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양사상, 탈현대 세계관, 탈현대사회 = East Asian Thoughts, Post-modern View of World, Post-moder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3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 society meets the critical crisis. The fundamental cause of modern society crisis is the modern view of world. Modern society accomplished very much, but nowadays serious problems occur. Construction of post-modern view of world is the only solution to solve the modern society crisis and to jump to a new civilization.
      In constructing the new world view, East Asian thoughts involve many useful resources. Human being is regarded as a cosmos who involve the whole cosmos. Also human can realize himself and all beings as the whole cosmos. In terms of post-modern world view, everything is related and one involves the other in himself. One can exist only by the being of the other and they help each other.
      Post-modern world view can provide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and the way how we can reach to post-modern society. The way how to reach to post-modern society is mind training. By mind training, we can be a post-modern man and post-modern society is composed of post-modern man. Post-modern society is very peaceful and full of love. Post-modern society has no center but every part of society is center. Post-modern society is harmonious multi-cultural society.
      번역하기

      Current society meets the critical crisis. The fundamental cause of modern society crisis is the modern view of world. Modern society accomplished very much, but nowadays serious problems occur. Construction of post-modern view of world is the only so...

      Current society meets the critical crisis. The fundamental cause of modern society crisis is the modern view of world. Modern society accomplished very much, but nowadays serious problems occur. Construction of post-modern view of world is the only solution to solve the modern society crisis and to jump to a new civilization.
      In constructing the new world view, East Asian thoughts involve many useful resources. Human being is regarded as a cosmos who involve the whole cosmos. Also human can realize himself and all beings as the whole cosmos. In terms of post-modern world view, everything is related and one involves the other in himself. One can exist only by the being of the other and they help each other.
      Post-modern world view can provide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and the way how we can reach to post-modern society. The way how to reach to post-modern society is mind training. By mind training, we can be a post-modern man and post-modern society is composed of post-modern man. Post-modern society is very peaceful and full of love. Post-modern society has no center but every part of society is center. Post-modern society is harmonious multi-cultura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사회 위기의 중요한 근원의 하나는 현대 세계관이다. 현대사회는 현대 세계관의 토대 위에서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현 시점에 이르러 문제가 발생했다. 즉, 현대 세계관에 입각해서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할수록, 현대사회 위기가 증폭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현대사회 위기를 해소하고, 새로운 문명으로의 도약을 이룰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은 탈현대사회 건설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탈현대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이다.
      동양사상은 탈현대 세계관의 구성을 위해 풍부한 자원을 내장하고 있다. 동양사상에 바탕 해서 구성한 탈현대 세계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탈현대 인간관은 인간을 ‘영원한 시간과 무한한 공간을 자신 안에 품고 있는 우주적인 존재’라고 가정한다. 또한 인간은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자신과 세계를 자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탈현대 세계상에서 본 세계는 모든 존재들이 근원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하나인 세계이다. 순간 속에 영원이 담겨 있고, 먼지 하나에도 전 우주가 들어 있다. 탈현대 관계관은 너를 전제로 내가 성립하고, 너와 나는 서로를 이루어준다고 하는 관점에서 대대(對待)적으로 대립을 인식한다.
      탈현대 세계관은 탈현대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주고, 탈현대사회 건설 방안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탈현대 세계관에 바탕 한 탈현대사회 건설의 방안은 수행(修行)이다. ‘참 나’를 자각하기 위한 노력인 수행을 통해 존재변화를 이룰 수 있고, 존재변화를 이룬 사람을 탈현대인이라고 한다. 탈현대사회는 탈현대인으로 구성된 사회이기에, 수행은 탈현대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핵심적인 방안이 된다. 탈현대 세계관에 기초한 탈현대사회는 평화로운 사회이며, 사랑의 사회이다. 탈현대사회는 중심과 주변의 구조가 해체된 가운데 모든 것이 중심이 되는 탈중심적인 사회이며, 조화로운 다문화사회이다.
      번역하기

      현대사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사회 위기의 중요한 근원의 하나는 현대 세계관이다. 현대사회는 현대 세계관의 토대 위에서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현 시점에 이르러...

