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안교류의 변화와 동북아 평화질서  :  안보적 딜레마와 대만의 선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26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대 말 쟝징궈(蔣經國) 정권에서 비공식적 교류로 시작된 중국과의 경제교류는 매년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후 천쉐이벤(陳水扁) 정권하에서 공식개방이 허용되었고 마잉쥬(馬英九) 정권하에서는 중국과 FTA(Free Trade Agreement)에 준하는 ECFA(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의 체결 논의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양안 경제교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교류의 확대로 가고 있으나 내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대만의 정권별로 양안 경제교류의 수위와 정책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양안교류의 한 축인 중국은 1979년 이래로 대만과 경제교류를 적극적으로 그리고 비교적 일관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 축인 대만은 정권에 따른 변화를 보이는데 특히 독립지향적인 정권이 집권했을 때 양안 경제교류를 제한하였다. 정권의 이러한 차이는 미국이라는 안전판에 의해 안보의 보장이 확보되었다고 인식하는 가운데 중국으로의 흡수통일을 우려하는 각 정권이 지니고 있는 민족관과 통일관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이 논문은 대만의 정권별 양안교류정책을 개방의 수위에 따라 구별하고 그 차이를 가져오는 각 정권의 민족관과 통일관에서 결정되는 정치적 경제적 안보인식이 어떻게 양안교류 정책을 결정하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번역하기

      1980년대 말 쟝징궈(蔣經國) 정권에서 비공식적 교류로 시작된 중국과의 경제교류는 매년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후 천쉐이벤(陳水扁) 정권하에서 공식개방이 허용되었고 마잉쥬(馬英九) 정권...

      1980년대 말 쟝징궈(蔣經國) 정권에서 비공식적 교류로 시작된 중국과의 경제교류는 매년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후 천쉐이벤(陳水扁) 정권하에서 공식개방이 허용되었고 마잉쥬(馬英九) 정권하에서는 중국과 FTA(Free Trade Agreement)에 준하는 ECFA(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의 체결 논의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양안 경제교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교류의 확대로 가고 있으나 내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대만의 정권별로 양안 경제교류의 수위와 정책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양안교류의 한 축인 중국은 1979년 이래로 대만과 경제교류를 적극적으로 그리고 비교적 일관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 축인 대만은 정권에 따른 변화를 보이는데 특히 독립지향적인 정권이 집권했을 때 양안 경제교류를 제한하였다. 정권의 이러한 차이는 미국이라는 안전판에 의해 안보의 보장이 확보되었다고 인식하는 가운데 중국으로의 흡수통일을 우려하는 각 정권이 지니고 있는 민족관과 통일관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이 논문은 대만의 정권별 양안교류정책을 개방의 수위에 따라 구별하고 그 차이를 가져오는 각 정권의 민족관과 통일관에서 결정되는 정치적 경제적 안보인식이 어떻게 양안교류 정책을 결정하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oss-strait economic exchanges have been on the rise since unofficial economic exchanges began during the presidency of Jiang Jing-guo. However within this broad trend of market-driven economic integration the speed and scope of economic integration and its "spill-over effects" on cross-strait political relations have varied considerably across the presidencies. Under Chen Shui-bian official economic exchanges were legally permitted. Then occurred what could be a breakthrough in cross-strait relations with the election of Ma Ying-jeou to the Taiwanese presidency. Ma launched the negotiation of an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with China. This article explains the variation of speed and scope in Taiwan's economic exchanges with China and their political impacts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arying political character of Taiwan's top political leadership and his ruling coalition's strategy of domestic political rule on one hand and the security dilemmas posed by the rise of China Sino-America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for regional leadership and the threats of Taiwan's isolation from East Asia's rapidly emerging regionalist game of FTA building on the other.
      번역하기

      Cross-strait economic exchanges have been on the rise since unofficial economic exchanges began during the presidency of Jiang Jing-guo. However within this broad trend of market-driven economic integration the speed and scope of economic integration ...

      Cross-strait economic exchanges have been on the rise since unofficial economic exchanges began during the presidency of Jiang Jing-guo. However within this broad trend of market-driven economic integration the speed and scope of economic integration and its "spill-over effects" on cross-strait political relations have varied considerably across the presidencies. Under Chen Shui-bian official economic exchanges were legally permitted. Then occurred what could be a breakthrough in cross-strait relations with the election of Ma Ying-jeou to the Taiwanese presidency. Ma launched the negotiation of an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with China. This article explains the variation of speed and scope in Taiwan's economic exchanges with China and their political impacts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arying political character of Taiwan's top political leadership and his ruling coalition's strategy of domestic political rule on one hand and the security dilemmas posed by the rise of China Sino-America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for regional leadership and the threats of Taiwan's isolation from East Asia's rapidly emerging regionalist game of FTA building on the 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와 분석의 틀
      • Ⅲ. 대만의 정권별 대중국 경제전략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와 분석의 틀
      • Ⅲ. 대만의 정권별 대중국 경제전략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