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류어휘표(分類語彙表)』의 의미분류를 활용한 한, 일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 어휘고찰 = 『分類語彙表』の意味分類を活用した韓, 日小學校低學年の國語敎科書語彙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3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일 초등학교 ``-;학년 국어교과서 어휘 중, 李·宋(;0``)에서 분석한 ‘體の類’를 제외한 나머지 ‘用の類’와 ‘相の類’ 그리고 ‘その他’의 중항목 의미분야별 어휘 고찰결과는 다음�...

      한·일 초등학교 ``-;학년 국어교과서 어휘 중, 李·宋(;0``)에서 분석한 ‘體の類’를 제외한 나머지 ‘用の類’와 ‘相の類’ 그리고 ‘その他’의 중항목 의미분야별 어휘 고찰결과는 다음과 같다. <;.>(所有·收得)항목에서는 한·일 양국교과서 모두 ‘주고받는 표현’에 관련된 단어들이 고빈도어들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農工業·設備·處理)항목에서는 양국 교과서 모두 같은 의미의 ‘만들다(作る/)’ ‘つくる(作る/``)’의 ;단어가 동일하게 높게 사용되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한국교과서의 경우는 제조나 건축과 관련된 ‘만들다(作る)’와 ‘짓다(建てる)’ ;단어만으로도 0회나 사용되어 매우 높은 사용빈도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교과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時間·時刻)항목에 속한 단어들을 살펴보면 한국교과서의 경우는 단어, 일본교과서의 경우는 단어밖에 사용되지 않았지만, 전체어수에서 일본교과서의 경우는 한국교과서에 비해 사용양이 많아 유의차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呼び·名)항목에 속한 단어들을 살펴보면, 한·일 양국교과서 모두 ‘말하기 쓰기 읽기 표현’에 관련된 단어들의 사용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關係)항목에 속한 단어들을 살펴보면 한·일 양국교과서 모두 ‘함께’라는 단어가 고빈도어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다만 한국교과서의 경우는 개별어수도 많고 ‘함께(一緖に/;), 서로(お互い/;;), 같이(一緖に/), 한데(一緖に/``)’ 등과 같이 유사한 유의어가 많이 사용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在不在)항목에 속한 단어들을 살펴보면, 양국 교과서 모두 부재(不在)를 나타내는 ‘없다’라는 단어가 동일하게 높게 사용되는 점에서 유사하나 개별어수도 많고 전체어수에서는 한국교과서 쪽이 배 이상 많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變化·動き)항목에 속한 단어들을 살펴보면 의성어 의태어를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서 양국교과서의 공통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表現態度)항목에 속한 단어들을 살펴보면 한국교과서의 경우는 ``-;학년 교과서에 ‘아! 이가 아파요. 아, 재미있구나!’ “아, 해다, 밝은 나라야!” 등과 같은 형태의 감탄사 ‘아(あ)’가 많이 사용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반면에 일본교과서의 경우는 ‘「あら、そうね。五さいだから、さかなつりにいくわ。」「あら、そうね。わたしも入るわ。」등과 같은 여성어 감탄사 ‘あら’가 많이 사용되는 특징을 보였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分類語彙表』の意味分類を活用した韓·日小學校低學年の國語敎科書語彙考察韓·日兩國``-;年生の國語敎科書の自立語の中で、「體の類」を除いて「用の類」と「相の類」そして「その...

      『分類語彙表』の意味分類を活用した韓·日小學校低學年の國語敎科書語彙考察韓·日兩國``-;年生の國語敎科書の自立語の中で、「體の類」を除いて「用の類」と「相の類」そして「その他」の意味分野に屬している中項目の語を考察してみた結果は次のとおりである.  まず、<;.>(所有·收得)項目では韓·日兩國敎科書共に「やりもらい表現」に關する語が高頻度語として使われているという點でお互いに似ている傾向を見せている. <;.>(農工業·設備·處理)項目では兩國敎科書共に同樣の意味として韓國敎科書では「만들다(作る/)」日本敎科書では「つくる(作る/``)」の;語が同じく多く用いられている點で似ているが、韓國敎科書の場合は製造や建築關係の「만들다(作る)」と「짓다(建てる)」の;語だけでも0回以上使使われており、非常に高い使用頻度を占めている. <;.``>(時間·時刻)項目に屬している語を見てみると、韓國敎科書の場合は語、日本敎科書の場合は語しか使われず數量的には少ないけれども、日本敎科書の場合は延べ語數で韓國敎科書に比べて使用頻度が高いのが有意差の原因であった. <;.``>(呼び·名)項目に屬している單語を見てみると、兩國敎科書共に「話す、書く、續む表現」に關する單語の使用頻度が高いという點でお互いに似ている傾向を見せている.  續いて<.````>(關係)項目に屬している語を見てみると、兩國敎科書共に「一緖に」という語が高頻度語として使われているという點では似ている. ただし韓國敎科書の場合は異なり語數も多く「함께(一緖に/;)、서로(お互い/;;)、같이(一緖に/)、한데(一緖に/``)」などのように類義語がたくさん用いられているという特徵が伺える. <.``;>(在不在)項目に屬した單語を見てみると、兩國敎科書に不在を現わす「ない」という語が同じく多く使われていえ點では似ているが、韓國敎科書の方が異なり語數も多く、延べ語數でも日本敎科書に比べて約倍以上多く使われているので有意差が生じ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變化·動き)項目に屬している語を見てみると、オノマトペに該當する擬聲語や擬態語がたくさん使われているという點では兩國敎科書共に共通的特徵を見せている. 次に<.``>(表現態度)項目に屬している語を見てみると韓國敎科書の場合は、``-;年生敎科書に「아! 이가 아파요. 아, 재미있구나!、“아, 해다, 밝은 나라야!」などのような感動詞「아」という語が多く用いれている特徵を見せている、一方、日本敎科書の場合は「「あら、そうね. 五さいだから、さかなつりにいくわ. 」、「あら、そうね. わたしも入るわ. 」などのような女性語と呼ばれる感動詞「あら」が多く用いられている.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가치관 연구― 저․중․고학년의 변화에 주목하여 ―" 한국일본학회 95 (95): 31-45, 2013

