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자참여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n E-Participation Research Tren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67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그 우수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한국의 전자참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연구된 60편의 전자참여 논문을 분석하였다. 각 논문별로 중심 내용을 살펴보고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의 분석을 통한 전자참여의 실태 분석과 전자참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배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밖에도 전자참여와 관련하여 다양한 세부 연구주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전자참여에 대한 연구가 감소 추세에 있는데 향후 전자참여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및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하는 전자참여 연구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실효성 있는 전자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그 우수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한국의 전자참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연구된 60편의 전자...

      이 연구의 목적은 그 우수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한국의 전자참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연구된 60편의 전자참여 논문을 분석하였다. 각 논문별로 중심 내용을 살펴보고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의 분석을 통한 전자참여의 실태 분석과 전자참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배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밖에도 전자참여와 관련하여 다양한 세부 연구주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전자참여에 대한 연구가 감소 추세에 있는데 향후 전자참여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및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하는 전자참여 연구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실효성 있는 전자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e-participation in Korea which is highly recognized today. Sixty research papers on e-participation published from 2001 to 2013 a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Main ideas and contents of each paper are reviewed an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overall papers are analyzed. Mostly, actual state and promotion of e-participation is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web sites, and other specific subjects on e-participation are also studied. Currently, research on e-participation is rather shrinking,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valid ways to promote e-participation through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to e-participation and e-participation in central govern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e-participation in Korea which is highly recognized today. Sixty research papers on e-participation published from 2001 to 2013 a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Main ideas and contents of ea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e-participation in Korea which is highly recognized today. Sixty research papers on e-participation published from 2001 to 2013 a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Main ideas and contents of each paper are reviewed an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overall papers are analyzed. Mostly, actual state and promotion of e-participation is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web sites, and other specific subjects on e-participation are also studied. Currently, research on e-participation is rather shrinking,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valid ways to promote e-participation through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to e-participation and e-participation in central gover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흠, "홈페이지를 통한 주민참여의 유형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5 (15): 87-112, 2005

      2 변미리, "한국적 거버넌스 패러다임의 모색 : [전자정부연구회]: E-거버넌스 ; 전자정부의 시민활용과 시민참여: 서울시 전자정부 사례" 2005

      3 이영주, "한국의 전자정부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17 (17): 36-56, 2010

      4 김석주, "한국 전자민주주의 활성화 방안 모색" 7 (7): 167-180, 2004

      5 조희정, "특집 : 사이버공간과 시민의 임파워먼트; 정보사회에서의 시민참여 - 전자정부의 시민참여 기제 분석을 중심으로 -" 1 (1): 67-97, 2003

      6 유평준, "지역정보화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4 (14): 33-68, 2011

      7 유재미, "지식생태계 연구 경향, 한계 그리고 제언" 한국정보화진흥원 18 (18): 3-21, 2011

      8 현승현, "지방행정정보화가 전자 주민참여에 미친 영향 분석 :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233-267, 2007

      9 하혜영, "지방정부의 정책과정에서온라인 주민참여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2 (22): 107-134, 2008

      10 임동범, "지방정부의 전자적 정책참여를 위한정보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375-405, 2009

      1 김보흠, "홈페이지를 통한 주민참여의 유형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5 (15): 87-112, 2005

      2 변미리, "한국적 거버넌스 패러다임의 모색 : [전자정부연구회]: E-거버넌스 ; 전자정부의 시민활용과 시민참여: 서울시 전자정부 사례" 2005

      3 이영주, "한국의 전자정부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17 (17): 36-56, 2010

      4 김석주, "한국 전자민주주의 활성화 방안 모색" 7 (7): 167-180, 2004

      5 조희정, "특집 : 사이버공간과 시민의 임파워먼트; 정보사회에서의 시민참여 - 전자정부의 시민참여 기제 분석을 중심으로 -" 1 (1): 67-97, 2003

      6 유평준, "지역정보화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4 (14): 33-68, 2011

      7 유재미, "지식생태계 연구 경향, 한계 그리고 제언" 한국정보화진흥원 18 (18): 3-21, 2011

      8 현승현, "지방행정정보화가 전자 주민참여에 미친 영향 분석 :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233-267, 2007

      9 하혜영, "지방정부의 정책과정에서온라인 주민참여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2 (22): 107-134, 2008

      10 임동범, "지방정부의 전자적 정책참여를 위한정보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375-405, 2009

      11 고영삼,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 연구:울산사이버지방자치시스템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3-32, 2005

      12 하혜영,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분석: 강남구 온라인 주민설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7 (17): 93-118, 2008

      13 김구, "지방정부에 있어서 정부신뢰를 통한 전자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웹 2.0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131-154, 2009

      14 송경재, "지방정부 e-거버넌스 구축과 시민참여전자민주주의 가능성"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105-139, 2007

      15 이재성, "지방자치단체의 온라인 주민참여에 관한시론적 연구" 6 (6): 127-155, 2003

      16 이시원, "지방자치단체온라인주민참여실명제도입의영향분석" 한국행정학회 36 (36): 205-229, 2002

      17 민병익, "지방자치단체 온라인 주민참여의 행태변화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257-274, 2006

      18 서순복, "지방자치단체 온라인 시민참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20 (20): 149-187, 2004

      19 방민석, "지방의회 입법과정에서의 ICT 활용과 향후 과제-전자적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19 (19): 139-165, 2006

      20 이재성, "제1회의 :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온라인주민참여에 대한 실태분석" 2004

      21 윤성이, "정책과정에서 온라인 시민참여의 제도화 방안" 한국사회이론학회 (30) : 189-212, 2006

      22 윤성이, "전자정부의 진화와 시민참여: E-거버넌스 관점에서" 33 (33): 147-170, 2007

      23 윤상오, "전자정부의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79-103, 2003

      24 문신용, "전자정부와 시민참여에 관한 통합적 분석모형의 구성 및 적용 연구: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5 (45): 259-284, 2007

