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연소형 골수단구성 백혈병에서의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Juvenile Myelomoncytic Leukem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1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 of children with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JMML) treated with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allo- HSCT).
      Methods:Eleven JMML patients aged 8-39 months underwent allo-HSCT. The sources of grafts were unrelated donors(n=7), HLA-matched siblings(n=3) and an HLA 1-antigen mismatched familial donor. All patients had received chemotherapy ± 13-cis-retinoic acid(CRA) before transplant, and CRA was used, posttransplant, in six patients.
      Results:Only three patients were in complete remission(CR)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Initial chimeric status revealed complete donor chimerism(CC) in five patients, mixed chimerism(MC) in five and autologous recovery(AR) in one. One patient with MC having persistent splenomegaly eventually turned to CC and CR after rapid tapering of cyclosporine, combined with daily use of CRA. An AR case relapsed shortly after transplant but was rescued with second, unrelated cord blood transplantation. Ultimately, six patients are alive, event-free, with a median follow-up of 15.5 months posttransplant. All three deaths occurred in patients who failed to achieve CC, leading to disease progression.
      Conclusion:We suggest that graft-versus-leukemia effect play an important role and CRA a possible role in posttransplant leukemic involution in JMML. In patients whose leukemic burden is still high with MC after transplant, early tapering of immunosuppressants and introduction of CRA might provide a chance of a cure for some patients
      번역하기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 of children with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JMML) treated with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allo- HSCT). Methods:Eleven JMML patients aged 8-39 months underwent...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 of children with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JMML) treated with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allo- HSCT).
      Methods:Eleven JMML patients aged 8-39 months underwent allo-HSCT. The sources of grafts were unrelated donors(n=7), HLA-matched siblings(n=3) and an HLA 1-antigen mismatched familial donor. All patients had received chemotherapy ± 13-cis-retinoic acid(CRA) before transplant, and CRA was used, posttransplant, in six patients.
      Results:Only three patients were in complete remission(CR)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Initial chimeric status revealed complete donor chimerism(CC) in five patients, mixed chimerism(MC) in five and autologous recovery(AR) in one. One patient with MC having persistent splenomegaly eventually turned to CC and CR after rapid tapering of cyclosporine, combined with daily use of CRA. An AR case relapsed shortly after transplant but was rescued with second, unrelated cord blood transplantation. Ultimately, six patients are alive, event-free, with a median follow-up of 15.5 months posttransplant. All three deaths occurred in patients who failed to achieve CC, leading to disease progression.
      Conclusion:We suggest that graft-versus-leukemia effect play an important role and CRA a possible role in posttransplant leukemic involution in JMML. In patients whose leukemic burden is still high with MC after transplant, early tapering of immunosuppressants and introduction of CRA might provide a chance of a cure for some pati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JMML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종류의 백혈병으로서 통상적인 항암화학요법만으로는 완치가 어려워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본 질환의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에 대한 보고가 없어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JMML 환자의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 법 : 8개월에서 39개월 된 11명의 JMML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였다. 조혈 모세포의 공급원으로 비혈연 골수 혹은 제대혈 7례, HLA 일치 형제 공여자 3례, HLA 1 항원 불일치 가족 공여자 1례 등을 이용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이식 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고 일부 환자에게는 13-cis-retinoic acid(CRA)를 사용하였다.결 과 : 총 11례 중 3례만이 이식 전 치료로 혈액학적 및 임상적 완전관해에 도달하였다. 이식 후 1개월째 첫 키메리즘 평가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 5례, 혼합 키메리즘 5례, 자가회복 1례였다. 혼합 키메리즘 상태에서 비장종대가 해소되지 않았던 1례에서 면역억제제의 급속 감량과 함께 CRA를 지속적으로 투여한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으로의 전환과 함께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자가회복 되었던 1례는 이식 후 조기 재발하였으나 복합 항암화학요법과 CRA의 투여로 이차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결과적으로 11례 중 6례가 이식 후 정중 추적기간 15.5개월간 무사건 생존 중이다. 사망한 3례는 모두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에 실패하였던 경우들로서 질병의 재발 혹은 진행이 사망의 원인이었다. 결 론:본 연구 결과 JMML의 근치에는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후 이식편대 백혈병 효과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CRA도 긍정적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식 후에도 완전관해에 도달하지 못하고 혼합 키메리즘 양상을 보이는 경우, 면역억제제를 조기 감량하는 정책과 함께 CRA를 도입함으로써 완치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목 적 : JMML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종류의 백혈병으로서 통상적인 항암화학요법만으로는 완치가 어려워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본 질환의 조...

