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거여론조사 개선 방법에 대한 보도자와 조사자의 의견 차이에 관한 연구 = A Comparison between Pollsters’ and Reporters' Opinions about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News of Election Po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49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the argument that previous researches examining election poll news coverage in Korea were limited in the issue of accuracy to predict the voting result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roblems in the news coverage of the election polls and specifying the solutions, the authors ask the pollsters and the pres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 candidates and the voters. The author searched some clues as a remedy of the problems in journalism from the interviews with pollsters and television news producers.
      To summarize the interviews, not many pollsters and journalists think that news coverage of election polls should play a roll of political mediator aside from the prediction tool of elections. They do not consider news coverage of election polls as a political agent. They do not attempt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election polls in terms of the voters' reaction to what the candidate promises to the public. They do not try to provide the candidates some ideas for the better election promises by analyzing the polls. This study found some clues to explain why either pollsters or journalists do not pay enough attention to political rolls of election polls beyond the roll to accurately predict the result of the elections. Finally, this research discuss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news coverage of election polls.
      번역하기

      This study begins with the argument that previous researches examining election poll news coverage in Korea were limited in the issue of accuracy to predict the voting result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roblems in the news coverage of the election...

      This study begins with the argument that previous researches examining election poll news coverage in Korea were limited in the issue of accuracy to predict the voting result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roblems in the news coverage of the election polls and specifying the solutions, the authors ask the pollsters and the pres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 candidates and the voters. The author searched some clues as a remedy of the problems in journalism from the interviews with pollsters and television news producers.
      To summarize the interviews, not many pollsters and journalists think that news coverage of election polls should play a roll of political mediator aside from the prediction tool of elections. They do not consider news coverage of election polls as a political agent. They do not attempt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election polls in terms of the voters' reaction to what the candidate promises to the public. They do not try to provide the candidates some ideas for the better election promises by analyzing the polls. This study found some clues to explain why either pollsters or journalists do not pay enough attention to political rolls of election polls beyond the roll to accurately predict the result of the elections. Finally, this research discuss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news coverage of election po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는 여러 사회과학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지만, 선행연구는 첫째, 여론조사와 결과 보도의 상호관계에 대해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져왔고 둘째,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력 외 여론조사 보도의 기능, 즉 정치적 소통 기능을 소홀히 다룬 한계를 지닌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여론조사 보도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선거여론조사와 결과 보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선거여론조사 보도를 통해 정치적 소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수집자인 조사자와 이런 정보를 유권자에게 전달하는 보도자의 협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협력을 위해서는 두 진영의 상호 간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조사자와 보도자가 무엇을 어떻게 협력해야 할지를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조사자와 보도자가 현재의 선거여론조사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제기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무엇인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는 조사방식, 조사항목, 조사관련 정보 공개, 조사결과 해석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사방식과 관련해서는 일일조사와 공동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양 진영 간은 물론이고 조사업체 간 그리고 언론사 간 견해차도 크다. 둘째, 조사자들을 중심으로는 보도 시에 보다 적극적으로 결과를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보도자는 해석 강화 필요성에 대해서 대단히 부정적이다. 셋째, 중립적인 학술기관이나 책임 있는 공공기관이 조사와 보도의 품질 기준을 따로 나눠 제시할 것을 요구한다. 이를 통해 일정 기준 이하의 조사기관과 보도기관은 퇴출시키는 방법으로 여론조사 보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이러한 양 진영의 인식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조사자와 보도자가 합의할 수 있는 공통의 해결 방안을 찾아 제안했다.
      번역하기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는 여러 사회과학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지만, 선행연구는 첫째, 여론조사와 결과 보도의 상호관계에 대해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져왔고 둘째, 선거...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는 여러 사회과학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지만, 선행연구는 첫째, 여론조사와 결과 보도의 상호관계에 대해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져왔고 둘째,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력 외 여론조사 보도의 기능, 즉 정치적 소통 기능을 소홀히 다룬 한계를 지닌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여론조사 보도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선거여론조사와 결과 보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선거여론조사 보도를 통해 정치적 소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수집자인 조사자와 이런 정보를 유권자에게 전달하는 보도자의 협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협력을 위해서는 두 진영의 상호 간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조사자와 보도자가 무엇을 어떻게 협력해야 할지를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조사자와 보도자가 현재의 선거여론조사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제기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무엇인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는 조사방식, 조사항목, 조사관련 정보 공개, 조사결과 해석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사방식과 관련해서는 일일조사와 공동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양 진영 간은 물론이고 조사업체 간 그리고 언론사 간 견해차도 크다. 둘째, 조사자들을 중심으로는 보도 시에 보다 적극적으로 결과를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보도자는 해석 강화 필요성에 대해서 대단히 부정적이다. 셋째, 중립적인 학술기관이나 책임 있는 공공기관이 조사와 보도의 품질 기준을 따로 나눠 제시할 것을 요구한다. 이를 통해 일정 기준 이하의 조사기관과 보도기관은 퇴출시키는 방법으로 여론조사 보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이러한 양 진영의 인식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조사자와 보도자가 합의할 수 있는 공통의 해결 방안을 찾아 제안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승찬,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한국언론학회 3 (3): 83-119, 2007

