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78년 두모진 수세를 둘러싼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1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明治十一年代理公使渡韓始末』과 『明治十二年代理公使朝鮮事務始未』을 이용하여 1878~1879년 사이에 두모진 수세에 대한 처리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이 벌인 교섭의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첫째, 1878년 조선정부가 부산의 두모진에서 수세를 실시한 것은 의주부 상인들의 수세에 대한 형평성의 문제제기와 재정확보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조선정부의 수세는 개항 이전 동래부나 의주부를 통해서 들어오는 각종 화물에 부과하던 세금과 다를 바가 없었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수세관행과 인식이 개항 이후에도 강하게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둘째, 두모진 수세 문제의 후속교섭으로 1879년에 조선과 일본이 벌인 교섭의 내용과 전개과정을 사안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일본 측은 조선에 진출한 자국 상인들의 요구안을 반영하면서 협상 안건을 다각화하여 조선 내부로 침투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했음을 검토하였다. 반면에 조선정부는 1년 전의 교섭 경험에 비추어 더 이상 기존의 관행만으로 대응할 수 없음을 자각하고,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기 시작했다. 세칙의 협정, 범죄인의 인도 요구 등은 그러한 점을 단적으로 잘 보여준다. 게다가 조선 측의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리훙장의 권고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 전부터 진행해 온 일본과의 교섭을 통해서 도출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검토 작업을 통해서 개항 이후 조선과 일본 측이 각각 가지고 있던 인식과 대응논리의 변화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요컨대 근대적 조약체제 안으로 편입되기 시작한 조선 측의 상황 인식과 내적인 변화 양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두모진 수세에 대한 조일 양국의 교섭이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明治十一年代理公使渡韓始末』과 『明治十二年代理公使朝鮮事務始未』을 이용하여 1878~1879년 사이에 두모진 수세에 대한 처리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이 벌인 교섭의 내용을 ...

      본 논문은 『明治十一年代理公使渡韓始末』과 『明治十二年代理公使朝鮮事務始未』을 이용하여 1878~1879년 사이에 두모진 수세에 대한 처리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이 벌인 교섭의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첫째, 1878년 조선정부가 부산의 두모진에서 수세를 실시한 것은 의주부 상인들의 수세에 대한 형평성의 문제제기와 재정확보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조선정부의 수세는 개항 이전 동래부나 의주부를 통해서 들어오는 각종 화물에 부과하던 세금과 다를 바가 없었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수세관행과 인식이 개항 이후에도 강하게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둘째, 두모진 수세 문제의 후속교섭으로 1879년에 조선과 일본이 벌인 교섭의 내용과 전개과정을 사안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일본 측은 조선에 진출한 자국 상인들의 요구안을 반영하면서 협상 안건을 다각화하여 조선 내부로 침투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했음을 검토하였다. 반면에 조선정부는 1년 전의 교섭 경험에 비추어 더 이상 기존의 관행만으로 대응할 수 없음을 자각하고,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기 시작했다. 세칙의 협정, 범죄인의 인도 요구 등은 그러한 점을 단적으로 잘 보여준다. 게다가 조선 측의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리훙장의 권고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 전부터 진행해 온 일본과의 교섭을 통해서 도출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검토 작업을 통해서 개항 이후 조선과 일본 측이 각각 가지고 있던 인식과 대응논리의 변화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요컨대 근대적 조약체제 안으로 편입되기 시작한 조선 측의 상황 인식과 내적인 변화 양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두모진 수세에 대한 조일 양국의 교섭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개항 전후 조선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
      • 3. 두모진 수세의 실시와 조일 간 충돌의 전개과정
      • 4. 1879년 하나부사의 도한과 조일 간 사안별 교섭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개항 전후 조선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
      • 3. 두모진 수세의 실시와 조일 간 충돌의 전개과정
      • 4. 1879년 하나부사의 도한과 조일 간 사안별 교섭
      • 5. 맺음말
      • 참고문헌
      • 日文抄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崔柳吉, "李朝 開港直後의 韓日貿易의 動向"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5-23, 1972

      2 "龍湖閒錄"

      3 김경태, "한국근대경제사연구" 창작과비평사 1994

      4 최덕수,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열린책들 2010

      5 양흥숙, "조선후기 東萊 지역과 지역민 동향-倭館 교류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9

      6 宮本大丞朝鮮理事始末,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 소장"

      7 公文類纂,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8 公文錄,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9 이훈, "외교문서로 본 조선과 일본의 의사소통" 경인문화사 2011

      10 아이 사키코, "부산항 일본인 거류지의 설치와 형성-개항 초기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3 : 2010

      1 崔柳吉, "李朝 開港直後의 韓日貿易의 動向"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5-23, 1972

      2 "龍湖閒錄"

      3 김경태, "한국근대경제사연구" 창작과비평사 1994

      4 최덕수,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열린책들 2010

      5 양흥숙, "조선후기 東萊 지역과 지역민 동향-倭館 교류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9

      6 宮本大丞朝鮮理事始末,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 소장"

      7 公文類纂,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8 公文錄,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9 이훈, "외교문서로 본 조선과 일본의 의사소통" 경인문화사 2011

      10 아이 사키코, "부산항 일본인 거류지의 설치와 형성-개항 초기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3 : 2010

      11 연갑수,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정책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2 明治十一年代理公使渡韓始末,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13 明治十二年代理公使朝鮮事務始末,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14 연갑수, "개항기 권력집단의 정세인식과 정책" 역사비평사 3 : 1993

      15 李炳天, "開港과 不平等條約體制의 確立" 經濟史學會 8 : 1984

      16 酒井裕美, "開港期朝鮮の関税‘自主’をめぐる一考察" 財団法人 東洋文庫 91 (91): 2010

      17 崔泰鎬, "開港前期의 韓國關稅制度-1880年代를 中心으로-" 1976

      18 田保橋潔, "近代日鮮關係の硏究" 朝鮮總督府 中樞院 1940

      19 장순순, "草梁倭館의 폐쇄와 일본 租界化 과정" 한국일본사상사학회 7 : 2004

      20 姜德相, "李氏朝鮮開港直後に於ける朝日貿易の展開" 歷史學硏究會 265 : 1962

      21 渡邊勝美, "朝鮮開國外交史" 東光堂書店 3 : 1937

      22 奧平武彦, "朝鮮開國交涉始末" 刀江書院 1969

      23 夫貞愛, "朝鮮海關의 創設經緯"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 : 1973

      24 鄭成一, "朝鮮後期 對日貿易의 展開科程과 그 性格에 관한 硏究" 전남대학교 1991

      25 梶村秀樹, "朝鮮における資本主義の形成と展開" 龍溪書舍 1977

      26 彭澤周, "明治初期日韓淸關係の硏究" 塙書房 1969

      27 石井孝, "明治初期の國際關係" 吉川弘文館 1977

      28 "日省錄"

      29 "日本外交文書"

      30 "日本人問答雜錄"

      31 "承政院日記"

      32 "倭使日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