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청소년기의 역설(paradox of youth)’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발달경로와 성장유형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역설의 기본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41962
2006
Korean
후기 청소년 ; 역설 ; 발달경로 ; 이행 ; 유예기 ; post-adolescence ; paradox ; development ; transition ; moratorium
KCI등재
학술저널
261-285(25쪽)
5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소년기의 역설(paradox of youth)’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발달경로와 성장유형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역설의 기본적인 ...
이 연구는 ‘청소년기의 역설(paradox of youth)’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발달경로와 성장유형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역설의 기본적인 두 가지 축은 자율성과 의존성이다. 청소년기는 성인기로 이행하는 과정의 측면도 가지고 있고, 또한 나름의 요구와 필요를 가진 개체로서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청소년기의 역설을 반영하는 이 연구의 조사방법과 절차는 청소년들에 대한 성인의 시각을 반영하는 방향이 아니라, 행위자로서의 청소년들이 느끼는 객관적인 구조의 제한과 제약 속에서도 나름의 삶을 꾸려가는 모습, 즉 절충자들의 활동 양상을 추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한 자료를 청소년의 발달경로와 유형론으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오늘날 청소년은 나름의 요구와 욕구를 가진 개체이며, 사회구조적인 역설 속에서 나름의 절충방안과 해결책을 모색하는 행위자다. 이 연구가 제시한 청소년의 다양한 발달경로 모델과 유형론은 다양성을 가진 행위자로서의 청소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정교하고 세분화된 청소년 이해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한국의 청소년 이해는 심각할 정도로 성인 중심적이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performs empirical research into the types of development between transition and moratorium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in terms of the paradox of youth. The two basic axes of the paradox in a post-adolescent period are autonomy and depe...
This work performs empirical research into the types of development between transition and moratorium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in terms of the paradox of youth. The two basic axes of the paradox in a post-adolescent period are autonomy and dependency. In a post-adolescent period, there is a tendency toward transition to an adult period. In addition, a post-adolescent period implies being an individual who has a demand and a need for him/herself.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of this work are designed for reflecting the paradox of a post-adolescent period. It is not directed to illuminate the adult perspective on an adolescent but to see how he/ she, as an agent, feels about the limits of the objective structure and how he/ she responds to it. Also, this work summarizes the post-adolescent types of development between transition and moratorium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data. The point of this work is as follows. A post-adolescent today is an individual who has his/ her own demand and need, and an agent who tries to find negotiations and solutions in the social structural paradox. Through the post-adolescent types of development between transition and moratorium, this work enables us to see a post-adolescent as an agent who has diverse and differentiated qualities. Considering specificcultural situation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 post-adolescent with delicacy and in detail. Admittedly, an understanding of post-adolescences in Korea is too adult-centric.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상진, "한국문화에서 청소년이란 무엇인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11-28, 2004
2 "학교위기에 대한 세대이론적 접근. 교육학적 모라토리움의 세대이론적인 재구성" 14 (14): 195-218, 2004
3 한준상, "청소년학연구" 연세대출판부 1999
4 한상철, "청소년심리학" 양서원 1997
5 조한혜정, "청소년 문제에서 청소년 존재에 대한 질문으로 : 왜 지금 청소년?" 82-109, 2002
6 김현철, "일본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과정의 변화. 시스템으로의 통합에서 시스템으로부터의 탈주" 10 (10): 127-154, 2003
7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 세대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38 (38): 31-52, 2004
8 퐁스(A, Pongs), "당신은 어떤 세계에 살고 있는가?" 한울 2003
9 전상진, "교육적 세대’의 개념적 적용: 최근 세대현상의 이해를 위한 시도" 30 (30): 71-90, 2003
10 Kelle, Udo, "Vom Einzelfall zum Typus : Fallvergleich und Fallkontrastierung in der qualitativen Sozialforschung" Leske und Budrich 1999
1 최상진, "한국문화에서 청소년이란 무엇인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11-28, 2004
2 "학교위기에 대한 세대이론적 접근. 교육학적 모라토리움의 세대이론적인 재구성" 14 (14): 195-218, 2004
3 한준상, "청소년학연구" 연세대출판부 1999
4 한상철, "청소년심리학" 양서원 1997
5 조한혜정, "청소년 문제에서 청소년 존재에 대한 질문으로 : 왜 지금 청소년?" 82-109, 2002
6 김현철, "일본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과정의 변화. 시스템으로의 통합에서 시스템으로부터의 탈주" 10 (10): 127-154, 2003
7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 세대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38 (38): 31-52, 2004
8 퐁스(A, Pongs), "당신은 어떤 세계에 살고 있는가?" 한울 2003
9 전상진, "교육적 세대’의 개념적 적용: 최근 세대현상의 이해를 위한 시도" 30 (30): 71-90, 2003
10 Kelle, Udo, "Vom Einzelfall zum Typus : Fallvergleich und Fallkontrastierung in der qualitativen Sozialforschung" Leske und Budrich 1999
11 Luckmann, "The small life-worlds of Modern Man" 580-596, 1978
12 Glaser,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1967
13 Schimank, U, "Soziologische Gegenwartsdiagnosen" UTB 2000
14 MacDonald, R, "Snakes & ladders: in defence of studies of youth transition" 5 (5): 2001
15 Furlong, A, "Risk and Uncertainty in the Youth Transition" 5 (5): 3-20, 1997
16 Cohen, P, "Rethinking the Youth Question: Education, Labour and Cultural Studies" Macmillan 1997
17 Minzen, P, "Putting the Politics Back into Youth Studies. Keynesianism, Monetarism and the Changing State of Youth" 5 (5): 5-20, 2002
18 Bhnisch,Lothar, "Pdagogik und Arbeitsgesellschaft. Historische Grundlagen und theoretische Anstze fr eine sozialpolitisch reflexive Pdagogik" Beltz 2001
19 Wyn, J, "New Patterns of Youth Transition in Education" (164) : 147-159, 2000
20 White, R, "Negotiating social change: The paradox of youth" 32 (32): 165-183, 2000
21 조한혜정, "N 세대 새로운 행동 패러다임 연구의 방향 ‘발달심리학’에서 ‘자아형성학’으로" 13 (13): 1-8, 2000
22 Hitzler, "Kleine Soziale Lebens-Weten" leske+Budrich 99-110, 2003
23 Hurrelmann, "Jugendphase Jugend" Juventa Verlag 1999
24 Merkens, H, "Jugendforschung im Spannungsfeld von Bilnzen ueber das Normale in einer Generation und der Besonderheit einzelner Gruppen" 299-306, 2002
25 Baacke, D, "Jugend und Jugendkulturen" Juventa Verlag 1999
26 Zinnecker, "Jugend als Bildungsmoratorium Zur Theorie des Wandels der Jugendphase in west-und osteuropaeischen Gesellschaften 9-25 in W" 1991
27 P. Ainley, "In the Country of the Blind?: Youth Studies and Cultural Studies in Britain" 3 (3): 79-96, 2000
28 Marx,K, "Grundrisse" Penguin 1985
29 Clarke, "A Critique of Theories of Youth Sub-cultures Center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Univ 1982
30 미래트랜드연구팀, "2005. 한국 성장세대 연구. 전형으로 풀어본 19ㆍ25세대"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2005
31 Burawoy,Michael, "2004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Presidential address: For public sociology" 56 (56): 259-294, 2005
배분적 정의, 과정적 정의 및 인간관계적 정의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들의 공평성 인식과 평등의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3 | 1.63 | 1.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8 | 1.94 | 2.506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