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폐지수집 여성 노인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8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폐지수집 여성노인이 경험하는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장기간 폐지수집 생활을 지속하는 여성노인 7명이며, 예비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18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경험에 대한 5개의 주제모음은 ‘힘들었던 지난시간-지나온 나’, ‘힘겨운 생활의 연속’, ‘계속 지탱하기’, ‘거리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내인생-지금의 나’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종합해 볼 때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삶의 본질은 ‘수용’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지수집 여성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에서의 제도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폐지수집 여성노인이 경험하는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장기간 폐지수집 생활을 지속하는 여성노인 7명이며, 예비조사...

      본 연구는 폐지수집 여성노인이 경험하는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장기간 폐지수집 생활을 지속하는 여성노인 7명이며, 예비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18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경험에 대한 5개의 주제모음은 ‘힘들었던 지난시간-지나온 나’, ‘힘겨운 생활의 연속’, ‘계속 지탱하기’, ‘거리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내인생-지금의 나’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종합해 볼 때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삶의 본질은 ‘수용’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지수집 여성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에서의 제도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qualitative study to research the meaning and essence of life of old women living alone collecting waste paper in their experiences of daily life. Targeting seven old women who have kept collecting waste paper for a long tim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In the results of analyzing in accordance with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otal 18 themes and five theme-groups were drawn. The five theme-group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old women collecting waste paper included ‘tough time-I have gone through’, ‘continuity of tough life’, ‘continuously bearing’, ‘adjusting to street environmental changes’, and ‘proactive and active life of mine-current myself’. In summary, the essence of life of old women collecting waste paper was interpreted as acceptance. Thus, the institutional/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for the social welfare of old women collecting waste paper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is a qualitative study to research the meaning and essence of life of old women living alone collecting waste paper in their experiences of daily life. Targeting seven old women who have kept collecting waste paper for a long time, data was colle...

      This is a qualitative study to research the meaning and essence of life of old women living alone collecting waste paper in their experiences of daily life. Targeting seven old women who have kept collecting waste paper for a long tim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In the results of analyzing in accordance with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otal 18 themes and five theme-groups were drawn. The five theme-group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old women collecting waste paper included ‘tough time-I have gone through’, ‘continuity of tough life’, ‘continuously bearing’, ‘adjusting to street environmental changes’, and ‘proactive and active life of mine-current myself’. In summary, the essence of life of old women collecting waste paper was interpreted as acceptance. Thus, the institutional/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for the social welfare of old women collecting waste paper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문헌고찰
      • Ⅲ.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문헌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명선, "폐지수집노인의 생활실태와 노인복지정책적 대안"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11-135, 2016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3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4 최현수,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43-160, 2003

      5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6 조용하, "여성노인의 사회적활동과 사회적관계망에 따른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7 장미혜, "여성노인의 노후빈곤 현황 및 대응정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29, 2013

      8 송영신, "여성노인 1인 가구의 실태 및 정책적 개선방안" 이화여자대학교 2015

      9 김영란, "신빈곤(new poverty)의 발생구조와 빈곤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근로빈민(working poor)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45-274, 2004

      10 김영숙, "생활환경에 따른 한국 노인들의 생활만족과 우울수준" 18 : 273-290, 2002

      1 배명선, "폐지수집노인의 생활실태와 노인복지정책적 대안"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11-135, 2016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3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4 최현수,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43-160, 2003

      5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6 조용하, "여성노인의 사회적활동과 사회적관계망에 따른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7 장미혜, "여성노인의 노후빈곤 현황 및 대응정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29, 2013

      8 송영신, "여성노인 1인 가구의 실태 및 정책적 개선방안" 이화여자대학교 2015

      9 김영란, "신빈곤(new poverty)의 발생구조와 빈곤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근로빈민(working poor)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45-274, 2004

      10 김영숙, "생활환경에 따른 한국 노인들의 생활만족과 우울수준" 18 : 273-290, 2002

      11 장경은,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355-380, 2009

      12 허준수,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27-247, 2002

      13 김혜경, "도시거주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과 삶에 대한 질적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5

      14 유용식,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29-139, 2016

      15 전미애, "노인의 소득원별 소득비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2016 : 1-19, 2016

      16 현다경,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64-278, 2016

      17 "국민연금 통계연보"

      18 "http://kostat.kr"

      19 B. J. Fisher, "Successful aging and creativity in later life" 13 (13): 457-472, 1999

      20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07

      21 Y. S. Lincoln,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