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장지역과 대학 소재지에 따른 수도권과 지방 청년의 혼인 이행 격차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tials in Marriage Rates between Youths Living i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by Regions Where They Were Raised and Thier Universities Were Loca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63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나타나는 인구 변동 추이는 보편적인 혼인 패턴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청년들의 지방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었고, 인구가 과밀집된 수도권에서는 시장원리에 따라 물가와 주택가격이 점점 더 치솟았다. 높아지는 결혼 비용에 대한 부담은 청년들의 혼인 기피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 간 이질성에 주목하여 성장지-대학 소재지 경로별 집단의 혼인 이행 확률과 이행 기간, 결정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노동패널 1~25차 자료를 바탕으로 사건사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혼인 이행 기간의 경우, 29~30세까지는 모든 집단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이후 격차가 벌어져 지방→지방 집단의 혼인이행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혼인 이행에 대한 콕스 비례위험 모형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별 간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남성은 비경제활동자보다 괜찮은 일자리 종사자의 혼인 이행이 더 높았으나, 여성은 오히려 괜찮은 일자리 종사자의 혼인이 늦어져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경로별로는 지방→지방 집단의 혼인 이행이 수도권→수도권 집단 대비 더 빨랐고, 이는 남성 집단에서만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공간적 범위에 따른 지방과 수도권 거주 청년의 문제를 유형화하였고, 이들이겪고 있는 취업, 결혼 관련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나타나는 인구 변동 추이는 보편적인 혼인 패턴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청년들의 지방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었고, 인구가 과밀집된 수도권에서는 시장원리에 따...

      최근 나타나는 인구 변동 추이는 보편적인 혼인 패턴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청년들의 지방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었고, 인구가 과밀집된 수도권에서는 시장원리에 따라 물가와 주택가격이 점점 더 치솟았다. 높아지는 결혼 비용에 대한 부담은 청년들의 혼인 기피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 간 이질성에 주목하여 성장지-대학 소재지 경로별 집단의 혼인 이행 확률과 이행 기간, 결정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노동패널 1~25차 자료를 바탕으로 사건사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혼인 이행 기간의 경우, 29~30세까지는 모든 집단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이후 격차가 벌어져 지방→지방 집단의 혼인이행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혼인 이행에 대한 콕스 비례위험 모형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별 간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남성은 비경제활동자보다 괜찮은 일자리 종사자의 혼인 이행이 더 높았으나, 여성은 오히려 괜찮은 일자리 종사자의 혼인이 늦어져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경로별로는 지방→지방 집단의 혼인 이행이 수도권→수도권 집단 대비 더 빨랐고, 이는 남성 집단에서만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공간적 범위에 따른 지방과 수도권 거주 청년의 문제를 유형화하였고, 이들이겪고 있는 취업, 결혼 관련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ent trend of population fluctuations clearly indicates that signific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marriage patterns. Youths’ exodus to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accelerated, and in the densely populated capital area, living expenses and housing prices soared. The economic burden of marriage costs intensified the phenomenon of youths’ shunning from marriag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heterogeneity between regions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to examine the probability, duration of transition, and determinants of marriage transition of groups by path of growth and university lo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hich conducted a survival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1st to 25th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period, all groups from the age of 29 to 30 showed similar patterns, but the gap widened afterwards, showing the highest probability of marriage transition among the Non-Capital to Non-Capital groups.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marriage transition through the Cox model, gender differences were remarkable. Men had higher marriage rates for decent job workers than economically inactive people, but women showed contrasting results due to delayed marriage among those with decent job.
      Furthermore, the transition rate of marriage among the Non-Capital to Non-Capital groups was faster than that of the Capital to Capital group, which was significant only in the male group. Based on the these results, the problems of young people living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were categorized. In addition, measures were proposed to efficiently respond to the employment and marriage-related problems they are experiencing.
      번역하기

      The recent trend of population fluctuations clearly indicates that signific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marriage patterns. Youths’ exodus to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accelerated, and in the densely populated capital area, living expenses ...

      The recent trend of population fluctuations clearly indicates that signific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marriage patterns. Youths’ exodus to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accelerated, and in the densely populated capital area, living expenses and housing prices soared. The economic burden of marriage costs intensified the phenomenon of youths’ shunning from marriag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heterogeneity between regions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to examine the probability, duration of transition, and determinants of marriage transition of groups by path of growth and university lo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hich conducted a survival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1st to 25th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period, all groups from the age of 29 to 30 showed similar patterns, but the gap widened afterwards, showing the highest probability of marriage transition among the Non-Capital to Non-Capital groups.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marriage transition through the Cox model, gender differences were remarkable. Men had higher marriage rates for decent job workers than economically inactive people, but women showed contrasting results due to delayed marriage among those with decent job.
      Furthermore, the transition rate of marriage among the Non-Capital to Non-Capital groups was faster than that of the Capital to Capital group, which was significant only in the male group. Based on the these results, the problems of young people living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were categorized. In addition, measures were proposed to efficiently respond to the employment and marriage-related problems they are experienc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