      현대사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사회 위기의 중요한 근원의 하나는 현대 세계관이다. 현대사회는 현대 세계관의 토대 위에서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현 시점에 이르러 문제가 발생했다. 즉, 현대 세계관에 입각해서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할수록, 현대사회 위기가 증폭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현대사회 위기를 해소하고, 새로운 문명으로의 도약을 이룰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은 탈현대사회 건설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탈현대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이다.
      동양사상은 탈현대 세계관의 구성을 위해 풍부한 자원을 내장하고 있다. 동양사상에 바탕 해서 구성한 탈현대 세계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탈현대 인간관은 인간을 ‘영원한 시간과 무한한 공간을 자신 안에 품고 있는 우주적인 존재’라고 가정한다. 또한 인간은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자신과 세계를 자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탈현대 세계상에서 본 세계는 모든 존재들이 근원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하나인 세계이다. 순간 속에 영원이 담겨 있고, 먼지 하나에도 전 우주가 들어 있다. 탈현대 관계관은 너를 전제로 내가 성립하고, 너와 나는 서로를 이루어준다고 하는 관점에서 대대(對待)적으로 대립을 인식한다.
      탈현대 세계관은 탈현대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주고, 탈현대사회 건설 방안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탈현대 세계관에 바탕 한 탈현대사회 건설의 방안은 수행(修行)이다. ‘참 나’를 자각하기 위한 노력인 수행을 통해 존재변화를 이룰 수 있고, 존재변화를 이룬 사람을 탈현대인이라고 한다. 탈현대사회는 탈현대인으로 구성된 사회이기에, 수행은 탈현대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핵심적인 방안이 된다. 탈현대 세계관에 기초한 탈현대사회는 평화로운 사회이며, 사랑의 사회이다. 탈현대사회는 중심과 주변의 구조가 해체된 가운데 모든 것이 중심이 되는 탈중심적인 사회이며, 조화로운 다문화사회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老子"

      3 Tolle, E.,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양문 2008

      4 정재걸, "주역과 탈현대 2" 문사철 2014

      5 홍승표, "유교 여가관의 탈현대적 함의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원 (34) : 251-270, 2007

      6 정재걸, "오래된 미래교육" 살림터 2010

      7 정재걸, "삶의 완성을 위한 죽음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0

      8 이현지, "동양사상과 탈현대의 발견" 한국학술정보 2009

      9 홍승표, "동양사상과 새로운 소외론" 동양사회사상학회 (23) : 221-248, 2011

      10 정재걸, "동양사상과 마음교육" 살림터 2014

      1 "論語"

      2 "老子"

      3 Tolle, E.,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양문 2008

      4 정재걸, "주역과 탈현대 2" 문사철 2014

      5 홍승표, "유교 여가관의 탈현대적 함의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원 (34) : 251-270, 2007

      6 정재걸, "오래된 미래교육" 살림터 2010

      7 정재걸, "삶의 완성을 위한 죽음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0

      8 이현지, "동양사상과 탈현대의 발견" 한국학술정보 2009

      9 홍승표, "동양사상과 새로운 소외론" 동양사회사상학회 (23) : 221-248, 2011

      10 정재걸, "동양사상과 마음교육" 살림터 2014

      11 홍승표, "동양 사상과 탈현대적 삶" 계명대학교출판부 2011

      12 홍승표, "동양 사상과 새로운 유토피아" 계명대학교출판부 2010

      13 홍승표, "노인혁명" 예문서원 2007

      14 홍승표, "깨달음의 사회학" 예문서원 2002

      15 "莊子"

      16 Von Franz, M. L, "人間과 無意識의 象徵" 집문당 1983

      17 Tolle, E, "Now" 조화로운 삶 2008

      18 통계청, "2009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사회사상 -> 사회사상과 문화
      외국어명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nrnal of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3 1.56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