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 각성 . 2-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379881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청운, 2015-2016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90.095196 판사항(22)

      • ISBN

        9788992093453(v.2) 93810 : ₩15000
        9788992093873(v.3) 93810 : ₩20000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 각성. 2-3 / 김풍기...[등]저.

      • 형태사항

        2책(222 ; 253 p.) : 삽도 ; 24 cm.

      • 총서사항

        강원문화연구소 콘텐츠학총서 ; 002-003.

      • 일반주기명

        공저자(v.2): 하윤섭, 이근세, 안세현, 엄현섭, 이학주, 김정애.
        공저자(v.3): 박선애, 안득용, 안세현, 엄현섭, 이근세, 이상현, 이학주.
        서지적 각주 수록.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발간사
      • 서거정의 시에 나타난 원림 문화와 강원 지역 명승의 풍경 구성 방식
      • 1. 조선 전기 지식인들의 정원 문화
      • 2. 정원과 별서의 문화적 역할과 그 의미
      • 발간사
      • 서거정의 시에 나타난 원림 문화와 강원 지역 명승의 풍경 구성 방식
      • 1. 조선 전기 지식인들의 정원 문화
      • 2. 정원과 별서의 문화적 역할과 그 의미
      • (1) 서거정의 정원 풍경
      • (2) 서거정의 별서(別墅) 풍경
      • 3. 강원도 지역 명승의 문학적 형상화와 풍경 구성 방식
      • (1) 과거 경험의 풍경 구성과 원주 체험
      • (2) 경험하지 못한 지역의 풍경 구성
      • 4. 인문 자산에 의한 상상으로 구성되는 풍경들
      • ‘서울’에서 바라본 ‘강원’의 두 형상: <훈민가>와 <관동별곡>의 거리
      • 1. 문제의 소재
      • 2. 유교(儒敎)적 문명(文明)의 미답지: <훈민가>
      • 3. 억울(抑鬱)한 적객(謫客)의 유배지: <관동별곡>
      • 4. 결론
      • 천주교 박해와 이념의 문제
      • 1. 머리말
      • 2. 『흑산』의 배경
      • 3. 이념의 문제
      • 4. 미시정치학
      • 5. 맺음말
      • 강원지역 천주교의 유입과 유교사회의 대응
      • 1. 머리말
      • 2. 강원지역 천주교의 유입·정착과 그 특징
      • 3. 천주교에 대한 유교사회의 대응 양상
      • (1) 화서학파의 척사운동과 홍재구의 『정속신편』
      • (2) 조불조약 이후 향촌사회에서 유교와 천주교의 갈등
      • 4. 맺음말
      • 춘천 우두산 설화를 통해 본 춘천시의 정체성 연구: 풍수(風水)적 입장에서 본 활인산수(活人山水)의 땅
      • 1. 서론
      • 2. 우두산 설화의 양상
      • (1) 솟을 뫼 이야기
      • (2) 우두사 창건 이야기
      • (3) 여우고개 이야기
      • 3. 우두산 설화의 지향성
      • (1) 천신(天神)이 하강한 최고의 성지(聖地)
      • (2) 재생과 풍요를 가진 활인산수(活人山水)의 땅
      • 4. 결론
      • 설화 <구렁덩덩 신선비>를 통해 본 분단서사의 극복 가능성 탐색
      • 1.서론
      • 2. 분단서사의 문제
      • 3. 분단서사의 극복 가능성
      • 4. 결론
      • 한국전쟁과 지역문학의 전개: 전상국의 『투석』
      • 1. 머리말
      • 2. 한국전쟁의 트라우마와 치유의 문제
      • 3. 가해자 트라우마(The perpetrator trauma)의 양상
      • 4. 지역문학과 『투석』-지역원형과 애도작업
      • 5. 맺음말
      • 신화가 가지는 관광자원의 속성 연구: 강릉단오제 근원신화를 중심으로
      • 1. 서론
      • 2. 신화가 가지는 관광자원의 속성
      • (1) 신화가 가지는 이야기의 매력
      • (2) 신화가 가지는 장소성의 문제
      • (3) 신화의 축제적 속성과 파급력
      • 3.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