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읽기·토론·쓰기’ 통합 교육의 효율성 제고 - 『명저읽기와 글쓰기』 강좌를 통해서 - = The Plans of Heightening Efficiency of Integrative Educ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1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ecific plan of the integrative education and then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the integrative education,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relevant, integrative educ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is indispensible.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hree-way Integration Model targeting Reading of Great Books and Writing opened in Yeungnam University by way of the examination on correlationship of discussion and reading great books, on correlationship of discussion and writing, on correlationship of writing and reading.
      To begin with, the correlation of reading and discussion is examined out. A reader is approaching to the text with analytical, critical, comprehensive view, exerting an active attitude, in that reading is a prerequisite for discussion. In discussion, the readers rationalize their opinions or point of views through the contents and the key focuses organized in the course of reading. In the process of this, the need to do re-reading is raised, by which new understanding on the point at issue is provided. And then, it leads to a redefinition of his or her own points and to a discovery of new value. Therefore, reading and discussion reach a state of integration by mutual correlative exchange.
      Because discussion and writing are a serial process, the two are supposed to be in correlation. Various points at issue and questions generat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are an excellent material or substance for writing. A good writing is formed with various subject matters based on a fresh theme generat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The correlation of discussion and writing enhances each other's function. And when they are integrated, the synergy effect of them is amplified.
      The correl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s similar to that of reading and discussion. Since reading is a prerequisite activity for writing,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function shown in the correlation of reading and discussion. Since the lecture of Reading of Great Books and Writing head not from reading to writing directly but toward writing in relation with reading and discussion together, the integration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by writing, the final step of the lecture is supposed to be complet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ecific plan of the integrative education and then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the integrative education,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relevant, integrative educ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is indispensible.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ecific plan of the integrative education and then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the integrative education,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relevant, integrative educ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is indispensible.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hree-way Integration Model targeting Reading of Great Books and Writing opened in Yeungnam University by way of the examination on correlationship of discussion and reading great books, on correlationship of discussion and writing, on correlationship of writing and reading.
      To begin with, the correlation of reading and discussion is examined out. A reader is approaching to the text with analytical, critical, comprehensive view, exerting an active attitude, in that reading is a prerequisite for discussion. In discussion, the readers rationalize their opinions or point of views through the contents and the key focuses organized in the course of reading. In the process of this, the need to do re-reading is raised, by which new understanding on the point at issue is provided. And then, it leads to a redefinition of his or her own points and to a discovery of new value. Therefore, reading and discussion reach a state of integration by mutual correlative exchange.
      Because discussion and writing are a serial process, the two are supposed to be in correlation. Various points at issue and questions generat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are an excellent material or substance for writing. A good writing is formed with various subject matters based on a fresh theme generat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The correlation of discussion and writing enhances each other's function. And when they are integrated, the synergy effect of them is amplified.
      The correl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s similar to that of reading and discussion. Since reading is a prerequisite activity for writing,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function shown in the correlation of reading and discussion. Since the lecture of Reading of Great Books and Writing head not from reading to writing directly but toward writing in relation with reading and discussion together, the integration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by writing, the final step of the lecture is supposed to be comple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읽기‧토론‧쓰기가 연계된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서 통합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영남대학교에서 개설한 『명저읽기와 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여 명저읽기와 토론의 연계성, 토론과 글쓰기의 연계성, 글쓰기와 읽기의 연계성을 통해 3자 통합 모형을 제시한다.
      먼저 읽기와 토론의 연계다. 읽기는 토론이 전제가 되는 관계로 능동성을 발휘하여 텍스트에 대해 분석적 비판적 종합적 시각으로 접근하게 된다. 토론은 읽기를 통해 정리된 내용과 논의점을 통해 서로의 주장을 합리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시읽기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다시읽기를 통해 논점의 핵심에 대한 재인식을 제공하여 주장에 대한 재정립 및 새로운 가치 발견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읽기와 토론은 연계를 통한 상호교환에 의해 통합에 이른다.
      토론과 글쓰기가 일련의 과정으로 본다면 양자는 연계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토론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논의점이나 질의들은 훌륭한 글감이 될 수 있다. 좋은 글은 토론 과정에서 발생한 참신한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재를 갖추어 보기 좋은 살집을 이루면 되는 것이다. 토론과 글쓰기의 연계는 각각의 기능을 상승하게 하며 이것이 통합이 될 때 시너지 효과는 한층 더 제고된다.
      읽기와 글쓰기는 읽기와 토론의 연계와 같은 관계로 볼 수 있다. 읽기가 글쓰기를 위한 사전 활동이라면 읽기와 토론의 연계에서 보여준 기능과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강의 진행상 글쓰기가 최종 단계이므로 읽기에서 글쓰기로 바로 나가지 않고 읽기와 토론을 연계한 글쓰기로 나가고 있어 글쓰기에 의해 통합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읽기‧토론‧쓰기가 연계된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서 통합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영남대학교에서 개설한 『명저읽기와 ...