      25 신영진, "전자정부에서의 국민참여를 통한 전자민주주의 구현" 8 (8): 75-101, 2005

      26 민병익, "전자정부에서 시민참여의 특성: 기초자치단체 웹사이트 온라인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55-175, 2009

      27 류현숙, "전자정부 온라인 참여 연구를 위한 철학적 제언: 실재론적 구성주의(Realist constructivism)접근" 2008

      28 서민석, "전자정부 온라인 주민참여 요인에 대한 연구: 자치단체 온라인 정책 참여를 중심으로" 2009

      29 조희정, "전자정부 시민참여 서비스의 전환과 정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쟁점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활용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7 (17): 71-109, 2011

      30 윤종현, "전자적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부활동과 시민참여정도 간의 경로분석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291-, 2007

      31 김선경, "전자적 시민참여 단계의 분석모형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0 (20): 33-60, 2007

      32 황성수, "전자거버넌스와 정책의제 설정- 전자정부사이트에서의 정책제안과 시민참여 탐색연구 -" 한국정책학회 20 (20): 1-22, 2011

      33 노승용, "전자 시민참여 이용자 만족도와 정부신뢰:구로구 “구청장에게 바란다”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1 (21): 24-58, 2007

      34 정우열, "인터넷참여와 공공대응성 분석" 12 (12): 177-193, 2001

      35 김보흠, "인터넷을 통한 주민참여활성화를 위한 요인분석" 18 (18): 3-49, 2001

      36 조화순, "인터넷을 통한 시민 정책참여: 단일이슈 네트운동의 정책결정과정" 한국행정학회 38 (38): 197-214, 2004

      37 오형국, "이종순 교수 정년기념호 : 통일,복지행정 분야 ; 전자정부를 통한 시민참여 사례연구 -시민 제안제도의 운영을 중심으로" 21 : 382-399, 2005

      38 윤종현, "우리나라 정부의 전자적 시민참여서비스에 관한 종합평가모형 개발의 탐색적 연구" 2006

      39 박충훈, "온라인정책참여시스템의 평가지표개발-참여마당신문고를 중심으로-" 2006

      40 홍성운, "온라인상의 정책의제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109-131, 2009

      41 한동효, "온라인 주민참여가 행정과정에 미친 영향분석:기초자치단체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113-135, 2006

      42 김현성, "온라인 시민참여와 전자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대응성과 협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2 (22): 91-120, 2006

      43 허만형,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사회자본, 그리고 정책참여의 3차원 관계연구: 서울시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5 (15): 1-18, 2012

      44 임동진, "온라인 거버넌스로서의 전자정부의 성과와 정책과제" 한국의정연구회 7 (7): 175-206, 2012

      45 윤주명, "시민참여와 행정의 대응성" 13 (13): 143-163, 2001

      46 배일섭, "시민참여를 위한 PCRM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2 (2): 197-214, 2007

      47 김재관, "시민참여 활성화를 통한 전자정부의 민주성 제고 방향" 7 (7): 127-149, 2004

      48 황성수, "스마트 정부 시대에 맞는 참여적 거버넌스 모색:Social Media를 활용한 정책홍보와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5 (15): 29-46, 2012

      49 성조환, "서울시 자치단체 홈페이지 평가를 통한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3 (13): 8-192, 2003

      50 정철현,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주민의 전자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7 (17): 145-174, 2009

      51 명재진, "사이버윤리 연구동향 분석과 정보인권 측면에서의 평가"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3-21, 2013

      52 서진완, "사이버공동체의 정책참여와 정부정책의 변화"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3 (13): 109-130, 2010

      53 허훈, "사이버거버넌스의 시민참여를 위한 강남구 사이버주민자치 시스템 운영 분석연구" 14 (14): 197-220, 2003

      54 김유정, "미디어 영역에서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19 (19): 3-26, 2012

      55 임준형, "도시전자정부가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환경의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0 (40): 53-76, 2006

      56 이혜원, "국내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3-22, 2013

      57 정진우, "국내ㆍ외 사례비교를 통한 온라인 주민참여 활성화 전략 탐색" 9 (9): 59-77, 2006

      58 김찬곤, "구로구의 전자 시민참여 운영현황 및 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0 (10): 47-68, 2007

      59 김찬곤, "공무원의 전자민주주의 수용 영향 요인: 온라인 정책토론방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21-47, 2008

      60 윤상오, "공공사이트와 민간사이트간 온라인 정책참여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4 (14): 119-155, 2011

      61 방민석, "갈등관리를 위한 e-rulemaking의 적용가능성 탐색: 전자민주주의 기반의 참여적 의사결정" 2006

      62 문신용, "e-거버넌스와 시민들의 온라인 정책참여: 광역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59-84, 2009

      63 이명진, "SNS에 관한 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쟁점" 한국정보화진흥원 19 (19): 3-20, 2012

      64 윤성이, "SNS 정치참여 연구 동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3-19, 2013

      65 노승용, "Public Administrators’ Attitudes on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0 (10): 121-158, 2007

      66 OECD, "Promise and problems of edemocracy: Challenges of online citizen engagement" OECD publication service 2003

      67 '김종호, "IT활용을 통한 정책과정의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경기도 홈페이지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3 (13): 85-116, 2004

      68 OECD, "Citizen as partners: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OECD publication service 2001

      69 노승용, "A Comparative Evaluation of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0 (10): 69-85, 2007

      70 송효진, "2030세대의 인터넷 참여와 전자정부"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3 (13): 97-12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formatization Polic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전산원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정보화정책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5 1.55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31 1.756 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