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도산 안창호의 국가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ew of State of Do San Ahn Chang-H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is is analysis View of State of Do San Ahn Chang-Ho and there is no research on current Do San Ahn Chang-Ho'sView of State. His national reform movement called for individual renovation and reform as a start. Hungsadan(흥사단) was an organization crated for just that purpose. As its name suggests, it was an organization aimed at producing gentlemen, namely, leaders for nationalist movements. The gentleman Dosan envisioned is a man who possesses sound personality, who can provide great leadership for society. The nation's prosperity and happiness cannot be expected without individual moral reform and national reform. All should put into practice the ideal of devotion to substantiality in a steady process, materialize character innovation, learn the method of uniting themselves with mutual love, and become a people who are sincere, diligent, and brave. In this paper, we pick the part that is associated with the View of State in the speeches of Do San Ahn Chang-Ho analysis View of State. For evaluation, and finally,to analyze the content and substance of the View of State.
      번역하기

      Thesis is analysis View of State of Do San Ahn Chang-Ho and there is no research on current Do San Ahn Chang-Ho'sView of State. His national reform movement called for individual renovation and reform as a start. Hungsadan(흥사단) was an organizati...

      Thesis is analysis View of State of Do San Ahn Chang-Ho and there is no research on current Do San Ahn Chang-Ho'sView of State. His national reform movement called for individual renovation and reform as a start. Hungsadan(흥사단) was an organization crated for just that purpose. As its name suggests, it was an organization aimed at producing gentlemen, namely, leaders for nationalist movements. The gentleman Dosan envisioned is a man who possesses sound personality, who can provide great leadership for society. The nation's prosperity and happiness cannot be expected without individual moral reform and national reform. All should put into practice the ideal of devotion to substantiality in a steady process, materialize character innovation, learn the method of uniting themselves with mutual love, and become a people who are sincere, diligent, and brave. In this paper, we pick the part that is associated with the View of State in the speeches of Do San Ahn Chang-Ho analysis View of State. For evaluation, and finally,to analyze the content and substance of the View of St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의 도산 안창호의 주요 사상을 바탕으로 그의 국가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도산의 국가관에 대한 단독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며, 국가론에 대한 연구도 매우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도산 안창호는 국가관은 개혁과 보수였다고 할 수 있으며 흥사단도 이러한 목적하에 창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산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의 생애와 정치적 활동을 토대로 연구되었으며 특히 도산 안창호가 교육자라는 시각에서 교육사상과 철학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도산 안창호에 대한 연구는 한쪽으로 편중되어 연구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애석하다고 할 수 있다. 도산 안창호는 애국자인 동시에 존경 받을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민족의 지도자로 평가하는데 대해 이견이 없다. 도산은 국가의 번영과 행복은 개인적 도덕 개혁과 국가의 개혁을 하지 않고서는 기대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산의 글 중에서 국가관에 연관되어 있는 부분을 발췌하여 도산 안창호의 국가관이 어떠한가에 대한 실체를 추론하고자 한다. 국가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의 인간관과 사회관을 바탕으로 국가관과의 접목을 시도하고자 하며, 다음으로 도산의 국가관의 내용과 실체를 분석하고 마지막에서는 도산의 국가관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기존의 도산 안창호의 주요 사상을 바탕으로 그의 국가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도산의 국가관에 대한 단독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며, 국가론에 대한 연구도 매우 미흡하다고...

      본 논문은 기존의 도산 안창호의 주요 사상을 바탕으로 그의 국가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도산의 국가관에 대한 단독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며, 국가론에 대한 연구도 매우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도산 안창호는 국가관은 개혁과 보수였다고 할 수 있으며 흥사단도 이러한 목적하에 창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산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의 생애와 정치적 활동을 토대로 연구되었으며 특히 도산 안창호가 교육자라는 시각에서 교육사상과 철학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도산 안창호에 대한 연구는 한쪽으로 편중되어 연구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애석하다고 할 수 있다. 도산 안창호는 애국자인 동시에 존경 받을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민족의 지도자로 평가하는데 대해 이견이 없다. 도산은 국가의 번영과 행복은 개인적 도덕 개혁과 국가의 개혁을 하지 않고서는 기대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산의 글 중에서 국가관에 연관되어 있는 부분을 발췌하여 도산 안창호의 국가관이 어떠한가에 대한 실체를 추론하고자 한다. 국가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의 인간관과 사회관을 바탕으로 국가관과의 접목을 시도하고자 하며, 다음으로 도산의 국가관의 내용과 실체를 분석하고 마지막에서는 도산의 국가관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환, "제4장 도산 안창호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129-188, 2010

