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표 : 난치성 결핵의 임상적 특성, 균주 특성, 사회/경제적 요인을 규명하고, 치료순응도 및 치료 결과 등과의 연관성 파악이 가능한 코호트 사업 구축
배경 및 필요성 :
• 다양한 ...
사업목표 : 난치성 결핵의 임상적 특성, 균주 특성, 사회/경제적 요인을 규명하고, 치료순응도 및 치료 결과 등과의 연관성 파악이 가능한 코호트 사업 구축
배경 및 필요성 :
• 다양한 원인으로 치료가 어려운 난치성 결핵은 균을 배출하는 기간이 길어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감염원이 되므로 국가 결핵퇴치에 중요한 의미를 지님
• 난치성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임상정보, 병원체, 검체 수집 및 분석과 추적조사를 통하여 난치성 결핵환자의 특성과 난치성 결핵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즉 보건학적, 보건외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결핵관리체계 구축과 정책반영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
사업 내용 및 방법 :
• 코호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웹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 연구대상자 등록 및 정기적 추구관찰: 임상연구계획서를 수립하여 운영
• 연구자원 수집: 임상연구계획서에 따라 표준화된 방법으로 객담, 균주, 혈청 수집
• 자료입력 및 분석: 웹기반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자료 입력, 자료를 수시로 용이하게 확인 및 분석 가능함
• 코호트 시범운영을 통한 타당성 평가
결과 :
• 전향적 임상연구 계획서 수립 및 운영: ‘난치성 결핵 코호트 연구’계획서를 수립하고 각 시험실시기관의 임상연구윤리심사위원회의 승인을 얻은 후 치료개시 후 1개월 이내의 대상자를 등록하여 연구를 수행 중임. 총 145명의 후보군이 선별되었고, 이 중 86명이 실제 등록되었으며 3명이 연구를 종료하고(탈락포함) 현재 83명이 추적 관찰중임. 중도 탈락율은 2%임.
• 연구계획서에 따라 생물자원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하였고 현재까지 총 265개 검체의 객담, 144개의 균주, 262개의 혈액이 수집되고 보관됨
• 기초 특성 확인 결과, 남성이 약 81%로 다수였고, 연령은 50-59세 구간이 가장 많이 포함됨. 결핵치료력에 따른 분류에서는 초치료군과 재치료군이 각각 51%, 49% 등록되었고, 시험기관별로는 서북병원에서 재치료군이 보다 많이 등록됨. 전체 피험자 중 당뇨병이 22%, 흡연력이 78%에서 동반됨.
고찰 : 연구 초기 단계라 분석 결과를 단정 짓기는 어려우나, 난치성으로 진행되는 경우와 연관되는 다양한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여 정책적 접근의 방법을 모색하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