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수급 빈곤층의 생존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 A Grounded Theory of Non-take-up Group`s Life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2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수급 빈곤층의 생존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초생활보장을 받지 못하는 비수급 빈곤층 1...

      본 연구는 비수급 빈곤층의 생존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초생활보장을 받지 못하는 비수급 빈곤층 12명을 면접하여 이들의 비수급 사유, 실제 삶의 모습과 빈곤에 대한 대응 방식 및 정서적 변화 등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를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결박당한 개인 상황`, `수급권을 막는 장벽`, `빈약해진 사회자본`, `심리적 위축`, `악화되는 경제력`, `절대빈곤의 현실`, `생존권의 배제`, `불공평한 세상`, `공동체의 미풍(微風)`, `취약한 가족 기반`, `주도적 삶의 지향`, `필사적 생존 전술`, `체념에 빠진일상`, `수급권에 대한 양면감정` 등 1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범주들은 공공부조 배제에 따른 중심현상과 이에 대한 전략을 바탕으로 경험과정의 패러다임에 따라 이론화될 수 있었다. 핵심범주는 `비인간적 상황에 필사적으로 적응하기`로 선택하였으며, 이에 관하여 개인, 지역사회, 국가 수준의 다양한 상황들이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정리하고 각 수준에서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social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in the reality of non-take-up group by understanding the group`s current situation and adaptation toward povert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12 people from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social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in the reality of non-take-up group by understanding the group`s current situation and adaptation toward povert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12 people from the group who do not benefit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NBLSA, enacted in 1999) were interviewed to gather data regarding why they do not benefit from NBLSA, their actual living conditions, their ways of adaptation toward poverty and emotional changes were collected, which were then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4 categories were drawn: `the individual situation of being tied up`, `obstacles that block benefit eligibility`, `impoverished social capital`, `psychological contraction`, `deteriorating economic strength`, `the reality of absolute poverty`, `exclusion from the right to life`, `the unfair world`, `breeze of the community`, `onerous family circumstances`, `self-directed orientation of life`, `desperate survival tactics`, `becoming lethargic`, and `the ambivalent feeling towards benefit eligibility`. These categories were theorized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experience process based on the central phenomenon of exclusion from public assistance and the consequent strategy in response to the phenomenon. The main category was `desperate adaptation to inhumane conditions`. The outcomes were arranged by how the diverse circumstances influence the individual, local, and national level and the counterplan for each level was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곤,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 연구(3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 이정기, "한국 공공부조제도의 사각지대에 대한 연구" 생명문화연구소 35 : 13-65, 2015

      3 이광원, "척수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1) : 111-137, 2016

      4 신영석, "차상위계층 의료수요 등 실태조사및 의료급여 확대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5 이현주,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6 권지성, "쪽방 거주 노인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 (2): 63-84, 2008

      7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8 김윤영, "지역복지 생태계와 한국사회의 미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4

      9 이기연, "저소득 한부모 가구주의 사례관리 서비스이용 경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59-83, 2015

      10 백학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에 대한 태도와 탈수급 전략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77-212, 2014

      1 김미곤,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 연구(3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 이정기, "한국 공공부조제도의 사각지대에 대한 연구" 생명문화연구소 35 : 13-65, 2015

      3 이광원, "척수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1) : 111-137, 2016

      4 신영석, "차상위계층 의료수요 등 실태조사및 의료급여 확대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5 이현주,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6 권지성, "쪽방 거주 노인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 (2): 63-84, 2008

      7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8 김윤영, "지역복지 생태계와 한국사회의 미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4

      9 이기연, "저소득 한부모 가구주의 사례관리 서비스이용 경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59-83, 2015

      10 백학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에 대한 태도와 탈수급 전략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77-212, 2014

      11 최정경, "이혼한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생활세계 경험의 본질과 의미"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5-30, 2015

      12 김문길, "우리나라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126 : 1-8, 2012

      13 양정빈, "여성장애인의 이혼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20 (20): 481-501, 2015

      14 탁장한, "쉼터노숙인 빈곤대처방식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빈곤문화적 특질과 강점관점적 속성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357-380, 2014

      15 김윤영, "생명의 관점에서 본 기초법 비수급 빈곤층의 삶" 생명문화연구소 35 : 67-100, 2015

      16 김교성, "사회정책 빈곤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43-82, 2011

      17 문진영,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53-277, 2004

      18 홍현미라, "사회복지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9-65, 2008

      19 구인회, "사회보장의 사각지대: 실태와 영향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75-204, 2008

      20 김미곤, "빈곤층 소득보장정책의 현황과 과제" 207 : 23-29, 2014

      21 김경희, "빈곤청소년의 꿈과 미래 설계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113-134, 2013

      22 이태진, "빈곤정책 선진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3 김교성, "빈곤의 세대간 탈피 경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43-278, 2011

      24 문진영, "빈곤선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6) : 202-236, 2015

      25 하경희, "빈곤가구의 심리적 디스트레스(Distress)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7 (7): 115-137, 2013

      26 정혜숙,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 자활, 복지의존, 일의 의미 -"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251-277, 2015

      27 김윤영, "비수급빈곤층의 실태와 정책방향" 서울복지재단 22 : 2015

      2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소관 예산 및 기금 운용계획" 보건복지부 2014

      29 김미숙, "능동적 복지 확충을 위한복지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연구 : 비수급빈곤층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30 김진우, "긴급복지지원제도 추진 성과의 의미: 지원대상자 삶의 변화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6 (6): 103-128, 2012

      31 김미곤, "기초보장 사각지대 해소방안" 83 : 26-35, 2003

      32 홍경준, "근로빈곤계층의 사회보장 적용실태와 사각지대 개선방안" 77 : 42-56, 2003

      33 Strauss, A., "근거이론의 이해" 한울 1996

      34 김인숙, "근거이론 담론과 사회복지 지식형성 : 그 지형과 의미"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4) : 77-128, 2012

      35 김원섭, "국민연금 사각지대와 해소방안 연구, 복지사각지대 현황과 해결방안" 한국조세연구원 1-41, 2013

      36 윤홍식,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결정 요인: 부양의무자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7) : 1-25, 2003

      37 여유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재산의 소득환산제 개선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38 박능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권 배제 원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 271-295, 2008

      39 여유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기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40 허선, "국민기초생활보장 비수급 빈곤 장애인 가구의 규모 추정 및 생활실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85-109, 2009

      41 홍경준, "공적 소득이전의 분배효과분석:근로빈곤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65-88, 2011

      42 이정기,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만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2015

      43 노혜진, "가족 안에서 여성은 어떻게 빈곤을 경험하는가?: 빈곤가구 내 성별 불평등"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6 (6): 67-101, 2012

      44 De Haan, A., "Social exclusion: Enriching the understanding of deprivation" 2 (2): 22-40, 2000

      45 Padgett, D.,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Sage 1998

      46 Creswell, J. W., "Educational Research" Pearson Education 2012

      47 Sen, A., "Development as freedom" Anchor Books 1999

      48 Levitas, R., "Defining and measuring social exclusion : a critical overview of current proposals" 71 : 10-27, 1999

      49 Berghman, J., "Beyond Threshold: The measurement and anlaysis of social exclusion" Policy Press 1995

      50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8

      51 김태완, "2013년 최저생계비 계측조사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52 김미곤, "2010년 최저생계비 계측조사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53 여유진, "2007년 최저생계비 계측조사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54 이현주, "2006년 차상위계층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55 김미곤, "2004년 최저생계비 추정및 계측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