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비대면 체육수업 운영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operating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 factor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day care center used by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COVID-19 era. According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 factor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day care center used by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COVID-19 era. According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sports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who are working at the G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1 to February 2022, and a triangulation method such as content review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expert meetings was implemented to secure the trustworthiness of the research.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topics were selected as ‘problem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tents of online classes in day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plans to improve online classes’ through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difficulty in online class preparation process, difficulty in online class process, and poor exercise environment in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Second, the contents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t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were customized classes through program transformation and online cooperative classes with daycare center managers. Third, It was found that expansion of equipment and facilities for online classes, preparation of sports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and manpower support system, establishment of an online physical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were found to be necessary to improve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activate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mprovement of the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environment, capability development of sports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and cooperation with the manger in charge of daycare center, and preparation of an online physical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is presumed to b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성인 발달장애인들이 이용하는 주간보호시설에서의 비대면 체육수업의 개선 요인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장애인체육회에서 근무하고 있는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성인 발달장애인들이 이용하는 주간보호시설에서의 비대면 체육수업의 개선 요인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장애인체육회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스포츠지도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8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내용검토, 전문가회의 등 삼각검증법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비대면 체육 수업의 문제점’,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온라인 수업내용’, ‘온라인 수업 개선방안’으로 주제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비대면 체육 수업의 문제점은 ‘온라인 수업 준비과정의 어려움’, ‘온라인 수업 진행과정 어려움’,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열악한 운동환경’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온라인 체육수업 내용은 ‘프로그램 변형을 통한 맞춤형 수업’, ‘시설 담당자와 온라인 협력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체육수업 개선방안으로 ‘온라인 수업을 위한 장비 및 시설 확충’, ‘지도자의 역량 및 인력지원 체계 마련’, ‘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비대면 체육수업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온라인 체육수업 환경의 개선, 지도자 역량 및 주간보호시설 담당자와의 협력, 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체육수업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언 ; 허재성 ; 김정원,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태권도교육사업에서 나타난 문제들: 해외 사무소에 대한 국제협력요원의 진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 27 (27): 223-230, 2018

      2 이쌍철 ;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3 성문정, "포스트 코로나19시대 스포츠 정책변화전망 및 과제" 20-45, 2020

      4 김서현 ; 박은혜 ; 이영선, "팬데믹 상황에 따른 원격수업에 대한 지체중복장애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45-65, 2021

      5 박병도, "특수학교 체육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3) : 85-98, 2005

      6 한동기, "특수체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레인보우북스 2014

      7 이학준 ; 우정한,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2 (22): 55-69, 2021

      8 구교만 ; 이웅배, "특수교사의 좋은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과 방해요인"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3-22, 2016

      9 장경률, "코로나19와 생명공동체성의 회복" 10 : 14-17, 2020

      10 김경환 ; 임상훈 ; 한범석 ; 이용호, "코로나19에 따른 장애인체육회의 비대면 수업 현장반응 탐색과 정책 제안"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37-50, 2022

      1 박성언 ; 허재성 ; 김정원,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태권도교육사업에서 나타난 문제들: 해외 사무소에 대한 국제협력요원의 진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 27 (27): 223-230, 2018

      2 이쌍철 ;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3 성문정, "포스트 코로나19시대 스포츠 정책변화전망 및 과제" 20-45, 2020

      4 김서현 ; 박은혜 ; 이영선, "팬데믹 상황에 따른 원격수업에 대한 지체중복장애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45-65, 2021

      5 박병도, "특수학교 체육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3) : 85-98, 2005

      6 한동기, "특수체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레인보우북스 2014

      7 이학준 ; 우정한,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2 (22): 55-69, 2021

      8 구교만 ; 이웅배, "특수교사의 좋은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과 방해요인"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3-22, 2016

      9 장경률, "코로나19와 생명공동체성의 회복" 10 : 14-17, 2020

      10 김경환 ; 임상훈 ; 한범석 ; 이용호, "코로나19에 따른 장애인체육회의 비대면 수업 현장반응 탐색과 정책 제안"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37-50, 2022

      11 남미자, "코로나19로 촉발된 원격수업에 대한 소고" 비판사회학회 (128) : 106-133, 2020

      12 이의재 ; 윤현수,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대안적 고등학교 교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과학회 31 (31): 533-548, 2022

      13 조현민 ; 이현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특수학교 원격 체육수업 운영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특수체육학회 29 (29): 185-201, 2021