      목 적 : JMML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종류의 백혈병으로서 통상적인 항암화학요법만으로는 완치가 어려워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본 질환의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에 대한 보고가 없어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JMML 환자의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 법 : 8개월에서 39개월 된 11명의 JMML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였다. 조혈 모세포의 공급원으로 비혈연 골수 혹은 제대혈 7례, HLA 일치 형제 공여자 3례, HLA 1 항원 불일치 가족 공여자 1례 등을 이용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이식 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고 일부 환자에게는 13-cis-retinoic acid(CRA)를 사용하였다.결 과 : 총 11례 중 3례만이 이식 전 치료로 혈액학적 및 임상적 완전관해에 도달하였다. 이식 후 1개월째 첫 키메리즘 평가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 5례, 혼합 키메리즘 5례, 자가회복 1례였다. 혼합 키메리즘 상태에서 비장종대가 해소되지 않았던 1례에서 면역억제제의 급속 감량과 함께 CRA를 지속적으로 투여한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으로의 전환과 함께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자가회복 되었던 1례는 이식 후 조기 재발하였으나 복합 항암화학요법과 CRA의 투여로 이차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결과적으로 11례 중 6례가 이식 후 정중 추적기간 15.5개월간 무사건 생존 중이다. 사망한 3례는 모두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에 실패하였던 경우들로서 질병의 재발 혹은 진행이 사망의 원인이었다. 결 론:본 연구 결과 JMML의 근치에는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후 이식편대 백혈병 효과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CRA도 긍정적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식 후에도 완전관해에 도달하지 못하고 혼합 키메리즘 양상을 보이는 경우, 면역억제제를 조기 감량하는 정책과 함께 CRA를 도입함으로써 완치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reatment of juvenile chronic myeloid leukemia with sequential subcutaneous cytarabine and oral mercaptopurine" 49 : 559-62, 1977

      2 "Successful treatment of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relapsing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using donor lymphocyte infusion" 101 : 1713-4, 2003

      3 "Seco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26 : 190-3, 2004

      4 "Novel regimen for the treatment of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JMML)" 28 : 167-70, 2004

      5 "Myelodysplasia and myeloproliferative disorders in childhood:an update" 105 : 852-63, 1999

      6 "MDS Committee of the Japanese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27 children with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diagnosed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JMML Working Group" 16 : 645-49, 2002

      7 "Lack of bcr rearrangement in juvenile chronic myeloid leukemia" 19 : 493-5, 1991

      8 "Kinetics of the graft-versus-leukemia response after donor leukocyte infusions for relapsed chronic myeloid leukemia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92 : 3582-90, 1998

      9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90 : 479-88, 1997

      10 "Juvenile chronic myeloid leukemia:therapeutic insights" 1 : 730-3, 1987

      1 "Treatment of juvenile chronic myeloid leukemia with sequential subcutaneous cytarabine and oral mercaptopurine" 49 : 559-62, 1977

      2 "Successful treatment of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relapsing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using donor lymphocyte infusion" 101 : 1713-4, 2003

      3 "Seco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26 : 190-3, 2004

      4 "Novel regimen for the treatment of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JMML)" 28 : 167-70, 2004

      5 "Myelodysplasia and myeloproliferative disorders in childhood:an update" 105 : 852-63, 1999

      6 "MDS Committee of the Japanese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27 children with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diagnosed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JMML Working Group" 16 : 645-49, 2002

      7 "Lack of bcr rearrangement in juvenile chronic myeloid leukemia" 19 : 493-5, 1991

      8 "Kinetics of the graft-versus-leukemia response after donor leukocyte infusions for relapsed chronic myeloid leukemia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92 : 3582-90, 1998

      9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90 : 479-88, 1997

      10 "Juvenile chronic myeloid leukemia:therapeutic insights" 1 : 730-3, 1987

      11 "Juvenile chronic myeloid leukemia:no rearrangement of the breakpoint cluster region" 36 : 227-9, 1988

      12 "Juvenile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developed in infant" 24 : 41-6, 1989

      13 "Juvenile chronic myelocytic leukemia:experience with intensive combination chemotherapy" 18 : 311-16, 1990

      14 "Haem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with juvenile myelomonocytic leukaemia" 103 : 552-8, 1998

      15 "Comparison of single-dose and escalating- dose regimens of donor lymphocyte infusion for relapse after allografting for chronic myeloid leukemia" 95 : 67-71, 2000

      16 "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 in childhoo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10 cases European Working Group on Myelodysplastic Syndromes in Childhood" 89 : 3534-43,

      17 "Alternative dono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children with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21 : 479-85, 1999

      18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without total body irradiation" 26 : 200-3, 2004

      19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children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 or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the Seattle experience" Bone Marrow Transplant 33 : 805-14, 2004

      20 "A pilot study of isotretinoin in the treatment of juvenile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331 : 1680-4, 1994

      21 "A pediatric approach to the WHO classification of myelodysplastic and myeloproliferative diseases" 17 : 277-82, 2003

      22 "A case of juvenile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associated with juvenile xanthogranuloma" 30 : 1299-304,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