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의 소방인력 배치기준은 인구 및 관할면적에 의한 단순 배치기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소방업무는 시·도의 기능으로 되어 있는데, 보유해야할 소방관서, 소방인력, 차량장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85267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5-105(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의 소방인력 배치기준은 인구 및 관할면적에 의한 단순 배치기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소방업무는 시·도의 기능으로 되어 있는데, 보유해야할 소방관서, 소방인력, 차량장비 ...
현재 우리나라의 소방인력 배치기준은 인구 및 관할면적에 의한 단순 배치기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소방업무는 시·도의 기능으로 되어 있는데, 보유해야할 소방관서, 소방인력, 차량장비 등의 배치기준은 관할 인구와 관할면적 등으로 단순하게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상업지역, 주택밀집지역, 농촌지역, 도시지역 등 지역별 요인 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방분야 업무량 및 적정인력 산정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분석모형을 도출하고자 관련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인력 산출을 위한 모형 및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우리나라 소방의 적정 인력 산정이라는 실제적 활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83개 소방서의 직무분석에 의한 적정소방인력을 종속변수로 할 경우, 구조구급 총출동건수, 소방대상물개소, 소화전수, 위험물시설수 등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attempts to develop the model for measuring proper human resources for fire management. To develop the model for fire management, this research has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management demand an...
The current research attempts to develop the model for measuring proper human resources for fire management. To develop the model for fire management, this research has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management demand and fire management manpower, an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methods for developing proper human resources needs in the public sector. With those results, it carries out an empirical study to identify a proper model for measuring proper human resources for fire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and model significance probability are satisfactory level.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1) the total number of dispatches for rescue and first-aid, 2) the number of fire-fighting targets, 3) the number of fire hydrants, and 4) the number of facilities with inflammables and explosive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explana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he proper human resources of 183 fire stations based on the job analysis.
정부 및 공공기관 거버넌스의 구성형태와 부문간 관계 연구
감사와 평가의 비교분석과 그 연계를 위한 규범적 및 제도적 방안 연구
국방인적자원의 충원모델 전환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발생기준 복식부기 정부회계 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