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conditions of the combination of ‘tte’ and the other noun in complex words. The component ‘tte’ can precede the other noun or the other noun can precede ‘tte’ in the complex words. The prepositioned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10103
2012
-
떼 ; 복합어 ; 합성어 ; 단어형성 전용 요소 ; 의사 파생 ; 어근 ; 들 ; 작용역 ; ‘tte’ ; complex word ; compound word ; element-only-for-wordformation ; pseudo-derivation ; root ; ‘deul’ ; scope
700
KCI등재
학술저널
319-345(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conditions of the combination of ‘tte’ and the other noun in complex words. The component ‘tte’ can precede the other noun or the other noun can precede ‘tte’ in the complex words. The prepositioned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conditions of the combination of ‘tte’ and the other noun in complex words. The component ‘tte’ can precede the other noun or the other noun can precede ‘tte’ in the complex words.
The prepositioned ‘tte’ has more lexical meaning than the postpositioned ‘tte’. Especially the prepositioned ‘tte’ means a number of people or things that are influenced by same affairs.
The scope of the prepositioned ‘tte’ reaches the only postpositioned noun, but the scope of the postpositioned ‘tte’ extents the whole noun phrase. The scope of the postpositioned ‘tte’ is contrary to the root of compound word.
In the specific conditions, element-only-for-wordformation and the preposition ‘tte’ are much alike in the function and relation. The postpositioned ‘tte’ and ‘deul’ are much alike in meaning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The prepositioned ‘tte’ and the postpositioned ‘tte’ als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seudo-derivation in some instance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혜, "현대국어 합성명사류의 의미 연구 : 은유 표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 양영희, "합성어의 하위 분류" 한국언어문학회 33 : 47-65, 1994
3 최형용, "합성어 형성과 어순" 국어국문학회 (143) : 235-272, 2006
4 김창섭, "합성어" 국립국어원 11 (11): 145-151, 2001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93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임홍빈, "통사적 파생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5 (25): 167-196, 1989
8 이양혜, "인지언어학적 접근 방법에 따른 합성어의 의미 변화 연구" 우리말학회 (17) : 123-149, 2005
9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1991
10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 김은혜, "현대국어 합성명사류의 의미 연구 : 은유 표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 양영희, "합성어의 하위 분류" 한국언어문학회 33 : 47-65, 1994
3 최형용, "합성어 형성과 어순" 국어국문학회 (143) : 235-272, 2006
4 김창섭, "합성어" 국립국어원 11 (11): 145-151, 2001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93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임홍빈, "통사적 파생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5 (25): 167-196, 1989
8 이양혜, "인지언어학적 접근 방법에 따른 합성어의 의미 변화 연구" 우리말학회 (17) : 123-149, 2005
9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1991
10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1 김일환, "어근적 단어의 형태·통사론" 한국어학회 11 : 213-226, 2000
12 한용운, "숨은말탐험-떼부자"
13 최형강, "복수와 반복 -‘들’의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27 : 315-341, 2008
14 채완, "병렬의 어순과 사고방식" 국어학회 14 : 463-477, 1985
15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16 이재인, "국어 형태론에서의 ‘어근’ 개념" 배달말학회 28 (28): 93-112, 2001
17 시정곤, "국어 형태론에서 단어형성 전용요소의 설정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어학회 38 : 83-107, 2008
18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체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9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2" 태학사 1998
20 최경봉, "국어 명사 관형구성의 의미결합 관계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26 : 33-58, 1995
21 최형강, "‘방’과 ‘집’의 의미와 단어형성" 한국어학회 50 : 231-260, 2011
22 최형강, "‘떼’ 합성어의 의미기능과 결합관계" 한국어의미학회 37 : 269-291, 2012
23 국립국어원, "2005년 신어" 국립국어원 2005
24 국립국어원, "2001년 신어" 국립국어원 2001
25 국립국어원, "2000년 신어" 국립국어원 2000
민족어의 격 어미 및 부치사, 첨사 범주와 그 유형론적 함의
연결 어미 ‘-고서, -아서/어서, -(으)면서’에 나타나는 ‘서’의 의미기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5 | 1.45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1 | 1.52 | 2.572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