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현대시문학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사 단원 분석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1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과목의 문학사 단원 중 현대시문학사 단원을 중심으로 문학사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제를 확인한 연구이다.
      문학사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에 관한 성취기준과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탐구’하는 두 개의 성취기준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교과서에 따라 갈래별 단원 구성과 시대별 단원 구성을 취하고 있다. 단원 구성 방식에 따라 구현 가능한 긍정적 측면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의 경우 1940년대와 1960년대 및 1980년대 작품들이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고 있는 시 작품들이 다수이며, 모더니즘적 경향의 작품이나 언어 예술적 가치를 중시하는 작품들은 비중이 적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개선이 필요하다.
      문학사 교육은 기존의 문학사 지식을 이해하는 교육과 함께,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 사이의 관련성을 만들어 가는 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한 변화를 통해 문학사 교육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인 행위주도성과 창의성, 그리고 심미성을 신장시키는 교육으로 자리매김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과목의 문학사 단원 중 현대시문학사 단원을 중심으로 문학사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제를 확인한 연구이다. 문학사 교육의 근간을 ...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과목의 문학사 단원 중 현대시문학사 단원을 중심으로 문학사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제를 확인한 연구이다.
      문학사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에 관한 성취기준과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탐구’하는 두 개의 성취기준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교과서에 따라 갈래별 단원 구성과 시대별 단원 구성을 취하고 있다. 단원 구성 방식에 따라 구현 가능한 긍정적 측면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의 경우 1940년대와 1960년대 및 1980년대 작품들이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고 있는 시 작품들이 다수이며, 모더니즘적 경향의 작품이나 언어 예술적 가치를 중시하는 작품들은 비중이 적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개선이 필요하다.
      문학사 교육은 기존의 문학사 지식을 이해하는 교육과 함께,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 사이의 관련성을 만들어 가는 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한 변화를 통해 문학사 교육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인 행위주도성과 창의성, 그리고 심미성을 신장시키는 교육으로 자리매김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dentified tasks of literary history units in high school ‘Literature’ subject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two achievement standards for designing units for literary history education: one for ‘genre development’ and the other for ‘the reality reflected in literary works’. Ten “Literature” textbooks organized units based on genre or period, six out of 10 “Literature” textbooks designed units based on genre, and four based on period. Textbooks designed with units based on genre or period did not fully utilize their advantages. The next textbooks need to be revised to further strengthen each advantage.
      Most of the poems contained in “Literature” textbooks are works of realism that reflect reality. There are few modernist works or poems pursuing artistic value. This imbalance needs to be improved.
      Literary history education needs a shift that learners actively create a connection between texts. Through such changes, literary history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as an education that enhances the student agency, creativity, and aesthetic competence needed for future society.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dentified tasks of literary history units in high school ‘Literature’ subject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two achievement standards for designing ...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dentified tasks of literary history units in high school ‘Literature’ subject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two achievement standards for designing units for literary history education: one for ‘genre development’ and the other for ‘the reality reflected in literary works’. Ten “Literature” textbooks organized units based on genre or period, six out of 10 “Literature” textbooks designed units based on genre, and four based on period. Textbooks designed with units based on genre or period did not fully utilize their advantages. The next textbooks need to be revised to further strengthen each advantage.
      Most of the poems contained in “Literature” textbooks are works of realism that reflect reality. There are few modernist works or poems pursuing artistic value. This imbalance needs to be improved.
      Literary history education needs a shift that learners actively create a connection between texts. Through such changes, literary history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as an education that enhances the student agency, creativity, and aesthetic competence needed for future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서론
      • 2. 현대시문학사 교육과 관련된 국가 교육과정 고찰
      • 3.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시문학사 교육 분석
      • 4. 결론
      • 국문 요약
      • 1. 서론
      • 2. 현대시문학사 교육과 관련된 국가 교육과정 고찰
      • 3.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시문학사 교육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식, "한국현대시론비판" 일지사 1975

      2 이명찬, "한국 현대시교육의 현황과 과제―고등학교 국어과 교재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61) : 251-280, 2020

      3 김정우, "학습자 중심의 문학사 교육 연구" 국어국문학회 (142) : 399-430, 2006

      4 김대행, "손가락과 달: 시조 형성을 통해 본 문학교육의 지표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3 : 1-19, 1995

      5 김인환, "새 한국문학사" 세창출판사 2021

      6 조하연, "문학사적 안목 형성을 위한 문학사교육의 내용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7) : 511-542, 2013

      7 김서윤, "문학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재검토" 한국문학교육학회 (42) : 149-175, 2013

      8 최원식,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9

      9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9

      10 조정래, "고등학교 문학" 해냄에듀 2019

      1 김윤식, "한국현대시론비판" 일지사 1975

      2 이명찬, "한국 현대시교육의 현황과 과제―고등학교 국어과 교재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61) : 251-280, 2020

      3 김정우, "학습자 중심의 문학사 교육 연구" 국어국문학회 (142) : 399-430, 2006

      4 김대행, "손가락과 달: 시조 형성을 통해 본 문학교육의 지표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3 : 1-19, 1995

      5 김인환, "새 한국문학사" 세창출판사 2021

      6 조하연, "문학사적 안목 형성을 위한 문학사교육의 내용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7) : 511-542, 2013

      7 김서윤, "문학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재검토" 한국문학교육학회 (42) : 149-175, 2013

      8 최원식,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9

      9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9

      10 조정래, "고등학교 문학" 해냄에듀 2019

      11 정호웅,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9

      12 정재찬,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2019

      13 이숭원, "고등학교 문학" 좋은책신사고 2019

      14 방민호, "고등학교 문학" 미래엔 2019

      15 류수열, "고등학교 문학" 금성교과서 2019

      16 김동환,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과서 2019

      17 김창원, "고등학교 문학" 동아출판 2019

      18 이민희,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기술(記述)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제언" 한국문학교육학회 (69) : 319-361, 2020

      19 "OEC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