      2 구교태, "한국 언론의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언론인 인식에 대한 연구" 7 : 47-82, 2008

      3 김현정, "텔레비전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영향에 대한 수용자 인식이 정치적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회 62 (62): 159-178, 2013

      4 박종희, "제18대 대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조사기관 편향" 한국조사연구학회 14 (14): 1-30, 2013

      5 이준웅, "인터넷 게시판 토론과 정치 토론 효능감" 한국언론학회 50 (50): 393-423, 2006

      6 김성태,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제3자효과 검증 : 온라인 여론조사를 주목하며" 한국언론정보학회 32 : 51-84, 2006

      7 하승태, "여론조사보도가 뉴스미디어의 선거보도행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02년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공사 18 (18): 95-118, 2006

      8 권혁남, "여론조사 보도의 현실진단 및 개선방안" 83 : 9-17, 2002

      9 양승찬,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제언" 2002

      10 권혁남,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새로운 방향 : 13대 대통령선거와국회선거 보도를 중심으로" 26 : 5-43, 1991

      1 양승찬,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한국언론학회 3 (3): 83-119, 2007

      2 구교태, "한국 언론의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언론인 인식에 대한 연구" 7 : 47-82, 2008

      3 김현정, "텔레비전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영향에 대한 수용자 인식이 정치적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회 62 (62): 159-178, 2013

      4 박종희, "제18대 대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조사기관 편향" 한국조사연구학회 14 (14): 1-30, 2013

      5 이준웅, "인터넷 게시판 토론과 정치 토론 효능감" 한국언론학회 50 (50): 393-423, 2006

      6 김성태,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제3자효과 검증 : 온라인 여론조사를 주목하며" 한국언론정보학회 32 : 51-84, 2006

      7 하승태, "여론조사보도가 뉴스미디어의 선거보도행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02년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공사 18 (18): 95-118, 2006

      8 권혁남, "여론조사 보도의 현실진단 및 개선방안" 83 : 9-17, 2002

      9 양승찬,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제언" 2002

      10 권혁남,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새로운 방향 : 13대 대통령선거와국회선거 보도를 중심으로" 26 : 5-43, 1991

      11 이준웅,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공정성 확보방안" 82 : 39-52, 2002

      12 조성겸,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개선방안" 83 : 97-105, 2002

      13 황용석, "선거시기 언론사 여론조사의 기능에 관한 연구: 16 대 총선 여론조사 보도의 조사항목 분석을 중심으로" 15 : 117-151, 2000

      14 강상현, "선거보도의 공정성과 지역성 : 영호남 지방신문의 대선후보 이미지비교" 1 : 27-47, 1993

      15 권오근, "선거보도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언" 100 : 158-164, 2006

      16 이효성, "선거보도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하여: 선거보도 개선을 위한 이론적 논의와 제안" 2002

      17 김현정,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제삼자 효과와 사회 정체성"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67-91, 2013

      18 김경모, "선거 여론조사 보도에서 방법론 문제와 부정적 보도 경향의 관계: 주요 일간지의 16-18대 국회의원 선거기사 내용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81-124, 2010

      19 강원택, "당내 공직 후보 선출 과정에서 여론조사 활용의 문제점" 14 : 35-63, 2009

      20 Gallup, G., "갤럽의 여론조사" 한국갤럽조사연구소 1978

      21 이상길, "[2002 대선을 돌아본다] 미디어는 정치를 잠식한다: 여론조사 보도의 그늘" 21 : 113-128, 2003

      22 Lang, K., "The Impact of Polls on Public Opinion" 472 : 129-142, 1984

      23 Groves, R. M., "The Impact of Nonresponse Rates on Nonresponse Bias : Meta Analysis" 72 (72): 167-189, 2008

      24 Patterson, T. E., "Of Polls, Mountains : U. S. Journalists and Their Use of Election Surveys" 69 (69): 716-724, 2005

      25 김연수, "2007 대선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특성: 신문과 방송 보도의 내용분석과 응답자 서베이 조사를 중심으로" 7 : 83-120, 2007

      26 최필선, "18대 대통령 선거 여론조사의 기관별 정확성 측정 및 비교" 한국조사연구학회 14 (14): 1-1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3 1.04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