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관심도를 고려한 그래프 기반 이벤트 검출 기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8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관심도를 고려한 그래프 기반 이벤트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들이 게시한 글을 분석하여 키워드 그래프를 구축한다. 사용자의 소셜 행위로부터 관심도를 계산하고 관심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이벤트 판별에 이용한다. 따라서 의미 없이 반복 게시되어 이벤트로 검출된 결과를 제거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이벤트 검출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번역하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관심도를 고려한 그래프 기반 이벤트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들이 게시한 글을 분석하여 키워드 그래프를 구축한다. 사용자의 소셜 행위로부터 관심도를 계산하고 관심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이벤트 판별에 이용한다. 따라서 의미 없이 반복 게시되어 이벤트로 검출된 결과를 제거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이벤트 검출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increases, event information occurring offline is spreading more rapidly. Theref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ct events by analyzing social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ph based event detection scheme considering user interest in social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constructs a keyword graph by analyzing tweets posted by users. We calculates the interest measure from users social activities and uses it to identify events by considering changes in intere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events that are repeatedly posted without meaning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We conduct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s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event detection scheme.
      번역하기

      As the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increases, event information occurring offline is spreading more rapidly. Theref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ct events by analyzing social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ph based event detection...

      As the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increases, event information occurring offline is spreading more rapidly. Theref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ct events by analyzing social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ph based event detection scheme considering user interest in social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constructs a keyword graph by analyzing tweets posted by users. We calculates the interest measure from users social activities and uses it to identify events by considering changes in intere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events that are repeatedly posted without meaning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We conduct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s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event detection sche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제안하는 이벤트 검출 기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제안하는 이벤트 검출 기법
      • Ⅳ. 성능 평가
      •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Y. Endo, "What's Hot in The Theme : Query Dependent Emerging Topic Extraction from Social Streams" 31-32, 2013

      2 M. Mathioudakis, "Twittermonitor : trend detection over the twitter stream" 1155-1158, 2010

      3 A. Marcus, "Twitinfo : aggregating and visualizing microblogs for event exploration" 227-236, 2011

      4 M. Thelwall, "Sentiment in Twitter events" 62 (62): 406-418, 2011

      5 J. Guzman, "On-line relevant anomaly detection in the Twitter stream : an efficient bursty keyword detection model" 31-39, 2013

      6 A. Edouard, "Graph-based event extraction from twitter" 222-230, 2017

      7 B. Manaskasemsak, "Graph Clustering-Based Emerging Event Detection from Twitter Data Stream" 37-41, 2016

      8 S. Katragadda, "Framework for real-time event detection using multiple social media sources" 2017

      9 A. Weiler, "Even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in social media streaming data" 282-287, 2014

      10 A. Aldhaheri, "Event detection on large social media using temporal analysis" 1-6, 2017

      1 Y. Endo, "What's Hot in The Theme : Query Dependent Emerging Topic Extraction from Social Streams" 31-32, 2013

      2 M. Mathioudakis, "Twittermonitor : trend detection over the twitter stream" 1155-1158, 2010

      3 A. Marcus, "Twitinfo : aggregating and visualizing microblogs for event exploration" 227-236, 2011

      4 M. Thelwall, "Sentiment in Twitter events" 62 (62): 406-418, 2011

      5 J. Guzman, "On-line relevant anomaly detection in the Twitter stream : an efficient bursty keyword detection model" 31-39, 2013

      6 A. Edouard, "Graph-based event extraction from twitter" 222-230, 2017

      7 B. Manaskasemsak, "Graph Clustering-Based Emerging Event Detection from Twitter Data Stream" 37-41, 2016

      8 S. Katragadda, "Framework for real-time event detection using multiple social media sources" 2017

      9 A. Weiler, "Even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in social media streaming data" 282-287, 2014

      10 A. Aldhaheri, "Event detection on large social media using temporal analysis" 1-6, 2017

      11 G. Valkanas, "Event Detection from Social Media Data" 36 (36): 51-58, 2013

      12 H. Sayyadi, "A graph analytical approach for topic detection" 13 (13): 1-23,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