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중 조선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수출경쟁력 분석을 위한 TSI 분석에서 중국의 수출경쟁력은 2003년 이래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이(0.58→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15132
2012
Korean
326.1
KCI등재
학술저널
385-412(28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중 조선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수출경쟁력 분석을 위한 TSI 분석에서 중국의 수출경쟁력은 2003년 이래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이(0.58→0....
본 연구는 한중 조선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수출경쟁력 분석을 위한 TSI 분석에서 중국의 수출경쟁력은 2003년 이래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이(0.58→0.92)를 보이는 반면 한국은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다(0.91→0.87). RSCA분석에서 2010년 기준 양국 수출경쟁력은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한국:0.80, 중국:0.39). 또한 한국은 탱커와 특수선박 등 소수 선종에 비교우위를 가지는 반면 중국의 비교우위는 다양한 선박에 분포되어 있다. 화물화객선은 치열한 경쟁(2010년:0.78(한국), 0.54(중국))이 예상되고 있으나, 탱커는 중국에 비해 3배, 특수 선박은 14배의 큰 비교우위 격차를 보이고 있어 고기술이 요구되는 선박의 경우 한국이 중국보다 월등한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장점유율에 있어서도 2010년 기준 한국은 28%, 중국은 24%로 큰 차이가 없으나 탱커(한국:0.47,중국:0.19)와 특수선박(한국:0.81, 중국:0.12)에서는 큰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단위가격비 분석 결과 한국은 고품질의 상품을 수출하고 중국은 저품질의 상품을 수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한국 RUP=1.92, 중국 RUP=0.09).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 shipbuilding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SI analysi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Chinese shipbuilding industry is increasing(0.58→0.92) si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 shipbuilding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SI analysi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Chinese shipbuilding industry is increasing(0.58→0.92) since 2003 whil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is decreasing(0.91→ 0.87). RSCA analysis shows that there exists big difference in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and China(Korea:0.80, China:0.39). Moreover,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few types of ships such as tankers and special vessel, but Chin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various ships. In case of cargo ship, there will be expected to be a keen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China(2010: 0.78(Korea), 0.54(China)). However, In case of tankers and special vessel which requires high value added skills, Korea has higher competitiveness. The market share in shipbuilding industry of Korea and China is 28% and 24% respectively, but Korea occupies high market share in tankers and special vessels than China (Tanker: Korea-0.47, China-0.19, Special vessel: Korea-0.81, China-0.12). According to the ratio of unit price analysis, Korea exports high quality of vessels and China exports low quality of vessels(Korea:1.92, China:0.09).
참고문헌 (Reference)
1 모수원, "환율의 변동성과 신조선 수주" 한국해운물류학회 (43) : 2004
2 김무형, "환율과 철강가격의 변화가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8 (18): 107-128, 2008
3 심재희, "한중 간 조선산업 선종별 경합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7 (27): 155-183, 2011
4 "한국무역협회"
5 박태원, "한국과 중국의 조선산업 경쟁력 비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46-55, 2002
6 심재희, "한국과 중국의 선박제품별 교역구조와 경쟁력 분석"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63-289, 2011
7 박광서, "한국과 EU의 조선산업 통상마찰 배경과 협상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27 (27): 405-426, 2002
8 박광서, "한국 해운산업 발전을 위한 선박금융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27 (27): 695-718, 2011
9 배영일, "한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진단" 삼성경제연구소 1-23, 2009
10 최재선, "한국 조선산업, 블루오션 순항중" 57-62, 2010
1 모수원, "환율의 변동성과 신조선 수주" 한국해운물류학회 (43) : 2004
2 김무형, "환율과 철강가격의 변화가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8 (18): 107-128, 2008
3 심재희, "한중 간 조선산업 선종별 경합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7 (27): 155-183, 2011
4 "한국무역협회"
5 박태원, "한국과 중국의 조선산업 경쟁력 비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46-55, 2002
6 심재희, "한국과 중국의 선박제품별 교역구조와 경쟁력 분석"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63-289, 2011
7 박광서, "한국과 EU의 조선산업 통상마찰 배경과 협상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27 (27): 405-426, 2002
8 박광서, "한국 해운산업 발전을 위한 선박금융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27 (27): 695-718, 2011
9 배영일, "한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진단" 삼성경제연구소 1-23, 2009
10 최재선, "한국 조선산업, 블루오션 순항중" 57-62, 2010
11 박종국, "중국 조선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수출입은행 29 (29): 92-98, 2010
12 홍성인, "중국 조선산업의 현황 및 품목별 비교분석" KIET (51) : 35-50, 2002
13 홍성인, "중국 조선산업의 부상과 대응전략" 대한조선학회 41 (41): 68-85, 2004
14 김태식, "중국 조선산업 성장에 관한 고찰-한ㆍ중 비교를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학회 8 (8): 207-232, 2010
15 임정덕, "조선산업의 환경변화와 선박금융" 산업연구원 1-126, 2009
16 전은경, "조선산업의 현황과 정책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51, 2009
17 한국은행 부산본부, "조선산업의 동향과 전망 한국은행 부산본부 기회조사실 경제조사팀"
18 문호성, "조선산업 환헤지가 환율 및 환율변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항만경제학회 27 (27): 235-245, 2011
19 유병세, "조선산업 선진화를 위한 전략" 대한조선학회 41 (41): 19-23, 2004
20 정은혜,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24 (24): 211-249, 2005
21 이은창, "우리나라 조선산업은 여전히 세계 제일이다" (248) : 32-41, 2011
22 모수원, "우리나라 선박수출모형의 추정과 예측" 한국해운물류학회 (30) : 59-81, 2000
23 오의종, "세계 조선시장의 변화와 향후 전망" 30 (30): 837-842, 2006
24 Balassa, B., "Trade Liber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33 : 99-123, 1965
25 Heiner Heseler, "The Trade Dispute in Shipbuilding between the EU and Korea" 22 : 149-172, 2000
26 Hossain, M., "South Asia Economies in the Global Trading System" Economics Division 1-31, 1996
27 Fontagne, L., "Intra-industry Trade:Methodological Issue Reconsidered" CEPII 1997
28 김명재, "DEA 모델을 이용한 국내 조선업의 경영효율성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26 (26): 651-673, 2010
29 Aiginger, K., "A Framework for Evaluation the Dynamic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9 : 159-188, 1998
서평 : 송동욱 외, Maritime Logistics, Kogan Page, 2012
선박조직 구성원의 속성신뢰 영향요인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학술지 분리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8 | 0.943 | 0.52 |