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오늘날 세기적 과도기와 그것의 종교와 문화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의 요청
- 2. 문화들과 종교들의 위협적인 충돌에 즈음하여 상호 문화적 및 상호 종교적 의사소통의 필요성
- 3. 서구적 근대와 탈 근대의 맥락 안에서 문화와 종교의 개인주의적 변형에 즈음하여 포괄적 문화이론과 종교 이론의 필요성
- 4. 새로운 포괄적인 비판적 (문화이론과) 종교 이론의 단초
- 1. Die heutige epochale Übergangszeit und ihre Herausforderung für die akademische Untersuchung von Kultur und Reli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