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옥희, "후기근대국어 이중모음 ‘ㅚ’와 ‘ㅟ’의 사회적 변이 연구" 부산대학교 2014
2 이상억, "현대문학에 나타난 서울 옛말씨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연구소 17 : 137-177, 2001
3 이현복, "현대 서울말의 모음음가"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 7 (7): 37-52, 1971
4 신동준, "인구 추세의 자연동태와 지역 이동량에 관한 사회조사" 과학기술처 27-, 1968
5 김봉국, "이중모음" 태학사 33-74, 2010
6 김봉국, "이병근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155-192, 2006
7 김석득, "음운 분석론: 기술 언어학에서 본 음운 설립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126 : 490-511, 1960
8 엄익상, "음변화의 원리: 규칙성가설과 어휘확산" 한국중어중문학회 20 : 1-33, 1997
9 박충연, "음변화 요인에 따른 후설저모음융합의 시동과 이행" 국제언어인문학회 14 (14): 201-235, 2012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55
1 이옥희, "후기근대국어 이중모음 ‘ㅚ’와 ‘ㅟ’의 사회적 변이 연구" 부산대학교 2014
2 이상억, "현대문학에 나타난 서울 옛말씨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연구소 17 : 137-177, 2001
3 이현복, "현대 서울말의 모음음가"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 7 (7): 37-52, 1971
4 신동준, "인구 추세의 자연동태와 지역 이동량에 관한 사회조사" 과학기술처 27-, 1968
5 김봉국, "이중모음" 태학사 33-74, 2010
6 김봉국, "이병근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155-192, 2006
7 김석득, "음운 분석론: 기술 언어학에서 본 음운 설립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126 : 490-511, 1960
8 엄익상, "음변화의 원리: 규칙성가설과 어휘확산" 한국중어중문학회 20 : 1-33, 1997
9 박충연, "음변화 요인에 따른 후설저모음융합의 시동과 이행" 국제언어인문학회 14 (14): 201-235, 2012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55
11 Anttila, R., "역사비교언어학개론" 민음사 1995
12 이옥희, "언어 변인으로서의 화자에 대한 소고" 언어정보연구소 34 : 141-164, 2018
13 조석곤, "압축 성장 전제조건의 형성: 1950년대, 한국 자본주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나눔의 집 2001
14 이극로, "실험도해 조선어음성학" 아문각 1947
15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2005
16 김민수, "신국어학" 일조각 1983
17 서울특별시, "서울인구사" 서울특별시 2005
18 이현복, "서울말의 모음체계"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 7 (7): 19-24, 1971
19 이현복, "서울말과 표준말의 음성학적 비교 연구" 한국언어학회 2 : 167-184, 1977
20 정승교, "서울 20세기 생활 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5-, 2001
21 김덕호, "방언 분포의 변화에 대한 사회방언학적 연구" 한국방언학회 (27) : 181-209, 2018
2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문교부학교문법통일에 따른 고등국문법" 향문사 14-15, 1965
23 김윤경, "나라말본" 동명사 1948
24 이숭녕, "국어학개설 上" 진문사 1954
25 이희승, "국어학개설" 민중서관 1955
26 허웅, "국어음운론" 정음사 1958
27 이응백, "국어모음의 음가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4 : 161-176, 1968
28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 硏究" 岩波書店 1944
29 허웅, "‘애, 에, 외, 위’의 음가" 국어국문학회 1 : 5-8, 1952
30 Labov, W., "Principles of Linguistic Change Vol. 1: Internal Factors" Blackwell 1994
31 Hinskens, F., "Linguistische Arbeiten" Max Niemeyer Verlag GmbH & Co KG 1996
32 Eckardt, A., "Koreanische Konversations: Grammatik mit Lesestücken und Gesprächen" J. Groos 1923
33 Milroy, L., "Gender, social class and supra-local norms: Dialect leveling as language change" 39 : 38-49, 1998
34 Hinskens, F., "Dialect levelling: A two-dimensional process" 32 (32): 35-52, 1998
35 Wang, W., "Competing changes as a cause of residue" 45 : 9-25, 1969
36 오새내, "20세기 수도권 지역어 연구에서 신방언 개념 도입의 필요성: 방언 평준화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6 : 165-193, 2007
37 이현복, "/외/모음의 소리값" 대한음성학회 7 (7): 102-103,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