      2 박정수, "한·일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46): 133-159, 2011

      3 송정식, "한·일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 어휘 고찰 -품사별 사용빈도 상위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학회 36 (36): 147-166, 2013

      4 송정식, "한·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의 어휘 고찰 -품사별 분석을 통하여-" 한국일본어학회 34 (34): 89-105, 2012

      5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1-2학년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 연구 -한·일 초등학생의 어휘 비교를 통하여-" 한국일본어학회 (39) : 139-155, 2014

      6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1-2학년 국어교과서를 통해 본 양국의 사회․문화적 가치관 연구 ― 교과서 정책 및 삽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90 (90): 65-77, 2012

      7 정광순,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3-43, 2010

      8 이윤정,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요소 분석과 방향 연구 - 미국 교과서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5 (85): 213-246, 2010

      9 윤재숙, "일본 국정교과서의 어휘교육에 관한 고찰 ─『분류어휘표』의 의미분류면에서─" 한국일어교육학회 16 (16): 57-71, 2009

      10 申玟澈, "開発·文化叢書37, 比較語彙研究 の試み7" 名古屋大学大学院 国際開発研究科目 2001

      1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가치관 연구― 저․중․고학년의 변화에 주목하여 ―" 한국일본학회 95 (95): 31-45, 2013

      2 박정수, "한·일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46): 133-159, 2011

      3 송정식, "한·일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 어휘 고찰 -품사별 사용빈도 상위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학회 36 (36): 147-166, 2013

      4 송정식, "한·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의 어휘 고찰 -품사별 분석을 통하여-" 한국일본어학회 34 (34): 89-105, 2012

      5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1-2학년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 연구 -한·일 초등학생의 어휘 비교를 통하여-" 한국일본어학회 (39) : 139-155, 2014

      6 이미숙, "한·일 초등학교 1-2학년 국어교과서를 통해 본 양국의 사회․문화적 가치관 연구 ― 교과서 정책 및 삽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90 (90): 65-77, 2012

      7 정광순,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3-43, 2010

      8 이윤정,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요소 분석과 방향 연구 - 미국 교과서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5 (85): 213-246, 2010

      9 윤재숙, "일본 국정교과서의 어휘교육에 관한 고찰 ─『분류어휘표』의 의미분류면에서─" 한국일어교육학회 16 (16): 57-71, 2009

      10 申玟澈, "開発·文化叢書37, 比較語彙研究 の試み7" 名古屋大学大学院 国際開発研究科目 2001

      11 国立国語研究所, "語彙の研究と教育(下)" 大蔵省印刷局 1985

      12 島村直己, "研究報告集 -4-" 国立国語研究所 1983

      13 西尾寅弥, "現代語彙の研究" 明治書院 1988

      14 田島毓堂, "比較語彙研究序説" 笠間書院 1999

      15 李庸伯, "比較語彙研究の試み12" 語彙研究会 1-124, 2004

      16 田島毓堂, "比較語彙研究の試み10" 名古屋大学大学院国際開発研究科 1-221, 2003

      17 国立国語研究所, "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 秀英出版 1984

      18 国立国語研究所, "教育基本語彙の基本的研究(教育基本語彙データベースの作成)" 国立国語研究所 2001

      19 日本教師会, "小学校国語教科書の問題点" 12 : 1980

      20 国立国語研究所, "分類語彙表" 国立国語研究所 1964

      21 中野洋, "『分類語彙表』の語数" 12 (12): 1981

      22 송정식, "「中学校教科書」語彙比較 ─意味分野別構造分析を通して─" 한국일어교육학회 (16) : 39-55, 2009

      23 이원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국정 도서 분석" 교육과학기술부 143-150,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0.84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