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오염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에게 피해를 주고, 정화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밀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94231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19(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토양오염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에게 피해를 주고, 정화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밀한...
토양오염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에게 피해를 주고, 정화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밀한 토양오염분석 활용을 위한 심도별 3차원 토양오염지도 구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인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기존 토양오염조사 지점의 최근린분석을 실시하였고, 0.72로 군집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군집지역 이외에는 오염 값의 정확도가 보다 낮다. 이에 조사지점을 1km × 1km 격자의 중심을 조사할 것을 제시하였고 일정한 조사지점으로 균일한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표면 및 지하공간에서 토양오염 기준은 5단계로 나눴으며 지표면의 경우 토양 단위 무게 당 오염물질의 양을 IDW 보간법을 이용하여 지도를 구축을 하였다. 지하공간에서의 토양오염분석은 지표면의 오염, 지형을 통한 오염물질의 흐름과 국토지반정보시스템에서 504개의 시추정보로 투수계수, 지하수위를 영향인자로 선정하였으며, 영향인자의 특성을 종합점수로 나눠 0~20점으로 산정하였다. 토층에 특성을 고려한 지표면-지하공간의 심도별 3차원 토양오염지도 구축이 가능하였고, 이후 토양오염의 지반 침투 시 전체적인 침투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심도별 영향분석과 지하수 오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the build-up of three-dimensional soil pollution map for precise analysis. To do this, survey on the existing pollutant region on Dongnae-gu, Busan that is the study subject, showed that it tended to produce 0.72 clusters. So, thi...
This study presented the build-up of three-dimensional soil pollution map for precise analysis. To do this, survey on the existing pollutant region on Dongnae-gu, Busan that is the study subject, showed that it tended to produce 0.72 clusters. So, this study suggested to investigate center of 1km × 1km grid and, a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ollution map that input pollution figure values based on the actually investigation point showed precise results. And, it divided the standard of pollution into 5 levels in surface and underground space and the map was built up using IDW interpolation against the amount of polluted substance. The pollution of ground surface, flow of polluted substanc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ground water level that are 504 geotechnical informations were selected as the influential parameters in pollution analysis of underground space, and it calculated that to 0~20 points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It enables the build-up of pollution map of ground surface-underground with depth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ayers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general infiltration. And, it was considered that it enables more accurate forecast about influential analysis per depth and pollution of underground wat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규, "휴대용 XRF와 GIS를 이용한 폐광산 지역의 토양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7 (17): 195-206, 2014
2 정승우, "토양·지하수오염원 관리우선순위 개략평가기법 개발"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6 (16): 106-112, 2011
3 Jun, Y. J,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air and soil pollution in Daejeon area using G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11
4 Hyun, G. T, "Studies on the contamination properties of soil and groudwater in a densely populated livestock area in Jeju island" Jeju National University 2011
5 Prado, R. B, "Modeling pollution potential input from the drainage basin into Barra Bonita reservoir, São Paulo – Brazil" 75 (75): 314-323, 2015
6 Srivastava, P. K, "Mapping of arsenic pollution with reference to paddy cultivation in the middle Indo-Gangetic Plains" 187 (187): 187-198, 2015
7 Guaqliardi, I, "Assessment of lead pollution in topsoils of a southern Italy area: Analysis of urban and peri-urban environment" 33 : 179-187, 2015
8 Park, S. S, "Analysis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oils of the Daejeon area using G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10
9 Bozhi, R, "Analysis of the metals in soil-water interface in a manganese mine" 2015 : 1-9, 2015
10 Jeong, W. G,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survey result using GIS for Gangwon-Do" 25 : 179-192, 2014
1 이현규, "휴대용 XRF와 GIS를 이용한 폐광산 지역의 토양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7 (17): 195-206, 2014
2 정승우, "토양·지하수오염원 관리우선순위 개략평가기법 개발"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6 (16): 106-112, 2011
3 Jun, Y. J,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air and soil pollution in Daejeon area using G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11
4 Hyun, G. T, "Studies on the contamination properties of soil and groudwater in a densely populated livestock area in Jeju island" Jeju National University 2011
5 Prado, R. B, "Modeling pollution potential input from the drainage basin into Barra Bonita reservoir, São Paulo – Brazil" 75 (75): 314-323, 2015
6 Srivastava, P. K, "Mapping of arsenic pollution with reference to paddy cultivation in the middle Indo-Gangetic Plains" 187 (187): 187-198, 2015
7 Guaqliardi, I, "Assessment of lead pollution in topsoils of a southern Italy area: Analysis of urban and peri-urban environment" 33 : 179-187, 2015
8 Park, S. S, "Analysis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oils of the Daejeon area using G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10
9 Bozhi, R, "Analysis of the metals in soil-water interface in a manganese mine" 2015 : 1-9, 2015
10 Jeong, W. G,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survey result using GIS for Gangwon-Do" 25 : 179-192, 2014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사회 취약지역의 분석에 관한 연구
월별 드론 영상을 이용한 밴드 조합에 따른 수목 개체 및 수관폭 추출 실험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 변인의 시공간적 이질성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2019-01-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3-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5-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3 | 0.83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1 | 0.94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