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회계학연구의 사회과학적 차원과 철학적 가정 = The Social Scientific Dimensions and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in Accounting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0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scientific dimensions and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in accounting research. The mainstream accounting research is based upon the positivist social science. The interpretive accounting research is grounded on the interpretive social science. The critical accounting research is founded upon the critical social science.
      The positivist approach sees social science as an organized method for combining deductive logic with precise empirical observations of individual behavior in order to discover and confirm a set of probabilistic causal law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general patterns of human activity.
      The interpretive approach is the systematic analysis of socially meaningful action through the direct detailed observation of people in natural settings in order to arrive at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of how people create and maintain their social worlds. The critical approach defines social science as a critical process of inquiry that goes beyond surface illusions to uncover the real structures in the material world in order to help people change conditions and build a better world for themselves.
      번역하기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scientific dimensions and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in accounting research. The mainstream accounting research is based upon the positivist social science. The interpretive accounting research is grounded on the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scientific dimensions and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in accounting research. The mainstream accounting research is based upon the positivist social science. The interpretive accounting research is grounded on the interpretive social science. The critical accounting research is founded upon the critical social science.
      The positivist approach sees social science as an organized method for combining deductive logic with precise empirical observations of individual behavior in order to discover and confirm a set of probabilistic causal law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general patterns of human activity.
      The interpretive approach is the systematic analysis of socially meaningful action through the direct detailed observation of people in natural settings in order to arrive at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of how people create and maintain their social worlds. The critical approach defines social science as a critical process of inquiry that goes beyond surface illusions to uncover the real structures in the material world in order to help people change conditions and build a better world for themsel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회계학의 연구대상인 회계현상이 자연현상이 아니고 사회현상이라면 회계학연구는 자연과학적 차원에서 진행될 수 없고 사회과학적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Hopper와 Powell은 사회과학적 차원에서의 회계학 연구를 주류회계연구, 해석회계연구, 그리고 비판회계연구로 분류하였다.
      회계학 연구의 사회과학적 차원의 분류는 사회과학적 연구의 3가지 접근법 즉 실증적 사회과학, 해석적 사회과학 그리고 비판적 사회과학의 토대 위에 서 있다. 실증적 사회과학은 실증주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사회현상의 보편적 법칙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회계현상으로서의 사회적 실재는 실제로 존재하는 패턴이며 질서이므로 인과관계의 논리에 의거 그 법칙을 찾을 수 있다는 철학적 가정을 하고 있다. 즉 인간을 기계적 모델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회계학에서의 과학적 설명이란 일반법칙적 설명일 수밖에 없으므로 포괄법칙모델에 의한 양적 방법의 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해석적 사회과학은 인간행동이 패턴과 규칙성을 가질 수는 있지만 그것은 법칙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인간들이 상호작용 함으로써 만들어낸 의미시스템 혹은 사회적 관습의 산물이며 회계현상으로서의 사회적 실재란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내린 정의에 기초하고 있을 따름이라고 한다. 따라서 과학적 설명이란 개별기술적 설명이므로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에 비해 비판적 사회과학은 회계현상으로서의 사회적 실재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는 실증적 사회과학과 궤를 같이 하지만, 그 회계현상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진화하는 것이라는 점에서는 해석적 사회과학의 입장에 동조한다. 실증적 사회과학의 결정론과 해석적 사회과학의 주의주의의 절충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비판적 사회과학의 과학적 설명은 보편법칙적 접근법과 개별기술적 접근법 모두를 용인하고 있다.
      오늘날의 사회과학자들의 공동체는 사회현상의 본질에 대해 서로 다른 철학적 가정을 하고 있는 3가지 접근법을 공히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주류회계연구, 해석회계연구 그리고 비판회계연구의 분류는 존중되어야 할 것이며 어느 한가지 연구방법론만을 유일한 과학적 방법이라고 고집하는 ‘방법론적 제국주의’는 마땅히 배격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회계학의 연구대상인 회계현상이 자연현상이 아니고 사회현상이라면 회계학연구는 자연과학적 차원에서 진행될 수 없고 사회과학적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Hopper와 Powell은 사회과...

      회계학의 연구대상인 회계현상이 자연현상이 아니고 사회현상이라면 회계학연구는 자연과학적 차원에서 진행될 수 없고 사회과학적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Hopper와 Powell은 사회과학적 차원에서의 회계학 연구를 주류회계연구, 해석회계연구, 그리고 비판회계연구로 분류하였다.
      회계학 연구의 사회과학적 차원의 분류는 사회과학적 연구의 3가지 접근법 즉 실증적 사회과학, 해석적 사회과학 그리고 비판적 사회과학의 토대 위에 서 있다. 실증적 사회과학은 실증주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사회현상의 보편적 법칙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회계현상으로서의 사회적 실재는 실제로 존재하는 패턴이며 질서이므로 인과관계의 논리에 의거 그 법칙을 찾을 수 있다는 철학적 가정을 하고 있다. 즉 인간을 기계적 모델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회계학에서의 과학적 설명이란 일반법칙적 설명일 수밖에 없으므로 포괄법칙모델에 의한 양적 방법의 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해석적 사회과학은 인간행동이 패턴과 규칙성을 가질 수는 있지만 그것은 법칙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인간들이 상호작용 함으로써 만들어낸 의미시스템 혹은 사회적 관습의 산물이며 회계현상으로서의 사회적 실재란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내린 정의에 기초하고 있을 따름이라고 한다. 따라서 과학적 설명이란 개별기술적 설명이므로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에 비해 비판적 사회과학은 회계현상으로서의 사회적 실재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는 실증적 사회과학과 궤를 같이 하지만, 그 회계현상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진화하는 것이라는 점에서는 해석적 사회과학의 입장에 동조한다. 실증적 사회과학의 결정론과 해석적 사회과학의 주의주의의 절충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비판적 사회과학의 과학적 설명은 보편법칙적 접근법과 개별기술적 접근법 모두를 용인하고 있다.
      오늘날의 사회과학자들의 공동체는 사회현상의 본질에 대해 서로 다른 철학적 가정을 하고 있는 3가지 접근법을 공히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주류회계연구, 해석회계연구 그리고 비판회계연구의 분류는 존중되어야 할 것이며 어느 한가지 연구방법론만을 유일한 과학적 방법이라고 고집하는 ‘방법론적 제국주의’는 마땅히 배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ccounting Information Associon -> Korea Accounting Information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25 1.443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