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프로축구경기장 시설환경의 상대적 중요도 탐색 = Exploration of Relative Importance of Professional Soccer Stadium’s Facility Environment focused on Conjoint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48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ilit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ntext of Korean professional soccer stadiums. A total of 250 stadium spectators were surveyed and then categorized into high- and low-involvement spectators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ility environmental factors. The survey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conjoi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spectators recognized the stadium seat, especially the ‘seat near the ground,’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attribute in professional soccer stadiums. High-involvement spectators offered a similar relative importance rank as the all spectators group, but the former attributed relatively high importance to stadium seats, especially the ‘seat near the ground,’ rather than other factors. On the other hand, low-involvement spectators recognized the aesthetics of the stadium, especially ‘the exterior design of the stadium,’ as relatively important compared to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stadium seating,’ ‘stadium cleanliness,’ and ‘stadium accessibility’. Secondly, the reported optimal combin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tadium was consistent across all groups (entire spectators, high- and low-involved spectators) – ‘a beautiful stadium with a seat close to the ground, clean toilets, and convenient parking lot’. The high involvement group was determined to derive the greatest total value of utility from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facility environment, followed by the low involvement group and the all spectators group.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ilit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ntext of Korean professional soccer stadiums. A total of 250 stadium spectators were surveyed and then categorized into high- and low-involvement spectators to det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ilit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ntext of Korean professional soccer stadiums. A total of 250 stadium spectators were surveyed and then categorized into high- and low-involvement spectators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ility environmental factors. The survey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conjoi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spectators recognized the stadium seat, especially the ‘seat near the ground,’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attribute in professional soccer stadiums. High-involvement spectators offered a similar relative importance rank as the all spectators group, but the former attributed relatively high importance to stadium seats, especially the ‘seat near the ground,’ rather than other factors. On the other hand, low-involvement spectators recognized the aesthetics of the stadium, especially ‘the exterior design of the stadium,’ as relatively important compared to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stadium seating,’ ‘stadium cleanliness,’ and ‘stadium accessibility’. Secondly, the reported optimal combin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tadium was consistent across all groups (entire spectators, high- and low-involved spectators) – ‘a beautiful stadium with a seat close to the ground, clean toilets, and convenient parking lot’. The high involvement group was determined to derive the greatest total value of utility from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facility environment, followed by the low involvement group and the all spectators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프로축구경기장 시설환경의 상대적 중요도를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프로축구 전체 관중이 지각하는 경기장 시설환경 속성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며, 프로축구관여도를 바탕으로 분류된 관중의 경기장 시설환경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기초로 경기장 시설환경 속성의 최적 조합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50명의 프로축구 K리그1 관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관중은 프로축구경기장의 시설환경 속성으로 제시된 경기장 좌석, 경기장 청결도, 경기장 심미성, 경기장 공간 접근성 중 경기장 좌석, 특히 그라운드와 거리가 가까운 좌석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경기장 심미성, 경기장 청결도, 경기장 공간 접근성 순으로 중요도를 보였다. 고관여 관중은 전체 관중과 동일하게 상대적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였으며, 경기장 좌석, 특히 그라운드 근접 좌석에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저관여 관중은 경기장 심미성, 특히 경기장 외관디자인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장 좌석, 경기장 청결도, 경기장 공간 접근성 순으로 중요도를 보였다. 두 번째 결과로, 프로축구경기장 시설환경 속성의 최적 조합은 전체 관중, 고관여 관중, 저관여 관중 모두에게 ‘그라운드와 근접한 좌석이 설치되어 있고 화장실이 청결하며 주차장 이용이 편리한 외관디자인이 아름다운 경기장’으로 나타났으며, 총 효용 값은 고관여 집단, 저관여 집단, 전체 관중 순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프로축구경기장 시설환경의 상대적 중요도를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프로축구 전체 관중이 지각하는 경기장 시설환경 속성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며...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프로축구경기장 시설환경의 상대적 중요도를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프로축구 전체 관중이 지각하는 경기장 시설환경 속성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며, 프로축구관여도를 바탕으로 분류된 관중의 경기장 시설환경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기초로 경기장 시설환경 속성의 최적 조합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50명의 프로축구 K리그1 관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관중은 프로축구경기장의 시설환경 속성으로 제시된 경기장 좌석, 경기장 청결도, 경기장 심미성, 경기장 공간 접근성 중 경기장 좌석, 특히 그라운드와 거리가 가까운 좌석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경기장 심미성, 경기장 청결도, 경기장 공간 접근성 순으로 중요도를 보였다. 고관여 관중은 전체 관중과 동일하게 상대적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였으며, 경기장 좌석, 특히 그라운드 근접 좌석에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저관여 관중은 경기장 심미성, 특히 경기장 외관디자인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장 좌석, 경기장 청결도, 경기장 공간 접근성 순으로 중요도를 보였다. 두 번째 결과로, 프로축구경기장 시설환경 속성의 최적 조합은 전체 관중, 고관여 관중, 저관여 관중 모두에게 ‘그라운드와 근접한 좌석이 설치되어 있고 화장실이 청결하며 주차장 이용이 편리한 외관디자인이 아름다운 경기장’으로 나타났으며, 총 효용 값은 고관여 집단, 저관여 집단, 전체 관중 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 2019시즌 K리그 입장수입 및 객단가 발표"

      2 장원용, "프로축구경기장의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한 관중증대 전략"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145-156, 2018

      3 최홍석, "프로축구경기장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의 질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 (14): 65-78, 2016

      4 장원용, "프로축구경기 관람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1 (21): 69-86, 2016