      본고는 읽기‧토론‧쓰기가 연계된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서 통합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영남대학교에서 개설한 『명저읽기와 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여 명저읽기와 토론의 연계성, 토론과 글쓰기의 연계성, 글쓰기와 읽기의 연계성을 통해 3자 통합 모형을 제시한다.
      먼저 읽기와 토론의 연계다. 읽기는 토론이 전제가 되는 관계로 능동성을 발휘하여 텍스트에 대해 분석적 비판적 종합적 시각으로 접근하게 된다. 토론은 읽기를 통해 정리된 내용과 논의점을 통해 서로의 주장을 합리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시읽기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다시읽기를 통해 논점의 핵심에 대한 재인식을 제공하여 주장에 대한 재정립 및 새로운 가치 발견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읽기와 토론은 연계를 통한 상호교환에 의해 통합에 이른다.
      토론과 글쓰기가 일련의 과정으로 본다면 양자는 연계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토론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논의점이나 질의들은 훌륭한 글감이 될 수 있다. 좋은 글은 토론 과정에서 발생한 참신한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재를 갖추어 보기 좋은 살집을 이루면 되는 것이다. 토론과 글쓰기의 연계는 각각의 기능을 상승하게 하며 이것이 통합이 될 때 시너지 효과는 한층 더 제고된다.
      읽기와 글쓰기는 읽기와 토론의 연계와 같은 관계로 볼 수 있다. 읽기가 글쓰기를 위한 사전 활동이라면 읽기와 토론의 연계에서 보여준 기능과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강의 진행상 글쓰기가 최종 단계이므로 읽기에서 글쓰기로 바로 나가지 않고 읽기와 토론을 연계한 글쓰기로 나가고 있어 글쓰기에 의해 통합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국환, "전통적 교양과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 연구" 석당학술원 (42) : 139-168, 2008

      2 이재승,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의 방법과 유의점" 한국독서학회 (11) : 275-300, 2004

      3 송재용, "읽기와 쓰기 방법 일고찰" 18 : 25-45, 2009

      4 황영미, "읽기 교육의 토론과 글쓰기 통합 모형 연구" 3 : 7-33, 2010

      5 김기호, "명저 읽기와 글쓰기" 영남대출판부 1-243, 2011

      6 이명실, "대학에서의 독서지도를 위한 교재 구성과 활용" (10) : 143-162, 2003

      7 박정규,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나타난 몇 문제" 시학과언어학회 (18) : 91-118, 2010

      8 박상준, "대학 토론교육의 문제와 해결방안 시론 - 토론교육의 목적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04) : 27-56, 2009

      9 김양선, "대학 독서 토론 교육의 모형 연구 -텍스트 읽기, 말하기, 쓰기 통합 모형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3) : 27-50, 2009

      10 이선옥, "대학 글쓰기에서 자료 읽기와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성 모색" 국어국문학회 (149) : 755-778, 2008

      1 이국환, "전통적 교양과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 연구" 석당학술원 (42) : 139-168, 2008

      2 이재승,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의 방법과 유의점" 한국독서학회 (11) : 275-300, 2004

      3 송재용, "읽기와 쓰기 방법 일고찰" 18 : 25-45, 2009

      4 황영미, "읽기 교육의 토론과 글쓰기 통합 모형 연구" 3 : 7-33, 2010

      5 김기호, "명저 읽기와 글쓰기" 영남대출판부 1-243, 2011

      6 이명실, "대학에서의 독서지도를 위한 교재 구성과 활용" (10) : 143-162, 2003

      7 박정규,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나타난 몇 문제" 시학과언어학회 (18) : 91-118, 2010

      8 박상준, "대학 토론교육의 문제와 해결방안 시론 - 토론교육의 목적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04) : 27-56, 2009

      9 김양선, "대학 독서 토론 교육의 모형 연구 -텍스트 읽기, 말하기, 쓰기 통합 모형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3) : 27-50, 2009

      10 이선옥, "대학 글쓰기에서 자료 읽기와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성 모색" 국어국문학회 (149) : 755-778, 2008

      11 이광모,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토론’과 ‘글쓰기’의 의미와 방향" 한국동서철학회 (44) : 35-50, 2007

      12 이명실, "대학 '읽기-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 요구도 조사" 한국독서학회 (19) : 279-306, 2008

      13 김용현, "구성주의적 글읽기 개념과 그 가능성에 관하여" 한국독일어문학회 15 (15): 1-21, 2007

      14 송주복, "朱子書堂은 어떻게 글을 배웠나" 청계출판사 1-361,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