      14 이해란 ; 박창언 ; 이나영,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15 이송희 ; 이병화,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장애인 지원 현황과 정책 과제" 한국보건복지학회 22 (22): 7-34, 2020

      16 김대용 ; 최진혁,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17 박민규, "코로나-19로 다시 보는 한국의 방역체계" 175 : 11-15, 2020

      18 국가인권위원회, "코로나-19 상황에서 발달장애인 지원서비스 공백 심각" 국가인권위원회 2020

      19 정주혁 ; 김금자 ; 유정인, "코로나 19상황에서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정서,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 (15): 81-92, 2021

      20 김은혜 ; 한정은 ; 정은주, "코로나 19 상황에서 성인 발달장애인의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관계망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67-882, 2021

      21 변현수, "충청남도 장애인체육회 post 코로나시대 대응" 53-54, 2020

      22 윤태성 ; 류수연 ; 임경원,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179-209, 2020

      23 조용환,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8

      24 황상현 ; 노형규 ; 한범석, "중증장애인운동프로그램(MATP) 참가자들의 경험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85-103, 2020

      25 김호신, "주간보호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26 노형규 ; 오광진, "정서장애 및 정신지체 아동의 신체활동 지도를 위한 특수체육 지도자들의 준비요건"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43-55, 2005

      27 김의수, "장애자녀를 둔 부모와 특수체육 지도자를 위한 장애아동 체육교실 이론과 실제" 무지개사 2003

      28 오광진, "장애인체육지도자의 자질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39-56, 2012

      29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현황 실태조사" 한국 장애인개발원 2019

      30 김경숙 ; 오아라 ; 구교만, "장애인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 모형 개발 -당사자주의적 관점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65-95, 2009

      31 서은철 ; 심영균,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장애인스포츠인식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른 교육적 자질의 차이"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49-62, 2020

      32 김보름 ; 김지태,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자격증취득동기와 직업가치관 및 직업선택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5 (25): 67-80, 2017

      33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사업 안내 3권" 보건복지부 2022

      34 박재우, "장애대학생의 관점에서 살펴본 코로나 사태에 따른 비대면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 특수교육연구소 19 (19): 31-53, 2020

      35 홍양자 ; 이현주, "자폐학생 학부모의 특수체육교사 역할기대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8 (18): 1-10, 2004

      36 송윤숙, "원격화상협력 학습이 한국, 호주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 (5): 85-103, 2015

      37 정하용, "원격영상강의 실제와 가능성" 13 (13): 59-75, 1998

      38 함미애, "원격수업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탐색" 국립특수교육원 27 (27): 1-43, 2020

      39 김주영, "원격 교육지원이 청각장애대학생의 강의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35-458, 2011

      40 김정연 ; 이경화, "온라인 창의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13 (13): 1-31, 2015

      41 이재웅,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초등체육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42 "보건복지부"

      43 노승덕 ; 오지웅, "발달장애아동 체육활동 참여 대학생의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9 (29): 241-259, 2021

      44 강병무, "발달장애아동 대상 실시간 원격 체육 프로그램 지도자의 경험과 인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45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46 전근배, "국가의 거리: 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그 현황과 대책"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8) : 173-207, 2020

      47 "국가법령정보센터"

      48 "교육부"

      49 김성연 ; 임선영, "교양영어 컨텐츠 개발을 위한 사이버대학 학습자 요구 분석" 한국응용언어학회 20 (20): 155-178, 2004

      50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evaluation methods: integratingtheory and practi" SAGE 2015

      51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16

      52 Tyler, K.,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of school aged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6, 2014

      53 배민영 ; 김하영, "COVID-19에 따른 체육교사의 인식 연구 : 고등학교 체육수업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 31 (31): 455-464, 2022

      54 정서호 ; 김지태 ; 김욱, "COVID-19시대 비대면 교육 방식(UEM) 전환에 따른 수업운영의 어려움: 찾아가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 (85) : 409-419, 2021

      55 Courtenay. K., "COVID-19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impacts of a pandemic" 1-6, 2020

      56 권혜영 ; 옥민욱, "COVID-19 상황에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관련 경험 및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2 (22): 119-150, 2021

      57 박상훈 ; 한송이, "COVID-19 상황에서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 동기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11-934, 2020

      58 문화체육관광부, "2020년 장애인생활체육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