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동패널 표본이탈과 불평등 지표 = The Attrition of KLIPS and Inequality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4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 of attrition and the effect on estimations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retention samples account for 74.2% up to 11 waves. About 20% of households belongs to in and out samples. The higher income households are likely to be out of sample due to non-responses, while the lower income households are likely due to extinction. The attrition is likely to happen in the both side of distribution of income for households and in the left side of distribution for individuals. When we do not consider the attrition correctly, the degree of inequality is underestimated.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 of attrition and the effect on estimations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retention samples account for 74.2% up to 11 waves. About 20% of households belongs to in and out samples. The higher income househol...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 of attrition and the effect on estimations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retention samples account for 74.2% up to 11 waves. About 20% of households belongs to in and out samples. The higher income households are likely to be out of sample due to non-responses, while the lower income households are likely due to extinction. The attrition is likely to happen in the both side of distribution of income for households and in the left side of distribution for individuals. When we do not consider the attrition correctly, the degree of inequality is underestim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노동패널 자료에서 표본이탈의 형태와 표본이탈이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동패널 11차까지 표본유지율은 74.2%이며, 약 20%의 가구가 응답과 비응답을 오가고 있다. 소득 최상위 가구에서는 무응답을 이유로, 소득 최하위 가구에서는 소멸을 주된 이유로 하여 표본에서 탈락하는 확률이 높다. 가구는 소득분포의 양쪽에서 이탈이 많이 일어나고, 개인의 경우에는 저소득 쪽에서 이탈이 많이 일어난다. 표본이탈이 불평등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본이탈을 고려하지 않고 응답한 가구만을 대상으로 추정하면 불평등도를 과소평가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패널 가중치를 설정할 때 표본이탈의 사유를 고려하고 응답 성향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노동패널 자료에서 표본이탈의 형태와 표본이탈이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동패널 11차까지 표본유지율은 74.2%이며, 약 20%의 가구가 응답과 비응답을 오가고 있...

      본 논문에서는 노동패널 자료에서 표본이탈의 형태와 표본이탈이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동패널 11차까지 표본유지율은 74.2%이며, 약 20%의 가구가 응답과 비응답을 오가고 있다. 소득 최상위 가구에서는 무응답을 이유로, 소득 최하위 가구에서는 소멸을 주된 이유로 하여 표본에서 탈락하는 확률이 높다. 가구는 소득분포의 양쪽에서 이탈이 많이 일어나고, 개인의 경우에는 저소득 쪽에서 이탈이 많이 일어난다. 표본이탈이 불평등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본이탈을 고려하지 않고 응답한 가구만을 대상으로 추정하면 불평등도를 과소평가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패널 가중치를 설정할 때 표본이탈의 사유를 고려하고 응답 성향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호, "한국노동패널(KLIPS)의 표본이탈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 66-80, 2005

      2 김대일, "한국노동패널 표본의 대표성과 패널조사 표본이탈자의 특성연구" 23 : 1-33, 2000

      3 홍민기,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Ⅲ)" 한국노동연구원 2013

      4 윤윤규,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Ⅱ)" 한국노동연구원 2012

      5 강석훈, "유럽의 패널조사 현황과 시사점: 가구패널조사와 국제비교학적인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1

      6 김세원,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7-50, 2012

      7 신동균, "미국 패널 데이터의 현황과 시시점- PSID, NLSY, KHPS, KLIPS 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1998

      8 이희길, "국내 패널조사의 현황 분석" 통계개발원 2008

      9 Hill, D., "Reducing Panel Attrition : A Search for Effective Policy Instruments" 36 (36): 416-438, 2001

      10 Lillard, L., "Panel Attrition from the PSID" 33 (33): 437-457, 1998

      1 이상호, "한국노동패널(KLIPS)의 표본이탈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 66-80, 2005

      2 김대일, "한국노동패널 표본의 대표성과 패널조사 표본이탈자의 특성연구" 23 : 1-33, 2000

      3 홍민기,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Ⅲ)" 한국노동연구원 2013

      4 윤윤규,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Ⅱ)" 한국노동연구원 2012

      5 강석훈, "유럽의 패널조사 현황과 시사점: 가구패널조사와 국제비교학적인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1

      6 김세원,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7-50, 2012

      7 신동균, "미국 패널 데이터의 현황과 시시점- PSID, NLSY, KHPS, KLIPS 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1998

      8 이희길, "국내 패널조사의 현황 분석" 통계개발원 2008

      9 Hill, D., "Reducing Panel Attrition : A Search for Effective Policy Instruments" 36 (36): 416-438, 2001

      10 Lillard, L., "Panel Attrition from the PSID" 33 (33): 437-457, 1998

      11 Wooldridge, J.,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2nd Ed. )" The MIT Press 2010

      12 Hausman, J., "Attrition Bias in Experimental and Panel Data" 47 (47): 445-473, 1979

      13 Fitzgerald, J., "An Analysis of Sample Attrition in Panel Data : The Michigan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33 (33): 251-299, 1998

      14 Zabel, J., "An Analysis of Attrition in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and the Survey of Income and Program Participation with an Application to a Model of Labor Market Behavior" 33 (33): 479-506,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3 1.04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