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획논문: 경상우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학단(學團)을 중심으로 :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삶과 사상적 특징 = Mangu Lee Jong-gi`s Life and Characteristics of Though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晩求 李種杞는 19세기 후반기에 활동한 영남의 퇴계학파에 속하는 유학자이다. 그는 당시 영남의 여러 대표적인 유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유학계를 이끌던 비중 있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그러나 그가 남긴 글을 바탕으로 평가한다면, 그는 앞으로도 좀 더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할 가치가 있는 인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종기라는 인물의 삶과 그의 學問淵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그 당시 학술 교류의 한 양상을 일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상적 측면과 관련해서도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종기의 사상적 좌표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이종기가 관심을 둔 유학 분야는 性理思想과 禮學思想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분야에 대한 이종기의 사상적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이종기의 異端觀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불교와 서학에 대한 이종기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종기는 성리사상에서는 무엇보다도 리와 기의 조화와 공존을 강조하는 균형 잡힌 태도를 견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리와 기에 치우친 견해들을 비판하였다. 예학과 관련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실을 중시하는 유연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유연성은 이단관에서도 반영되어, 조선사회에 현실적으로 위협이 되는 서학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배척하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그 위험도가 검증된 불교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대한 태도를 취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19세기말의 격동기 속에서 조선의 전형적인 유교 지식인이 추구한 삶과 생각의 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晩求 李種杞는 19세기 후반기에 활동한 영남의 퇴계학파에 속하는 유학자이다. 그는 당시 영남의 여러 대표적인 유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유학계를 이끌던 비중 있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비...

      晩求 李種杞는 19세기 후반기에 활동한 영남의 퇴계학파에 속하는 유학자이다. 그는 당시 영남의 여러 대표적인 유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유학계를 이끌던 비중 있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그러나 그가 남긴 글을 바탕으로 평가한다면, 그는 앞으로도 좀 더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할 가치가 있는 인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종기라는 인물의 삶과 그의 學問淵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그 당시 학술 교류의 한 양상을 일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상적 측면과 관련해서도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종기의 사상적 좌표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이종기가 관심을 둔 유학 분야는 性理思想과 禮學思想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분야에 대한 이종기의 사상적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이종기의 異端觀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불교와 서학에 대한 이종기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종기는 성리사상에서는 무엇보다도 리와 기의 조화와 공존을 강조하는 균형 잡힌 태도를 견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리와 기에 치우친 견해들을 비판하였다. 예학과 관련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실을 중시하는 유연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유연성은 이단관에서도 반영되어, 조선사회에 현실적으로 위협이 되는 서학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배척하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그 위험도가 검증된 불교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대한 태도를 취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19세기말의 격동기 속에서 조선의 전형적인 유교 지식인이 추구한 삶과 생각의 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gu Lee Jong-gi(1837-1902) was a Confucian scholar who had played an active role in Toegye School of Yongnam area in the nineteenth century. He was a man of importance keeping company with various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Yongnam, but, compared with others, had not been well known. However, based on the writings he had left, we cannot but evaluate him as a valuable figure on whom more active studies should be made. This article, first of all, is to concentrate on his personal life, and to trace his academic origin. By way of this, we can figure out some of the phase of academic exchanges of those days. Also, we can re-conform the inclination of Lee, Jong-gi`s thought by way of teas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The academic fields of his interest were in Neo-Confucian thought and in the Studies of Rites. Therefore, we, first, are planning to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Then, for the clarification of his thought on heterodoxy, his standpoints on Buddhism and the Western Studies will be examined. In his Neo-Confucian thought, Lee, Jong-gi, most of all, maintained a flexible perspective attaching importance to a balanced attitude that emphasized the harmony of li and ki. Based on this, he criticized the thoughts leaning exclusively to li or ki. In regard to the Studies of Rites, he suggested a flexible perspective making much importance of reality. This sort of flexibility was also reflected in his thought on heterodoxy, so that he held fast to his own exclusive attitude toward the Western Studies which was noting but a real threat to the Choson society. However, he was not hostile to Buddhism which had been verified not dangerous. Thus, in this study, we can grasp the life and the stream of thought of a typical Confucian scholar of Choson society in the turbulent period of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번역하기

      Mangu Lee Jong-gi(1837-1902) was a Confucian scholar who had played an active role in Toegye School of Yongnam area in the nineteenth century. He was a man of importance keeping company with various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Yongnam, but, c...

      Mangu Lee Jong-gi(1837-1902) was a Confucian scholar who had played an active role in Toegye School of Yongnam area in the nineteenth century. He was a man of importance keeping company with various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Yongnam, but, compared with others, had not been well known. However, based on the writings he had left, we cannot but evaluate him as a valuable figure on whom more active studies should be made. This article, first of all, is to concentrate on his personal life, and to trace his academic origin. By way of this, we can figure out some of the phase of academic exchanges of those days. Also, we can re-conform the inclination of Lee, Jong-gi`s thought by way of teas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The academic fields of his interest were in Neo-Confucian thought and in the Studies of Rites. Therefore, we, first, are planning to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Then, for the clarification of his thought on heterodoxy, his standpoints on Buddhism and the Western Studies will be examined. In his Neo-Confucian thought, Lee, Jong-gi, most of all, maintained a flexible perspective attaching importance to a balanced attitude that emphasized the harmony of li and ki. Based on this, he criticized the thoughts leaning exclusively to li or ki. In regard to the Studies of Rites, he suggested a flexible perspective making much importance of reality. This sort of flexibility was also reflected in his thought on heterodoxy, so that he held fast to his own exclusive attitude toward the Western Studies which was noting but a real threat to the Choson society. However, he was not hostile to Buddhism which had been verified not dangerous. Thus, in this study, we can grasp the life and the stream of thought of a typical Confucian scholar of Choson society in the turbulent period of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