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십 년 동안 감사와 평가는 각자 실질적인 변화를 통하여 발전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변화의 이유와 결과를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감사와 평가가 절차와 조직구조면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85265
2010
Korean
감사 ; 감사와 평가의 비교 ; 감사와 평가의 연계 ; 성과감사 ; 평가
KCI등재
학술저널
27-56(30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수십 년 동안 감사와 평가는 각자 실질적인 변화를 통하여 발전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변화의 이유와 결과를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감사와 평가가 절차와 조직구조면에서 ...
지난 수십 년 동안 감사와 평가는 각자 실질적인 변화를 통하여 발전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변화의 이유와 결과를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감사와 평가가 절차와 조직구조면에서 어느 정도 접근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상이하게 남아있는가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감사와 평가의 관점에서 도출되는 이슈들을 이해하고 기술한다. 감사와 평가 모두는 체계적이고 신뢰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자들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감사와 평가는 아직도 목적, 기준, 주체 및 대상, 방법 및 도구, 결과도출 등에서 상당히 근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많은 부분에서 독자적으로 격리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면 감사와 평가 활동을 효과적으로 융합하거나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 이 두 기능을 정책결정자들의 정책적 욕구를 충족하는데 규범적이고 제도적으로 적절하게 연계시킨다면, 감사와 평가 모두는 정부의 서비스를 보다 책무성 있게 효과적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감사와 평가의 규범적 연계를 위한 거시적 접근법으로 성과감사로의 수렴적 접근법, 성과개선을 위한 종합적 접근법, 행정통제·예산결정·정책결정을 위한 협력적 접근법을 제안함과 동시에 조직·구조, 과정·운영, 문화 측면의 미시적인 실천적 제도 방안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diting and evaluation have divided in the realm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tics, while the two public mechanisms operate in the same public organizations and perform similar functions on behalf of their political, administrative clients. Furth...
Auditing and evaluation have divided in the realm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tics, while the two public mechanisms operate in the same public organizations and perform similar functions on behalf of their political, administrative clients. Furthermore, auditing and evaluation have moved closer together since leading governments adopted the doctrine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in the mid-1970s. Nevertheless, the past Korean governments have not tried to institutionalize systematically any kind of mixed systems where public audits and professional evaluations are cooperatively utilized to improve and enhance the public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ir bureaucratic organizations.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auditing and evaluation may lie less in the purposes, subjects/objects, methods/tools, and findings than in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 relationships within which the two activities are carried out. Accordingly, focusing on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 two, this paper attempts to derive a theoretical, conceptual framework for blending cooperatively the two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could be tailored to the Korean setting in both macro and micro levels. Hence, the paper suggests new approaches to effectively combine auditing and evaluation in a macro level, such as: (i) integrating auditing and evaluation satisfactorily in pure performance audit, (ii) improving public sector performance by mixing the strong points of the two, and (iii) assisting cooperatively politicians and bureaucrats in overseeing public implementation, allocating governmental budgets, and making public policies. Under these blended approaches, the Korean government is encouraged to institutionalize several action items in a micro level that could feasibly connect auditing with evaluation in the aspects of organization or structure, process or management, and cul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철, "현행 공공감사 체계에 관하 비판적 고찰: 지방자치 단체 감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7 (17): 143-166, 2007
2 심광호, "한국의 공공감사론(公共監査論) 정립을 위한 小考" 정부학연구소 14 (14): 103-137, 2008
3 이승철, "성과감사의 제도적 운영절차의 결과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13 : 173-213, 2008
4 김태윤, "성과감사의 운영방향과 원칙" 32 (32): 97-112, 1998
5 류춘호, "성과감사와 감사영역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5 : 34-85, 2000
6 임동혁, "성과감사에 대한 기본적 연구: 성과감사의 개념, 주제, 판단기준, 방법에 대하여" 8 : 70-92, 2003
7 김광영, "성과감사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방안 연구: 감사초점과 감사판단기준 설정 과정을 중심으로" 10 : 1-50, 2005
8 김두호, "감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 : 119-158, 2003
9 한정수, "감사의 판단기준(Audit Criteria)에 관한 연구: 감사결정문의 정당론을 중심으로" 7 : 30-68, 2002
10 구자홍, "감사원 정책감사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11 : 61-93, 2006
