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코드의 문화기호학적 고찰 = Semiotic Study on Culture Codes - Focusing on Storytelling in Video Conten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40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상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문화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학제적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영상콘텐츠의 서사구조...

      본 연구는 영상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문화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학제적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영상콘텐츠의 서사구조에서 문화코드를 도출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모티브와 플롯의 문화코드 도출 모델은 분석의 과정과 창작의 과정으로 구분하여 서사도식을 적용하였다. 분석의 과정에서는 영상콘텐츠의 내러티브를 계약?조종 → 능력 → 실행 → 평가의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플롯과 모티브를 분석하여 문화코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창작의 과정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티브의 6가지 유형 중에 창작가가 하나의 모티브를 선택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플롯을 선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사도식의 각 단계에 적합한 이야기를 구성하며 서사도식의 각 단계에 따라 이야기를 배열하면 된다. 캐릭터의 문화코드 모델은 캐릭터의 기능과 이미지를 세분화하여 문화코드 도출 모델을 제시하였다. 캐릭터 기능의 문화코드는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을 변형하여 문화코드 도출 모델을 제시하였다. 캐릭터 이미지의 문화코드 도출 모델은 바르트의 5가지 코드와 장 마리 플로슈와 마틴 졸리의 기호학적 이미지 분석 방식인 4가지 요소에 주목하여 이미지 분석뿐 아니라 이미지 창조에 필요한 요소들로 구성된 캐릭터 이미지의 문화코드모델을 제시하였다.결국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문화코드 도출 모델은 영상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있어 각국에 적합한 영상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범례를 보여준다. 즉 본고는 이런 연구과정을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영상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할 수 있는 문화코드 도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urposes to propose an academic method to extract the culture codes to put into planning and producing video contents. For this, with Semiotic methodology, this paper showed a theoretical model to extract the culture codes derived from the ...

      This paper purposes to propose an academic method to extract the culture codes to put into planning and producing video contents. For this, with Semiotic methodology, this paper showed a theoretical model to extract the culture codes derived from the motifs, plots and characters in video content. For the motifs and plots, the Extraction Model of Culture Code had two different processes of analysing and producing based on Greimasian Narrative Program. In analysing, the narrative in video content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ages: contractㆍmanipulation → competence → performance → sanction. The plots and motifs were examined in every stages of four to extract culture codes in them. In producing, this paper proposed six types of motifs that enabled producers to choose one of them, also the plots that can be preferred by consumers. And it led the producers to compose and organize the stories pertinently to each stages. For the characters, this paper proposed the Extraction Model of Culture Code by subdividing the functions and images of characters. In extracting culture codes from the functions of the characters, the model transformed the Actantial model by Greimas. From the images, this paper showed the model with factors both to examine and to produce, considering two semiotic theories: the five codes by Barthes and the four factors in the analysing method of images by Jean-Marie Floch and Martine Joly. In conclusion, the Extraction Model which is proposed in this paper gave an example in planning and producing work, to formulate an appropriate video content for each of local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extraction model of culture codes so that helped to plan and to produce video contents that consumers pref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영상콘텐츠와 문화코드
      • Ⅲ.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문화코드 도출
      • Ⅳ. 문화코드의 검증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영상콘텐츠와 문화코드
      • Ⅲ.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문화코드 도출
      • Ⅳ. 문화코드의 검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