? samples of beverages usinga mercury anal!'zer, ar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AAS) and inductiuety coupled plasmaspectrometer(fcpl. The vatues of heavy metals In beverages were as fellows (min-max (mean) , mg/krl , Hg : 0.DOOI-0.0095(0.0004), As : ND-0.0245(0.0003), Pb ND-0.0893(0.0041), Cd : ND-0.0064(0.0011),Cu : ND-1.69(0.03), Mn : ND-3.94(0.16), Zn ND-12.85(0.28), Sn : ND-45.36(1,97). Our results weresimilar to thofe reported by other countries. It is thought that our results could be utilizedimportant references toT es?ablish the standard of lead in beverag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