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벨라루시 민족 정체성과 국가발전전략 = Belarus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46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립이후 벨라루시는 새로운 국가적 차원의 도전과제로서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만 하였다. 그래서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벨라루시 지도부는 정치적인 측면의 ‘친(親)러시아 지향성’과 경제적인 관점의 ‘용(用) 러시아 지향성’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벨라루시 정부의 ‘친 러시아 지향성’과 ‘소비에트 사회 경제 모델’의 도입은 CIS 국가들 가운데 대단히 예외적인 국가발전노선인데, 이는 대내외적 요인들(역사적 발전과정, 민족정체성, 유권자들의 정치성향, 경제적 현실, 러시아의 이해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 것이다. 그중에서 특히 역사발전과정에서 형성된 벨라루시의 민족정체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오랜 기간 러시아 및 소비에트 제국의 러시아화 정책의 결과로 벨라루시의 고유한 민족정체성은 사실상 크게 약화되었으며, 오히려 ‘소비에트’ 및 ‘러시아’ 정체성이 보다 일반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독립이후 벨라루시 지도부에 의해 추진된 ‘반 서방 정책’ 및 ‘친 러시아 정책’은 자국의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정치적 지지와 이해를 얻었을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국가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동력이 되었다. 결국 벨라루시 민족정체성이 자국의 경제정책 및 외교안보정책의 기본방향 수립에 있어서 핵심적인 결정요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독립이후 벨라루시는 새로운 국가적 차원의 도전과제로서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만 하였다. 그래서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벨라루시 지도부는 정치적인 측면의...

      독립이후 벨라루시는 새로운 국가적 차원의 도전과제로서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만 하였다. 그래서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벨라루시 지도부는 정치적인 측면의 ‘친(親)러시아 지향성’과 경제적인 관점의 ‘용(用) 러시아 지향성’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벨라루시 정부의 ‘친 러시아 지향성’과 ‘소비에트 사회 경제 모델’의 도입은 CIS 국가들 가운데 대단히 예외적인 국가발전노선인데, 이는 대내외적 요인들(역사적 발전과정, 민족정체성, 유권자들의 정치성향, 경제적 현실, 러시아의 이해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 것이다. 그중에서 특히 역사발전과정에서 형성된 벨라루시의 민족정체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오랜 기간 러시아 및 소비에트 제국의 러시아화 정책의 결과로 벨라루시의 고유한 민족정체성은 사실상 크게 약화되었으며, 오히려 ‘소비에트’ 및 ‘러시아’ 정체성이 보다 일반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독립이후 벨라루시 지도부에 의해 추진된 ‘반 서방 정책’ 및 ‘친 러시아 정책’은 자국의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정치적 지지와 이해를 얻었을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국가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동력이 되었다. 결국 벨라루시 민족정체성이 자국의 경제정책 및 외교안보정책의 기본방향 수립에 있어서 핵심적인 결정요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utual relation of Belarus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In the aftermath of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Belarus was faced with new changes and challenges in post-soviet region. At that time Belarusian political leaders must prepar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But the weakness of economic base of independent Belarus was the major source of its Development Strategy difficulties. Thus, Belarusian political leaders emphasized “Pro-Russian Policy” as the priority goal for Belarusian Development Strategy. aiming at maintaining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ith Russia. This is a basic direction and feature of Belarusi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e Belarusian people supported “Pro-Russian Policy” of Belarusian government, because of they share Soviet national identity with Belarusian. In this context, national ident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and promotion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번역하기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utual relation of Belarus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In the aftermath of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Belarus was faced with new changes and challenges in post-soviet region. At that time Belarusian...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utual relation of Belarus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In the aftermath of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Belarus was faced with new changes and challenges in post-soviet region. At that time Belarusian political leaders must prepar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But the weakness of economic base of independent Belarus was the major source of its Development Strategy difficulties. Thus, Belarusian political leaders emphasized “Pro-Russian Policy” as the priority goal for Belarusian Development Strategy. aiming at maintaining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ith Russia. This is a basic direction and feature of Belarusi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e Belarusian people supported “Pro-Russian Policy” of Belarusian government, because of they share Soviet national identity with Belarusian. In this context, national ident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and promotion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벨라루시 역사발전과정과 민족 정체성
      • Ⅲ. 벨라루시 경제정책의 방향과 성격
      • Ⅳ. 벨라루시 외교안보정책의 방향과 성격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벨라루시 역사발전과정과 민족 정체성
      • Ⅲ. 벨라루시 경제정책의 방향과 성격
      • Ⅳ. 벨라루시 외교안보정책의 방향과 성격
      •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범식, "푸틴시기 러시아의 근외정책과 러시아"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5

      2 박정호, "슬라브 형제국의 두 길: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6

      3 Уолландер, С. А, "Экономика и безопасность на постсоветск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Центр Карнеги 2003

      4 Шевцов, Ю, "Феномен Беларуси" Европа 2005

      5 ГКС РФ, "Россия в цифрах" Госкомстат РФ 2005

      6 Коктыш, К, "Белоруссия в европейском контексте" Центр Карнеги 2003

      7 Уилсон, Э, "Безопасность или процветание? Путь, которые выбирают Беларусь и Украина" Центр Карнеги 2003

      8 "http://www.materik.ru/print.php?section=analitics&bulsectionid=3182&PHPSESSID=c" 2006

      9 "http://www.materik.ru/print.php?section=analitics&bulsectionid=3182&PHPSESSID=c" 2006

      10 "http://www.carnegie.ru/ru/pubs/books" 2006

      1 신범식, "푸틴시기 러시아의 근외정책과 러시아"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5

      2 박정호, "슬라브 형제국의 두 길: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6

      3 Уолландер, С. А, "Экономика и безопасность на постсоветск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Центр Карнеги 2003

      4 Шевцов, Ю, "Феномен Беларуси" Европа 2005

      5 ГКС РФ, "Россия в цифрах" Госкомстат РФ 2005

      6 Коктыш, К, "Белоруссия в европейском контексте" Центр Карнеги 2003

      7 Уилсон, Э, "Безопасность или процветание? Путь, которые выбирают Беларусь и Украина" Центр Карнеги 2003

      8 "http://www.materik.ru/print.php?section=analitics&bulsectionid=3182&PHPSESSID=c" 2006

      9 "http://www.materik.ru/print.php?section=analitics&bulsectionid=3182&PHPSESSID=c" 2006

      10 "http://www.carnegie.ru/ru/pubs/books" 2006

      11 "U.S. State department office of research" 2005

      12 Cambridge, "The making of a n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13 Burant, S. R, "Foreign Policy and National Identity: A Comparison of Ukraine and Belarus" (47-7) : 1995

      14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2001

      15 Marples, D. R, "Europe's last dictatorship: The roots and perspective of authoritarianism in White Russia" (57-6) : 2005

      16 Allison, R, "Belarus between East and West" (21-4) :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