      2 안창호, "제2차 북경로 예배당 연성-1919.6.4" 을유문화사 1985

      3 박광득, "제2장 도산 안창호의 평화사상과 한반도통일" 한국통일전략학회 11 (11): 45-76, 2011

      4 평화전문인터넷신문, "안창호의 혁명사상과 혁명사상체계도, 평화만들기 제265호"

      5 주요한, "안창호 전집" 삼중당 1971

      6 김명기, "비교정부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1

      7 안창호, "불쌍한 우리 한인은 희락이 없오, In 안도산전서 중 : 언론자료 편" 범양사출판부 1990

      8 안창호, "동포에게 고하는 글, In 안도산전집 중 : 언론자료 편" 범양사 출판사 1990

      9 안창호, "동지에게 주는 글-무정한 사회와 무정한 사회" 을유문화사 1985

      10 도산안창호선생전집편찬위원회, "도산안창호전집" 사단법인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0

      1 정경환, "제4장 도산 안창호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129-188, 2010

      2 안창호, "제2차 북경로 예배당 연성-1919.6.4" 을유문화사 1985

      3 박광득, "제2장 도산 안창호의 평화사상과 한반도통일" 한국통일전략학회 11 (11): 45-76, 2011

      4 평화전문인터넷신문, "안창호의 혁명사상과 혁명사상체계도, 평화만들기 제265호"

      5 주요한, "안창호 전집" 삼중당 1971

      6 김명기, "비교정부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1

      7 안창호, "불쌍한 우리 한인은 희락이 없오, In 안도산전서 중 : 언론자료 편" 범양사출판부 1990

      8 안창호, "동포에게 고하는 글, In 안도산전집 중 : 언론자료 편" 범양사 출판사 1990

      9 안창호, "동지에게 주는 글-무정한 사회와 무정한 사회" 을유문화사 1985

      10 도산안창호선생전집편찬위원회, "도산안창호전집" 사단법인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0

      11 안병익, "도산안창호 한국의 사상가 12인" 현암사 1970

      12 이광수, "도산안창호 선생에게, In 도산안창호논설집 16판" 을유문화사 1985

      13 이광수, "도산안창호" 대성문화사 1975

      14 廉基洙, "도산 안창호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민족주의 연구 : 중간하층의 민족 의식을 토대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15 정경환, "도산 안창호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9-37, 2012

      16 정경환, "도산 안창호의 역사관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71-99, 2012

      17 박광득, "도산 안창호의 민주주의론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9-42, 2011

      18 심옥주, "도산 안창호의 문명관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39-70, 2012

      19 정경환, "도산 안창호의 국가론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43-86, 2011

      20 한영옥,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안창호, "도산 안창호연설집 16판" 을유문화사 1985

      22 황재봉, "도산 안창호선생 60주기를 기리며"

      23 박철수, "도산 안창호 윤리사상의 교육적 함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4 안병욱,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안창호" 민족문화사 1983

      25 안창호, "내무총장에 취임하면서, In 안도산전집 중 : 언론자료 편" 범양사 출판사 1990

      26 朴相潤, "開發途上國의 技術導入問題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1977

      27 安斗鎭, "島山 安昌浩의 敎育思想硏究"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28 金柄旭, "島山 安昌浩의 政治思想에 관한 硏究" 中央大學校 大學院 1986

      29 禹昌勳, "島山 安昌浩 倫理敎育 思想 硏究"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30 尹大遠, "大韓民國臨時政府의 組織·運營과 獨立方略의 분화(1919-1930)"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31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아카데미아리서치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