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이크업 디자인을 위한 여성 눈썹 형태적 분석 = Analysis of Korean Women’s Eyebrow Shape for Makeup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8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눈썹은 얼굴인식, 표정,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역할로서 그 형태에 따라 인상을 좌우하며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눈썹 형태를 직접 계측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대표 유형을 분류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30 대 한국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눈썹 형태와 색상을 계측하였고, 측정데이터는 여성의 눈썹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눈썹 모양을 결정하는데 사용되었다. 결과: 그 결과, 과거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보고된 계측 데이터와 차이가 있었다. 여성 눈썹의 평균 측정치는 눈썹 너비가 약 49.7 (±3.6) mm, 눈썹 두께 약 8.1 (±1.4) mm, 눈썹산 높이 1.78 (±0.9) mm로 분석되었다. 눈썹 형태의 대표 유형은 4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유형별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표준형, 일자형, 둥근형 혹은 각진형, 상승형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눈썹의 대표 유형별 형태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가장 최근의 눈썹 형태에 대한 측정자료로서 과거 데이터를 보완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형을 기준으로 개개인의눈썹 형태를 분석하여 교정하고, 눈썹 형태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제시된 대표 유형을 디자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목적: 눈썹은 얼굴인식, 표정,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역할로서 그 형태에 따라 인상을 좌우하며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눈썹 형태를 직접 계측...

      목적: 눈썹은 얼굴인식, 표정,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역할로서 그 형태에 따라 인상을 좌우하며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눈썹 형태를 직접 계측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대표 유형을 분류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30 대 한국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눈썹 형태와 색상을 계측하였고, 측정데이터는 여성의 눈썹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눈썹 모양을 결정하는데 사용되었다. 결과: 그 결과, 과거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보고된 계측 데이터와 차이가 있었다. 여성 눈썹의 평균 측정치는 눈썹 너비가 약 49.7 (±3.6) mm, 눈썹 두께 약 8.1 (±1.4) mm, 눈썹산 높이 1.78 (±0.9) mm로 분석되었다. 눈썹 형태의 대표 유형은 4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유형별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표준형, 일자형, 둥근형 혹은 각진형, 상승형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눈썹의 대표 유형별 형태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가장 최근의 눈썹 형태에 대한 측정자료로서 과거 데이터를 보완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형을 기준으로 개개인의눈썹 형태를 분석하여 교정하고, 눈썹 형태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제시된 대표 유형을 디자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소영 ; 이정민, "효과적인 눈썹보정을 위한 반영구 특수메이크업 기법 연구" 한국미용학회 19 (19): 822-832, 2013

      2 박정신, "표준형 및 수평형 눈썹 메이크업의 형태인지에 따른 평균 변화율과 곡률의 분석-미용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 24 (24): 993-1001, 2018

      3 김태섭 ; 한동길 ; 도언록 ; 박대환, "안검하수 교정 수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 19 (19): 46-50, 2013

      4 김정희, "아이 메이크업 적용을 위한 우리나라 성인 여성 눈썹과 눈의 형태 분석" 한국미용학회 14 (14): 210-224, 2008

      5 박선욱 ; 안은주 ; 김정희, "반영구 메이크업 디자인을 위한 성인 남성의 눈썹 형태 분석"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 (20): 227-237, 2022

      6 김영삼 ; 강상모, "눈썹의 짙기 정도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625-632, 2014

      7 조민희 ; 박길순, "눈썹의 변화에 따른 동안효과" 한국미용학회 19 (19): 437-447, 2013

      8 하선옥 ; 조고미 ; 김춘심, "눈썹 메이크업 表現에 應用되는 線의 錯視 效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9 (9): 28-39, 2005

      9 한승희 ; 최민령, "남성의 반영구 자연눈썹 시술에 따른 외모인식도 및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26 (26): 814-824, 2020

      10 박정신 ; 박동은, "각진형과 아치형 눈썹메이크업의 평균변화율 및 곡률에 따른 형태구성의 중요요인 분석"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3 (23): 116-126, 2019

      1 조소영 ; 이정민, "효과적인 눈썹보정을 위한 반영구 특수메이크업 기법 연구" 한국미용학회 19 (19): 822-832, 2013

      2 박정신, "표준형 및 수평형 눈썹 메이크업의 형태인지에 따른 평균 변화율과 곡률의 분석-미용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 24 (24): 993-1001, 2018

      3 김태섭 ; 한동길 ; 도언록 ; 박대환, "안검하수 교정 수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 19 (19): 46-50, 2013

      4 김정희, "아이 메이크업 적용을 위한 우리나라 성인 여성 눈썹과 눈의 형태 분석" 한국미용학회 14 (14): 210-224, 2008

      5 박선욱 ; 안은주 ; 김정희, "반영구 메이크업 디자인을 위한 성인 남성의 눈썹 형태 분석"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 (20): 227-237, 2022

      6 김영삼 ; 강상모, "눈썹의 짙기 정도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625-632, 2014

      7 조민희 ; 박길순, "눈썹의 변화에 따른 동안효과" 한국미용학회 19 (19): 437-447, 2013

      8 하선옥 ; 조고미 ; 김춘심, "눈썹 메이크업 表現에 應用되는 線의 錯視 效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9 (9): 28-39, 2005

      9 한승희 ; 최민령, "남성의 반영구 자연눈썹 시술에 따른 외모인식도 및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26 (26): 814-824, 2020

      10 박정신 ; 박동은, "각진형과 아치형 눈썹메이크업의 평균변화율 및 곡률에 따른 형태구성의 중요요인 분석"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3 (23): 116-126, 2019

      11 송수미 ; 유수진 ; 김정희, "pH 레벨에 따른 세미퍼머넌트 아이브로우 제품의 관능평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7 (17): 179-185, 2019

      12 Flament F,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feminine eyebrows : variations with ethnicities and age" 41 : 443-449, 2019

      13 Matros E, "Changes in eyebrow position and shape with aging" 124 : 1296-1301, 2009

      14 Kim MH,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eyebrow techniqu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ractitioner" 1 : 60-74,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