1 김용철, "현행 공공감사 체계에 관하 비판적 고찰: 지방자치 단체 감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7 (17): 143-166, 2007
2 심광호, "한국의 공공감사론(公共監査論) 정립을 위한 小考" 정부학연구소 14 (14): 103-137, 2008
3 이승철, "성과감사의 제도적 운영절차의 결과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13 : 173-213, 2008
4 김태윤, "성과감사의 운영방향과 원칙" 32 (32): 97-112, 1998
5 류춘호, "성과감사와 감사영역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5 : 34-85, 2000
6 임동혁, "성과감사에 대한 기본적 연구: 성과감사의 개념, 주제, 판단기준, 방법에 대하여" 8 : 70-92, 2003
7 김광영, "성과감사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방안 연구: 감사초점과 감사판단기준 설정 과정을 중심으로" 10 : 1-50, 2005
8 김두호, "감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 : 119-158, 2003
9 한정수, "감사의 판단기준(Audit Criteria)에 관한 연구: 감사결정문의 정당론을 중심으로" 7 : 30-68, 2002
10 구자홍, "감사원 정책감사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11 : 61-93, 2006
11 감사원, "감사50년사" 감사원 1998
12 Pawson, R., "Whither Evaluation Methodology" 8 (8): 20-34, 1995
13 Wholey, Joseph S., "Using Evaluation to Improve Government Performance" 7 (7): 5-13, 1986
14 Association of Governmental Accountants (AGA), "Task Force Report on Performance Auditing" 42 (42): 11-25, 1993
15 Argyris, Chris, "Reasoning, Learning, and Acti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Jossey-Bass 1982
16 Fitzpatrick, Jody L.,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Allyn and Bacon 2004
17 McDavid, James C., "Program Evalu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An Introduction to Practice" Sage Publications 2006
18 Brandl, John E., "Policy Evaluation and the Work of Legislatures" 5 : 37-43, 1980
19 Moukheibir, C., "Performance Auditing: Concept and Controversies" 1995
20 Leeuw, Frans L., "Performance Auditing, New Public Manage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Questions and Challenges. in: Performance Auditing and the Modernisation of Government" OECD Publishing 105-115, 1996
21 Barzelay, Michael, "Performance Auditing and the New Public Management: Changing Roles and Strategies of Central Audit Institutions. in: Performance Auditing and the Modernisation of Government" OECD Publishing 15-56, 1996
22 Leeuw, Frans L., "Performance Auditing and Policy Evaluation: Discussing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7 : 53-68, 1992
23 Pollitt, Christopher, "Performance Audit and Evaluation: Similar Tools, Different Relationships?" 71 : 29-50, 1996
24 Newcomer, Kathryn E., "Opportunities and Incentives for Improving Program Quality: Auditing and Evaluating" 54 (54): 147-154, 1994
25 Smith, P., "On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Publishing Performance Data in the Public Sector" 18 : 377-410, 1995
26 Rist, Ray C., "Management Accountability: The Signals Sent by Auditing and Evaluation" 9 (9): 355-369, 1989
27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upreme Audit Institutions (INTOSAI),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Performance Auditing"
28 Comptroller General of the U.S.(CGUS), "Government Auditing Standards"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1994
29 Guba, E., "Fo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1989
30 Chelimsky, Eleanor, "Expanding GAO's Capabilities in Program Evaluation" 8 (8): 51-, 1990
31 Weiss, Carol H., "Evaluation: Methods for Studying Programs and Policies" Prentice Hall 1998
32 Rossi, P. H., "Evaluation: A Systematic Approach. (3rd ed.)" Sage Publications 1985
33 Davidson, E. Jane, "Evaluation Methodology Basics: The Nuts and Bolts of Sou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2005
34 Stufflebeam, Daniel L., "Empowerment Evaluation, Objectivist Evaluation, and Evaluation Standards: Where the Future of Evaluation Should Not Go and Where It Needs To Go" 15 (15): 321-338, 1994
35 Davis, Dwight F., "Do You Want a Performance Audit or a Program Evaluation?" 50 : 35-41, 1990
36 Douglah, M., "Developing a Concept of Extension Program Evaluation" Cooperative Extension Publishing 1998
37 심광호, "Developing National Evaluation Capacity in Korea: Difficulties and Challenges" 정부학연구소 11 (11): 353-373, 2005
38 Chelimsky, Eleanor, "Comparing and Contrasting Auditing and Evaluation: Some Notes on Their Relationship" 9 (9): 483-503, 1985
39 Brooks, Roger, "Blending Two Cultures: State Legislative Auditing and Evaluation" 71 : 15-28, 1996
40 Chelimsky, Eleanor, "Auditing and Evaluation: Whither the Relationship?" 71 : 61-67, 1996
41 Leeuw, Frans L., "Auditing and Evaluation: Bridging a Gap, Worlds to Meet?" 71 : 51-60, 1996
42 Greathouse, F. L., "Audit Standards and Performance Auditing in State Government" 36 (36): 56-60, 1987
43 Day, P., "Accountabilities: Five Public Services" Tavistock 1987
정부 및 공공기관 거버넌스의 구성형태와 부문간 관계 연구
국방인적자원의 충원모델 전환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발생기준 복식부기 정부회계 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1.11 | 1.249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