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70년대 한국 건축계의 공간-담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Discourses of Korean Architecture in the 1960s-70s - Based on 「Space」 and 「Architectur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3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cept of space is one of the many concepts of architecture that distinguishes architecture from other disciplines. Notwithstanding its current ubiquitousness, the concept of space was actually created by handful of art historians in 19C Europe, ...

      The concept of space is one of the many concepts of architecture that distinguishes architecture from other disciplines. Notwithstanding its current ubiquitousness, the concept of space was actually created by handful of art historians in 19C Europe, and since then has changed its meaning and scope as a rather strategic maneuver for architecture to establish its theoretical and professional autonomy among competing fields. However in Korea, 35 years of forced modernization by Japanese colonial rule, and subsequent Korean war, the emergence of spatial terms in korean architectural discourse is quite late in 1960-70s. So,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space emerged, what kind of spatial concepts were particularly developed, and how they are utilized in the post-war social reconstruction era, especially through 〈SPACE〉 and 〈ARCHITECTURE〉, the leading architectural medias since 196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서양건축사에서의 건축-공간론 고찰
      • 3. 한국의 60-70년대 건축 공간론의 전개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서양건축사에서의 건축-공간론 고찰
      • 3. 한국의 60-70년대 건축 공간론의 전개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수, "환경론 – 그 연구가들의 역할" 1969

      2 김수근, "환경 속의 예술" 1975

      3 Kaminer, T., "현대성의 위기와 건축의 파노라마" 시공문화사 2011

      4 안영배,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보진재 1978

      5 정인하,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 미건사 1996

      6 김봉렬, "한국건축개념사전" 동녘 2013

      7 박길룡, "한국 현대건축 평전" 공간서가 2015

      8 김원, "포토 에세이 소쇄원" 1979

      9 안병의, "주환경의 조건과 가능성 – 현대의 주거환경의 제문제점" 1970

      10 양호일, "종남산 송광사" 1979

      1 이화수, "환경론 – 그 연구가들의 역할" 1969

      2 김수근, "환경 속의 예술" 1975

      3 Kaminer, T., "현대성의 위기와 건축의 파노라마" 시공문화사 2011

      4 안영배,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보진재 1978

      5 정인하,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 미건사 1996

      6 김봉렬, "한국건축개념사전" 동녘 2013

      7 박길룡, "한국 현대건축 평전" 공간서가 2015

      8 김원, "포토 에세이 소쇄원" 1979

      9 안병의, "주환경의 조건과 가능성 – 현대의 주거환경의 제문제점" 1970

      10 양호일, "종남산 송광사" 1979

      11 Hildebrand, A., "조형미술의 형식" 민음사 1989

      12 주남철, "조선시대 주택건축의 공간적 특성" 대한건축학회 22 (22): 1978

      13 조영무, "제3공간의 개념" 1970

      14 편집부, "제2회 전국 주택설계 현상 당선작" 대한건축학회 5 (5): 1960

      15 서정연, "전통건축논의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의 담론적 이해 - 안영배의 「한국건축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가구학회 24 (24): 293-301, 2013

      16 주남철, "이조주택의 창과 문에 나타난 공간성" 한국미술사학회 6 (6): 1965

      17 주남철, "이조시대 주택의 공간성" 대한건축학회 34 : 1969

      18 배형민, "안영배 구술집" 마티 2013

      19 "시민회관 건축설계 당선작품 심사소감" 1973

      20 윤승중, "공공건물을 통해서 본 전통수용" 17-22, 1979

      21 Lefebvre, H.,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22 이해성, "공간의 기본적 서설" 1966

      23 송민구, "계량공간 – 이해성씨의 [공간의 기초적 서설]에 관하여" 대한건축학회 1966

      24 김수근, "건축환경의 규범과 건축가의 역할" 1 (1): 1974

      25 Yoshinobu A., "건축의 외부공간" 기문당 2013

      26 김태수, "건축을 보는 기본점 7가지" 대한건축학회 9 (9): 1965

      27 주남철, "건축에 있어서 전통성 계승과 표현방법론" 1975

      28 Van de Ven, Cornelis, "건축공간론" 기문당 1988

      29 김원석, "건축가가 지은 나의 집" 1978

      30 Agematsu Y., "건축 공간의 미학" 현대건축사 2000

      31 배형민, "감각의 단면: 승효상의 건축" 동녘 2007

      32 이해성, "[환경] [건축]과 심리학" 대한건축학회 22 (22): 1978

      33 Forty, A., "Words and buildings : A Vocabulary of Modern Architecture" Thames&Hudson 2004

      34 Schwarzer, M., "The emergence of architectural space: August Schmarsow's theory of "RaumGestaltung"" MIT Press 1991

      35 Mallgrave, H. F., "Empathy, Form, and Space: Problems in German aesthetics, 1873-1893" Getty Center for the History of Art and the Humanities 1994

      36 Hays, K. M, "Architecture's desire : reading the late avant-garde" MIT Press 2010

      37 김봉렬, "60년대 모더니즘의 현대적 의미" 1993

      38 이은진, "1960-70년대 한국 현대건축의 전통론과 그 구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