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육용 게임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미니게임 활용 모델에 대한 제안 = A Proposal of Mini-Game Application Model for Achieving an Effective Learning in Educational Ga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432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most of games permit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game free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gress the story-line of the primary stage. Especially in educational game surroundings, we have more difficulties in achieving original purpose of ed...

      Today, most of games permit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game free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gress the story-line of the primary stage. Especially in educational game surroundings, we have more difficulties in achieving original purpose of education.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applied model of mini-game which was inserted into main-game in order to control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game. On the basis of this model, we derived valuation elements by mini-game implementation types from developing the educational game in which involved mini-game.We looked around whether the educational game achieved the educational goal of first stage or not. Comparing with some excellent ones picked up by public authorities, we evaluated the educational game. As the result of evaluation, we could find that the application of mini-game had very high effectiveness in attainment of learning goal, studying of well-balanced, and induction of learning motivation. And we found that the application also had very affirmative effect to the practical objects of primary stage in overall sph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대부분의 게임들이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자유롭게 허용하므로 초기 기획되었던 대로 스토리라인을 따라 진행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게임 환경에서 특별히 교육용 게임은 ...

      오늘날 대부분의 게임들이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자유롭게 허용하므로 초기 기획되었던 대로 스토리라인을 따라 진행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게임 환경에서 특별히 교육용 게임은 초기에 의도하였던 학습 효과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와 게임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도구로 본 게임 속에 미니게임을 구현하는 미니게임의 활용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을 근거로 교육용 게임콘텐츠를 개발하여 미니게임의 구현 유형에 따른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된 게임이 초기 기획된 대로 학습효과 증진에 영향을 주는지의 여부를 공적인 기관에서 선정한 우수 교육용 게임들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미니게임의 활용은 학습목표 달성과 균형 있는 학습, 학습 동기 유발 등의 영역에서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처음 기획한대로 미니게임의 활용 목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디자인" 54 (54): 375-384, 2003.

      2 "인터넷 게임을 기반으로 한 교육모델 제시" 2 (2): 759-774, 2001.

      3 "인간의 인지 및 감성을 고려한 게임 디자인 전략" 10 (10): 165-187, 2003.

      4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2001.

      5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2003.

      6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백의출판사 1999

      7 "교육용 게임이 가져야할 필요요소 및 개선방안" 2 (2): 105-110, 2005.

      8 "교육용 게임시장 분석 및 개발전략" 도서출판 정일 2003.

      9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optimalexperience

      10 "The fictionalization of lessons learned" 12 (12): 12-14, 2005.

      1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디자인" 54 (54): 375-384, 2003.

      2 "인터넷 게임을 기반으로 한 교육모델 제시" 2 (2): 759-774, 2001.

      3 "인간의 인지 및 감성을 고려한 게임 디자인 전략" 10 (10): 165-187, 2003.

      4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2001.

      5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2003.

      6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백의출판사 1999

      7 "교육용 게임이 가져야할 필요요소 및 개선방안" 2 (2): 105-110, 2005.

      8 "교육용 게임시장 분석 및 개발전략" 도서출판 정일 2003.

      9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optimalexperience

      10 "The fictionalization of lessons learned" 12 (12): 12-14, 2005.

      11 "Interactive Storytelling in Games" 2001.

      12 "Implementing Stories in Massively Multiplayer Games" 2002.

      13 "Guest Editor's Introduction: Interactive Narrative" 26 (26): 20-21, 2006.

      14 "Game Design: theory and practice" Wordware Publishing 2001

      15 "Exploring the Scalability of Character-Based Storytelling" 2 (2): 872-879, 2004.

      16 "Balancing Games with Positive Feedbac" 2002.

      17 "Animating an interactive conversational character for an educational game system" 0 (0): 183-190,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