      5 정윤덕, "프로축구 서포터들의 구단 충성도 형성에 있어 동기, 관여, 체험의 역할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4): 1-18, 2019

      6 이화웅, "프로축구 관중의 경기관람요인과 지각된 가치, 관람만족, 관람몰입, 재관람의도 및 구전의도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7 정대용, "프로축구 경기장 서비스스케이프가 감정반응, 팀 이미지 및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최진수, "프로축구 FC서울 서포터즈들의 관람결정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4): 48-65, 2019

      9 인성호, "프로야구장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속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몰입의 매개효과"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267-288, 2016

      10 한경은, "프로야구장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프로야구 팬들의 인식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체육학회 58 (58): 81-95, 2019

      1 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 2019시즌 K리그 입장수입 및 객단가 발표"

      2 장원용, "프로축구경기장의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한 관중증대 전략"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145-156, 2018

      3 최홍석, "프로축구경기장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의 질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 (14): 65-78, 2016

      4 장원용, "프로축구경기 관람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1 (21): 69-86, 2016

      5 정윤덕, "프로축구 서포터들의 구단 충성도 형성에 있어 동기, 관여, 체험의 역할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4): 1-18, 2019

      6 이화웅, "프로축구 관중의 경기관람요인과 지각된 가치, 관람만족, 관람몰입, 재관람의도 및 구전의도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7 정대용, "프로축구 경기장 서비스스케이프가 감정반응, 팀 이미지 및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최진수, "프로축구 FC서울 서포터즈들의 관람결정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4): 48-65, 2019

      9 인성호, "프로야구장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속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몰입의 매개효과"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267-288, 2016

      10 한경은, "프로야구장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프로야구 팬들의 인식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체육학회 58 (58): 81-95, 2019

      11 송현권, "프로야구 관중의 자아존중감, 구단서비스와 관람의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76) : 37-47, 2019

      12 정권혁, "프로야구 경기장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품질 및 행동의도에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13 이상준, "프로야구 경기장의 물리적 환경요인이 관람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원정경기 관람객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4): 1-14, 2019

      14 정영렬, "프로농구경기장의 물리적환경과 재방문의도 관계에서 관람만족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4 (24): 979-992, 2015

      15 정승훈,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인지된 가치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공연 관여도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체육학회 56 (56): 351-375, 2017

      16 이현철,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구매시 주거환경 선호도 연구 -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 한국주거학회 20 (20): 27-35, 2009

      17 지혜영,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휴대폰 속성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 (20): 695-703, 2009

      18 박서화,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클래식 공연 소비자 선호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9 송영은,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친환경농산물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257-274, 2009

      20 구자현,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소비자의 타이어 제품 선택 및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8 (18): 155-163, 2018

      21 허무열,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사과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7 (17): 99-118, 2009

      22 조윤실, "점포의 물리적환경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 22 (22): 323-330, 2017

      23 최용석, "이유있는 K리그의 관중몰이"

      24 장용호, "우슈 경기장 환경요인이 관중성향 및 몰입과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0

      25 유광길, "요구분석을 활용한 한국 프로스포츠 관중의 관람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79) : 61-70, 2020

      26 장원용, "아웃도어 스포츠의류 구매결정요인에 따른 시장 세분화전략"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 (20): 117-130, 2015

      27 조성식, "스포츠팬의 경기장 공간의 의미부여에 관한 연구 -야구장과 축구장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1 (51): 77-85, 2012

      28 강희엽, "스포츠 환경 모델을 통한 프로축구 관람객들의 관람행동 분석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78) : 109-118, 2019

      29 조희태, "스포츠 환경 모델을 이용한 세계 대학 태권도 대회 관람객의 행동 분석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281-291, 2015

      30 이창섭, "빅데이터로 본 한국프로야구 관중의 소비감정" 한국스포츠학회 17 (17): 881-889, 2019

      31 손원미, "대학 뮤지컬 전공자의 무용 수업 선호도에 관한 실증 연구 -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 한국무용학회 19 (19): 1-15, 2019

      32 도재수, "대구FC 프로축구단의 인적자원혁신 - AOR 모델에 의한 사례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02-110, 2019

      33 유선태, "대구FC 전용구장 ‘DGB 대구은행파크’"

      34 진대근, "국내 프로축구경기장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5 (25): 58-74, 2020

      35 이상하, "국내 승마산업 대중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스포츠 마케팅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375-397, 2018

      36 이민우, "경기장 시설 요인에 따른 기대불일치가 프로축구팀 이미지 및 모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0) : 367-380, 2012

      37 최송아, "가변석 설치하고 잔디 바꾼 안양, K리그2 초반 흥행 1위"

      38 최송아, "‘대팍’이 쏘아올린 흥행 대박..1부 평균 8천명 돌파"

      39 Hill, J. R., "The short run demand for major league baseball" 10 : 31-35, 1982

      40 Wakefield, K. L., "The Effects of team loyalty and selected stadium factors on spectator attendance" 9 (9): 153-172, 1995

      41 Shibury, D., "Strategic sport marketing: Understanding the sport consumer" Cataloguing-in-Publication 41-60, 1998

      42 Hock, C., "Management of multi-purpose stadiums : Importance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service interfaces" 14 : 188-207, 2010

      43 노기완, "K리그 경기장 탐방, 종합운동장이 사는 법"

      44 Bakirtzoglou, B., "Female fan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sportscape factors in greek soccer super league" 10 : 57-59, 2017

      45 Hoyer, W. D., "Consumer behaviour" Houghton Mifflin Company 2001

      46 최홍석, "AHP를 활용한 프로축구 경기장 공간마케팅 우선순위 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4 (14): 359-371,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7 1.73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