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良洞마을의 風水地理學的 立地에 대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15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 조성된 조선시대 전통 마을에 대하여 형성 배경과 풍수이론 및 고문헌에 나타난 복거론을 전제로 접근하였다.
      전통 마을은 풍수이론인 형세론, 형국론, 좌향론을 기본적으로 적용하였는데 형세론, 형국론으로 터를 잡고, 그런 다음 좌향론으로 방향을 정하였다.
      형세론은 간룡법, 장풍법, 득수법, 정혈법으로 세분화하여 연구를 하였고, 형국론은 사람, 동물, 조류, 식물, 사물, 문자 등으로 산 모양과 혈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좌향법은 나경이론인 나침반으로 좌향과 물과의 관계와 좌향과 입수와의 방향성을 측정하였고, 안대 좌향 이론으로 대문과 마당, 대청과 안채의 향이 주변 단정한 모양의 산과 지형물인 외경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입향조가 대종가인 전통가옥을 최고의 혈처에 입지 선정하여 건축을 하고 나면, 그 곳을 기준으로 나무의 뿌리에서 줄기가 생기고 그 줄기에서 가지가 뻗어 나가듯이 파종가와 그 후손이 거주하는 가옥이 지어졌다.
      전통 마을은 풍수적 특성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배산임수, 전저후고, 전착후광의 지형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하고, 그 바탕 위에 혈로 들어오는 용이 기세가 있으며, 혈처에 기운이 잘 보전되어야 하고, 청정한 물을 얻어 명당의 기운을 정화시키는 작용이 있어야 한다.
      이처럼 전통 마을은 삶의 터전이기에 풍수적인 이론을 전제로 매김질 된 곳이다. 양동마을에 전통가옥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조사를 하다 보니 고건축학, 현대지리학, 환경 및 조경학적인 선행 연구는 많았으나 상대적으로 전통풍수지리학적인 연구가 부족하였음이 아쉬웠다.
      앞으로 전국 구석구석에 보석처럼 숨어있는 전통마을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밀도 있는 연구가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 조성된 조선시대 전통 마을에 대하여 형성 배경과 풍수이론 및 고문헌에 나타난 복거론을 전제로 접근하였다. 전통 마을은 풍수이론인 형세론, 형국론, 좌향론을 기...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 조성된 조선시대 전통 마을에 대하여 형성 배경과 풍수이론 및 고문헌에 나타난 복거론을 전제로 접근하였다.
      전통 마을은 풍수이론인 형세론, 형국론, 좌향론을 기본적으로 적용하였는데 형세론, 형국론으로 터를 잡고, 그런 다음 좌향론으로 방향을 정하였다.
      형세론은 간룡법, 장풍법, 득수법, 정혈법으로 세분화하여 연구를 하였고, 형국론은 사람, 동물, 조류, 식물, 사물, 문자 등으로 산 모양과 혈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좌향법은 나경이론인 나침반으로 좌향과 물과의 관계와 좌향과 입수와의 방향성을 측정하였고, 안대 좌향 이론으로 대문과 마당, 대청과 안채의 향이 주변 단정한 모양의 산과 지형물인 외경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입향조가 대종가인 전통가옥을 최고의 혈처에 입지 선정하여 건축을 하고 나면, 그 곳을 기준으로 나무의 뿌리에서 줄기가 생기고 그 줄기에서 가지가 뻗어 나가듯이 파종가와 그 후손이 거주하는 가옥이 지어졌다.
      전통 마을은 풍수적 특성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배산임수, 전저후고, 전착후광의 지형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하고, 그 바탕 위에 혈로 들어오는 용이 기세가 있으며, 혈처에 기운이 잘 보전되어야 하고, 청정한 물을 얻어 명당의 기운을 정화시키는 작용이 있어야 한다.
      이처럼 전통 마을은 삶의 터전이기에 풍수적인 이론을 전제로 매김질 된 곳이다. 양동마을에 전통가옥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조사를 하다 보니 고건축학, 현대지리학, 환경 및 조경학적인 선행 연구는 많았으나 상대적으로 전통풍수지리학적인 연구가 부족하였음이 아쉬웠다.
      앞으로 전국 구석구석에 보석처럼 숨어있는 전통마을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밀도 있는 연구가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d the traditional villages of the Joseon Dynasty created in Yangdong Village on the premise of forming background, the theory of Fengshui and so on.
      Regarding traditional villages, the theory of the power of the earth, the theory of the shape and theory of the left-facing theory that formed Fengshui theories were basically applied. The location of villages was settled by the theory of the power of the earth and the theory of the shape and the direction was decided by the theory of the direction-decision.
      Traditional villages have Fengshui characteristics, which basically have the topographical structure of ‘water in front and mountain in the rear (背山臨水)’, ‘front low and rear high (前低後高)’, and ‘front narrow and rear wide (前窄後寬)’, the force of a dragon entering the opening on that basis, the energy of the opening well preserved, and the clean water that has the function to purify the energy of a good site.
      As such, the traditional village is the home of life, so it is based on Fengshui theory. While analyzing and investigating data on traditional houses in Yangdong Village, there were many prior studies of ancient architecture, modern geography, environment and landscape, but it was regrettable that there was a lack of traditional Fengshui studies.
      Hopefull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compare, analyze and intensely research traditional villages hidden in every corner of the country like jewels.
      번역하기

      This study approached the traditional villages of the Joseon Dynasty created in Yangdong Village on the premise of forming background, the theory of Fengshui and so on. Regarding traditional villages, the theory of the power of the earth, the theory ...

      This study approached the traditional villages of the Joseon Dynasty created in Yangdong Village on the premise of forming background, the theory of Fengshui and so on.
      Regarding traditional villages, the theory of the power of the earth, the theory of the shape and theory of the left-facing theory that formed Fengshui theories were basically applied. The location of villages was settled by the theory of the power of the earth and the theory of the shape and the direction was decided by the theory of the direction-decision.
      Traditional villages have Fengshui characteristics, which basically have the topographical structure of ‘water in front and mountain in the rear (背山臨水)’, ‘front low and rear high (前低後高)’, and ‘front narrow and rear wide (前窄後寬)’, the force of a dragon entering the opening on that basis, the energy of the opening well preserved, and the clean water that has the function to purify the energy of a good site.
      As such, the traditional village is the home of life, so it is based on Fengshui theory. While analyzing and investigating data on traditional houses in Yangdong Village, there were many prior studies of ancient architecture, modern geography, environment and landscape, but it was regrettable that there was a lack of traditional Fengshui studies.
      Hopefull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compare, analyze and intensely research traditional villages hidden in every corner of the country like jew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 Ⅱ. 傳統마을의 立地形成과 風水理論
      • Ⅲ. 良洞마을의 風水的 立地
      • Ⅳ. 結論
      • Ⅰ. 序論
      • Ⅱ. 傳統마을의 立地形成과 風水理論
      • Ⅲ. 良洞마을의 風水的 立地
      • Ⅳ. 結論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